• 제목/요약/키워드: 유충 영기수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19초

배나무 줄기벌(Janus piri Okamoto et Mat.)유충의 두폭과 영기수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ize of Head Capsule and Number of Instars in the Larvae of Pear Stem Sawfly, Janus piri Okamoto)

  • 윤주경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15-219
    • /
    • 1975
  • 배나무 줄기벌의 유충을 수체내에서 채집하여 두폭을 측정하여 영기를 판정함과 동시에 성충비를 알아본 바 다음과 같다. 1) 유충의 두폭의 변이곡선은 구분된 6개의 계곡으로 나타나는데 이것은 5회의 탈피를 하여 6영을 지내는 것으로 추정된다. 2) 두폭의 표준편차는 1영과 2영이외에는 영이 커짐에 따라 커졌으며, 변이계수는 영이 커짐에 따라 줄어지는 경향이었다. 그리고 성장비는 1-2영시는 크고, 영이 높아짐에 따라 적어졌다. 3) 배나무 줄기벌 유충의 두폭성장 추정에는 Dyar식 보다 Gains와 Campbell식이 더욱 적합하였다. 4) 유충 영기는 피해 정도로 보아서 다음과 같이 추정된다. 즉 2-4영의 유충 피해는 극히 적으며 피해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나 5-6영시 피해는 급진적이며 외형으로 피해가 나타난다.

  • PDF

담배나방(Heliothis assulta)유충의 먹이 유인성 (Food Attractancy of the Oriental Tobacco Budworm, Heliothis assulta, Larvae)

  • 최광식;부경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88-92
    • /
    • 1989
  • 한국에서 담배나방(Heliothis assulta Guen e) 유충은 주로 고추과실과 담배의 어린잎을 가해한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이 두가지 외에 피망과 관상용 고추에 대한 1영기유충의 유인효과를 비교하였다. 다른 어느 종류보다도 고추과실에 더 많은 수의 유충이 유인되었다. 고추식물에서도 꽃이나 잎에는 거의 유인되지 않고 비교적 숙성된 고추과실에 가장 많이 몰려들었다. 이와같은 경향은 생과즙이나 10%에탄올 추출물 경우에도 비슷하며 2~4영기유충에서도 같은 경향으로 나타나 담배나방유충을 유인하는 화합식이 고추과실에 존재함을 시사하였다.

  • PDF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의 영기별 약제 감수성 (Age-related Susceptibility of Spodoptera litura Larvae to Some Insecticides)

  • 조점래;송원례;황선영;김홍선;이정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49-253
    • /
    • 1996
  • 실내에서 담배거세미나방의 영기별 약제감수성을 조사한 결과 시험된 약제 모두 유충의 영기가 높아질수록 약제감수성은 낮았다. Chlorpyrifors-methyl과 chlorpyrifos의 독성은 3령부터, etofenprox+PAP와 deltamethrin은 2령부터 현저히 떨어졌다. 포트시험결과 deltamethrin을 제외한 4약제 모두 90% 이상의 방제가를 보여 담배거세미나방의 방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야외에서 담배거세미나방은 전 영기가 혼재되어 있고 영기별 약제감수성이 다르기 때문에 적절한 약제선택은 물론 유충 발생초기에 약제를 살포하는 것이 중요하다.

  • PDF

파밤나방 유충의 영기별 생장율 비교 (The Larval Development of Beet Armyworm,Spodoptera exigua (Hubner),(Lepidoptera:Noctuidae) by the Widths of the Head Capsule)

  • 고현관;이상계;최귀문;김정화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54-57
    • /
    • 1991
  • 파밤나방 유충을 실내에서 5세대 동안 인공사육하여 탈피할 때마다 두폭의 최대치를 측정하여 영기별 생장율을 구한 결과 2령 유충의 생장율은 1.43 이었고, 3령은 1.55, 4령은 1.48, 5령은 1.54, 6령은 1.76이었다. 한편 두폭 평?치의 대수를 Ycnr, 령의 수를 X축으로 하여 회귀직선식을 구한 결과 LogY=-0.819+0.1872X($r^{2}$=)었고 Dyar의 법칙과 동일한 기하급수적 생장을 하였다. 각영기별 두폭의 평균치와 Dyar의 법칙과 적합도는 1령 유충이 94.7%, 2령은 98.3, 3령은 98.7, 5령은 94.6 6령은 92.2%었다. Dyar의 항수 (K)는 1.54였다.

  • PDF

인공사료로 사육한 뒷흰가는줄무늬밤나방(Mythimna loreyi ) (밤나방과)의 발육과 생식 특성 (Developmental and Reproductive Characteristics of Mythimna loreyi (Noctuidae) Reared on Artificial Diets)

  • 김은영;김이현;정진교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3호
    • /
    • pp.423-434
    • /
    • 2022
  • 열대거세미나방(Spodoptera frugiperda)(밤나방과) 유충 사육을 위해 이전에 개발된 두 인공사료(N4와 N6)가 뒷흰가는줄무늬밤나방 (Mythimna loreyi)(밤나방과) 사육에도 적합하였다. 실험실 조건[25℃, 15:9 h (명:암) 광주기]에서 알기간은 4.9-5.2일, 유충기간은 22.3-23.2일로 두 사료 집단 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다. 한 사료 집단 내에서 번데기 기간은 암컷이 약 12.6-12.8일, 수컷이 14.1-14.5일이었고, 번데기 무게는 암컷이 약 345 mg, 수컷이 약 380 mg로, 암수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유충의 용화율과 용의 우화율은 각각 91-94%와 91-95%로 두 사료집단 사에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성충 산란전 기간은 3.4일, 산란기간은 약 4.7-4.8일 이었다. 성충 수명은 암컷이 8.2일, 수컷이 10.3-12.4일로 수컷의 수명이 길었다. 암컷당 부화한 총 자손 수는 724-847마리였고, 최대 약 1,400마리였다. 생명표 분석에서 개체군 내적자연증가율(N4 집단 0.1181, N6 집단 0.1253)은 두 사료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한 사료집단 내에서 유충 영기가 5령 혹은 6령까지 발육하는 개체변이가 발견되었다. N4 사료집단의 5령 개체 비율(약 22%)은 N6 사료집단의 5령 개체비율(약 7%)보다 높았다. 6령 개체들의 평균 유충기간이 5령 개체들보다 더 길었다. 유충의 영기별 두폭은 1령의 약 308 ㎛부터 6령의 약 3,065 ㎛까지, 몸길이는 1령의 약 2.0 mm부터 6령의 약 29.1 mm까지 측정되었다. 2020년 6-7월 중에 옥수수 포장에서 뒷흰가는줄무늬밤나방 유충이 동속종인 멸강나방(M. separata) 유충과 함께 발견되었다.

현미에서의 거짓쌀도둑, Tribilium castaneum(딱정발레목:거저리과)의 발육 (A Note on the Deveolopment of Tribolium castaneum (Coleoptera: Tenebrionidae) on Brown Rice Oryzae sativa L.)

  • 전환구;홍영석;류문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30-130
    • /
    • 1991
  • 현미를 사료로하여 네가지 정온도조정에서(25, 28, 34, 36$^{circ}C$ $pm$0.5$^{\circ}C$, RH 70%)에서 거짓쌀도둑(Tribilium castaneum Herbst)의 각 충태별 평균발육기간($\pm$SE)을 산출하였으며, 이를 기초로하여 발육임계온도를 추정하였다. 난의 평균발육기간은 각 온도에서 7.6$\pm$0.25, 4.8$\pm$0.10, 3.0$\pm$0.03, 2.5$\pm$0.09일, 유충에서 각각 53.3$\pm$1.49, 33.4$\pm$0.57, 30.6$\pm$0.70, 31.0$\pm$1.18일, 용에서 각각 12.1$\pm$0.17, 7.8$\pm$0.09, 5.0$\pm$0.07일로 산출되었으며, 난에서 성충우화시기까지의 전발육기간은 각각72.3$\pm$1.67, 46.0$\pm$0.05, 39.4$\pm$0.64, 38.7$\pm$1.15일로 산출되었다. 난과 용의 발육기간은 밀과 옥수수같은 다른 식이조건에서와 유사하였으나, 섭식을 하는 유충기의 발육은 밀보다 현미에서 상대적으로 지체되는 현상을 보였다. 한편 현미를 섭취했을 경우, 밀을 섭취했을 때 보다 발육중 치사율이 높아 밀에 비해 현미가 저급의 식물임을 보여주었다. 거짓쌀도둑 난, 유충 용 및 전발육기간의 저온발육임게온도는 각 충태 공히 20.0$^{\circ}C$로 산출되었으며, 유충과 전발육기간의 고온발육임계온도는 각각 40.2$^{\circ}C$와 41.9$^{\circ}C$로 추정되었다. 영기수는 온도에 상관없이 최빈치 7회를 나타냈지만, 온도의 상승에 따라 7회 이상 탈피하는 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성비는 온도와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버들재주나방의 생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Bionomics of the Black-Back Prominent, Clostera anastomosis (L.) (Lepidoptera; Notodonitidae))

  • 강전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95-98
    • /
    • 1970
  • 1) 버들재주나방은 년 3-4회 발생하는데 제 1회발생은 5월 중순내지 6월 초순경이며 유충으로 월동한다. 2) 성충의 평균수명은 숫놈이 5,8일이고 암놈이 5.9일이다. 3) 난기간은 약 4일이고 유충기간은 약 17.2일이며 용 기간은 5-8일이다. 4) 유충의 두폭은 1령기에 0.37mm 이고 최종령기에 2.45mm 이다. 5)실내 조건하에서 유충의 섭식량은 암놈의 경우 $95cm^2$이었고 숫놈의 경우 $60cm^2$이었다. 6) 유충의 배분수는 실내에서 682개이고 야외에서 663개이었다. 7) 배분의 크기는 유충의 영기에 따라 길이가 0.11mm에서 2.46mn, 직경이 0.05mm에서 2,92mm로 변하였다. 8) 암놈 한 마리당 포난수는 400개이며 산란율은 평균 $80\%$이었다.

  • PDF

포식성천적(捕食性天敵) 무당벌레의 진딧물 포식능력(捕食能力) (Aphidivorous Activity of a Coccinellid Beetle, Harmonia axyridis Pallas(Coleoptera: Coccinellidae))

  • 최승윤;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1-14
    • /
    • 1985
  • 진딧물 포식성(捕食性) 천적(天敵) 무당벌레(Harmonia axyridis Palls) 의 포식능력(捕食能力)을 평가(評價)하고 진딧물 포식능력(捕食能力)에 미치는 진딧물의 종(種), 무당벌레의 영기별(齡期別), 온도별(溫度別) 및 광조사조건(光照射條件)의 영향(影響)을 비교((比較)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무당벌레의 진딧물 포식능력(捕食能力)은 유충(幼蟲)의 영기(齡期)가 진행(進行)됨에 따라 크게 증가(增加)하였는데, $1{\sim}2$령(齡)에서는 포식량(捕食量)이 적었으나 $3{\sim}4$령(齡)에서는 포식량(捕食量)이 크게 증가(增加)하였다. 4령(令) 유충(幼蟲)이 24시간(時間)동안 포식(捕食)한 진딧물수(數)를 보면 목화진딧물은 평균(平均) 68.36마리, 복숭아혹진딧물은 평균(平均) 58.50마리로 목화진딧물을 더 많이 먹었는데, 이는 목화진딧물의 평균(平均) 체중(體重)이 조금 적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2. 무당벌레 유충(幼蟲)($1{\sim}4$령(齡))의 복숭아혹진딧물 포식량(捕食量)은 $20^{\circ}C$$25^{\circ}C$에서 높았던 것으로 보아, 유충(幼蟲)은 온도(溫度)가 높아짐에 따라 ($30^{\circ}C$ 이내(以內)에서는) 포식활동(捕食活動)이 증가(增加)되었으나, 성충(成蟲)은 $20{\sim}25^{\circ}C$가 활동최적온도(活動最適溫度)로 사료(思料)된다. 3. 광조건(光條件)이 무당벌레의 진딧물 포식능력(捕食能力)에 미치는지의 여부(如否)에 대(對)하여 앞으로 좀 더 많은 실험(實驗)이 요구(要求)된다.

  • PDF

잔물땡땡이(Hydrochara affinis: Hydrophilidae, Coleoptera) 유충의 모기 2종(Culex pipiens molestus 및 Ochlerotatus togoi)에 대한 실내조건에서의 섭식효율 및 선호도 (Predation Efficiency and Preference of the Hydrophilid Water Beetle Hydrochara affinis (Coleoptera: Hydrophilidae) Larvae on Two Mosquitos Culex pipiens molestus and Ochlerotatus togoi under Laboratory Conditions)

  • 백학명;김동건;백민정;이차영;강효정;김명철;유재승;배연재
    • 환경생물
    • /
    • 제32권2호
    • /
    • pp.112-117
    • /
    • 2014
  • 잔물땡땡이(Hydrochara affinis) 유충의 지하집모기(Culex pipiens molestus)와 토고숲모기 (Ochlerotatus togoi)에 대한 포식효율과 먹이선호도를 실험하였다. 포식실험에는 투명한 원통형 용기(지름 100 mm, 높이 40 mm, 수심 15 mm)가 사용되었으며, $25^{\circ}C$에서 24시간 (16L : 8D)동안 진행되었다. 잔물땡땡이 개체당 모기 섭식 효율을 조사하기 위해 각 잔물땡땡이 유충에 대해 서로 다른 먹이조건(1, 2, 4, 8, 16, 32, 64 및 128개체)을 주었고, 각 조건별로 5회씩 반복실험 하였다. 모기유충 2종에 대한 먹이 선호도를 조사하기 위해 잔물땡땡이 1령 유충에 지하집모기와 토고숲모기 유충 32개체씩을 동시에 투여하여 5회 반복실험 하였다. 실험의 결과 모기유충 2종에 대한 잔물땡땡이 유충의 포식곡선은 로그함수의 곡선으로 나타났으며, 잔물땡땡이 유충의 영기가 증가함에 따라 포식수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식곡선으로부터 잔물땡땡이 3령 유충의 1일 최대 포식수를 산출한 결과, 지하집모기는 926개체를, 토고숲모기는 304개체를 포식 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Holling's disk equation을 이용하여 추정한 결과, 잔물땡땡이 유충의 영간, 그리고 모기유충의 종간에 모기유충 포식수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은 Attack rate보다는 Handling time의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Handling time은 잔물땡땡이 유충이 성장함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토고숲모기가 지하집모기에 비해 2배가량 길게 나타났다.

수원 지방에서 조명나방 휴면과 발생 세대수 및 휴면유도에 대한 유충의 민감성 (Diapause and Voltinism in Ostrinia furnacalis (Lepidoptera: Crambidae) in Suwon, and Larval Instar Sensitivity to Diapause Induction)

  • 김은영;김이현;서보윤;김용균;박창규;정진교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9권3호
    • /
    • pp.185-202
    • /
    • 2020
  • 수원 지방에서 조명나방(Ostrinia furnacalis)(나비목: 포충나방과) 성충 발생횟수와 유충 휴면이 유도되는 시기를 분석하였다. 성충은 일년에 3회 발생 하였는데, 1화기는 5월 초부터 7월 초까지, 2화기는 7월 초중순부터 8월 초중순까지, 3화기는 8월 중순부터 10월까지이었다. 7월말부터 8월 중순 사이에 갓부화 유충을 야외에서 사육하기 시작하였을 때, 그 해와 이듬해 용화한 개체들이 같이 발생하였다. 이후 사육된 집단에서는 모두 월동 유충들만 출현하였다. 야외에서 7월과 8월 중 채집된 유충들에서는 월동하거나 월동하지 않는 개체들이 같이 발생하였고, 이후 채집된 개체들에서는 모두 월동하는 개체들만 나타났다. 이 결과들은 수원에서 조명나방은 연중 2세대와 3세대를 경과하는 개체들이 같이 발생하는 복합 생활사를 갖는 것을 보였다. 실험실에서, 조명나방 유충을 영기별로 탈피 직후(9시간 이내)에 휴면유도 조건(11:13 시간 = 명:암 광주기, 20℃)에 처음 처리하였을 때, 거의 모든 유충들에서 휴면이 유도되었다. 유사한 처리를 5령으로 탈피한 유충 나이별로 적용하였을 때, 5령 3일과 4일 나이의 유충에 대한 처리에서는 휴면유도율이 감소하였다. 한편 알에서 갓 부화했을 때부터 휴면유도 조건에서 사육하던 유충들을 3령, 4령, 5령 탈피 직후에 비휴면 조건으로 옮겼을 때, 거의 대부분의 유충들은 휴면에 유도되지 않았다. 그 결과로부터 5령 초기 나이의 유충들이 휴면유도 자극에 반응하는 최종 단계라고 추정되었다. 비휴면 유충들에 비해, 휴면이 유도된 유충들에서는 혈림프 내 트레할로스 함량이 증가하였고, 몸체 과냉각점이 낮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