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출성분

Search Result 39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Environmental Behavior of Fenarimol, Chlorothalonil, and Ethoprophos in Agroforesty Field (산림농업지대에서 fenarimol, chlorothalonil 그리고 ethoprophos의 행방)

  • Kim, Eun-Hyeok;Cho, Ki-Young;Cho, Jae-Young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57 no.4
    • /
    • pp.341-345
    • /
    • 2014
  • Fate of fenarimol, chlorothalinol, and ethoprophos sprayed to control disease and pest was studied in a agroforest culture field of Jangsu-gun, Jeollabuk-do, Korea. Concentrations of fenarimol, chlorothalinol, and ethoprophos in runoff water ranged mostly to 0.2 mg/L at the first rainfall-runoff event. And then was rapidly decreased than detection limit at 60 days after the application. The fenarimol and chlorothalonil residue in soil was dissipated to below detection limit at 30 days after the application. But ethoprophos was decreased to below detection limit at 135 days after the application. The concentrations of experimental pesticides were highly detected in agroforest culture field than in open culture field. It is assumed that experimental pesticides were strongly adsorbed by organic matter such as fulvic acid and humic acid.

Analysis of evapotranspiration in the Imjin River Basin (임진강 유역의 증발산량 분석)

  • Dong Phil Kim;Joo Hu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23-323
    • /
    • 2023
  • 유역의 증발산량 자료는 물순환 과정을 규명하는 매우 중요한 자료 중의 하나이며, 물순환 성분별 명확한 산정 결과는 수자원 개발과 물환경 보전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임진강 유역(유역출구(한강합류점) 기준, 유역면적 8,138.9km2)을 대상으로 5개년(2018~2022) 기상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증발산량을 산정하였으며, 그 외의 수문관측자료를 통해 물수지 분석도 수행하였다. 증발산량 산정은 세계식량기구(FAO)에서 제시한 Penman-Monteith equation을 적용하여 일별증발산량을 산정하였으며, 작물의 종류에 따른 계수는 잔디의 경우를 채택하였다. 본 방정식을 통해 산정된 증발산량(ETo)은 기준작물에 수분의 공급에 제한이 없는 상황에서 산정된 기준 증발산량(reference evapotranspiration)을 의미하며, 기준 증발산량을 실제 증발산량으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작물계수를 고려해야 한다. 작물계수는 식생의 높이, 알베도, 식생의 저항, 토양으로부터의 증발 등의 영향을 받게 되나, 더욱더 명확하게는 식물에서의 증산을 설명하는 기본 작물계수와 토양에서의 증발을 설명하는 토양계수의 합을 통해 계수를 산정하게 된다. 임진강 유역에 공간적으로 분포된 작물계수를 정확히 산정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잔디의 경우로 한정하여 산정된 기준 증발량은 833.0mm(5개년 평균값)이다. 각 물순환 성분별로 생성된 임진강 유역의 5개년 평균값인 유역평균강우량은 1,412.9mm이며, 하천유출량은 804.9mm(유역평균강우량 대비 57.0%), 실제 증발산량은 442.3mm(유역평균강우량 대비 31.3%, 기준 증발산량 대비 약 53.0%), 유역저류량은 165.7mm(유역평균강우량 대비 11.7%)이다. 유역평균강우량은 8개 관측소(양덕, 원산, 신계, 개성, 평강, 철원, 동두천, 파주) 강우량의 유역평균값이며, 하천유출량은 유역출구의 상류 관측소인 비룡대교 관측소(유역면적 6,784.0km2) 유출량의 유역면적비 적용값이다. 실제 증발산량은 기준 증발산량 산정값에 해당 유역내 존재하는 설마천 유역의 기준 증발산량과 실제 증발산량 비율(약 53.0%)을 적용한 값이며, 유역저류량은 전제적인 물수지 분석을 통해 얻어진 추정값이다. 이와 같이 산정된 물순환 성분별 자료는 유역의 물순환 과정 규명을 위한 기초자료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유역 물관리를 위한 의사결정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alysis of evapotranspiration in the Seolmacheon catchment (설마천 유역의 증발산량 분석)

  • Dong Phil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22-322
    • /
    • 2023
  • 유역의 증발산량 자료는 물순환 과정을 규명하는 매우 중요한 자료 중의 하나이며, 물순환 성분별 명확한 산정 결과는 수자원 개발과 물환경 보전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운영하는 설마천 유역(전적비교 수위관측소 기준, 유역면적 8.48km2)의 5개년(2018~2022) 기상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증발산량을 산정하였으며, 그 외 강우량, 하천유출량, 지하수함양량 자료를 이용하여 물수지 분석도 수행하였다. 증발산량 산정은 세계식량기구(FAO)에서 제시한 Penman-Monteith equation을 적용하여 일별 증발산량을 산정하였으며, 작물의 종류에 따른 계수는 잔디의 경우를 채택하였다. 본 방법을 통해 산정된 증발산량(ET0)은 기준작물에 수분의 공급에 제한이 없는 상황에서 산정된 기준 증발산량(reference evapotranspiration)을 의미하며, 기준 증발산량을 실제 증발산량으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작물계수를 고려해야 한다. 작물계수는 식생의 높이, 알베도, 식생의 저항, 토양으로부터의 증발 등의 영향을 받게 되나, 더욱더 명확하게는 식물에서의 증산을 설명하는 기본 작물계수와 토양에서의 증발을 설명하는 토양계수의 합을 통해 계수를 산정하게 된다. 설마천 유역에 공간적으로 분포된 작물계수를 정확히 산정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잔디의 경우로 한정하여 산정된 기준증발량은 885.9mm(5개년 평균값)이다. 각 물순환 성분별로 생성된 설마천 유역의 5개년 평균값인 유역평균강우량은 1,307.3mm이며, 하천유출량은 799.7mm(유역평균강우량 대비 61.2%), 실제 증발산량은 469.5mm(유역평균강우량 대비 35.9%, 기준 증발산량 대비 약 53.0%), 유역저류량은 38.1mm(유역평균강우량 대비 2.9%)이다. 유역평균강우량은 3개 관측소(감악산, 설마리, 전적비교) 강우량의 유역평균값이며, 하천유출량은 유역출구의 수위-유량관계곡선식 환산유량, 유역저류량은 과거년(2012~2018)의 지하수 관측자료를 통해 산정된 지하수함양량을 기초로 하였다. 그리고 실제 증발산량은 기준 증발산량 산정값과 전체적인 물수지 분석을 통해 얻어진 값이다. 이와 같이 산정된 물순환 성분별 자료는 유역의 물순환 과정 규명을 위한 기초자료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유역 물관리를 위한 의사결정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he Characteristics on the Groundwater Level Change and Rainfall-Runoff in Moojechi Bog (무제치늪 지역의 지하수위 변동과 강우의 유출 특성)

  • 이헌호;김재훈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6 no.3
    • /
    • pp.239-248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level change and rainfall-runoff processes at the Moojechi Bog located in Mt. Jeungjok, Ulsan. The average runoff rate of bog was 0.58 which is similar to that of general mountainous watershed. In the short term hydrograph, runoff was increased slowly and It took a long time to arrive peak flow. After that time, the decreasing pattern of runoff was slower than that of general mountainous watershed. In case of the long term water budget, the Moojechi Bog had a abundant base flow and runoff was continued in spite of non rainfall period. The groundwater level was arrived peak flow immediately after rain stop but was decreased very slowly until the next rain. The change pattern of long term groundwater level was very similar to that of the amount of rain and discharge. The higher rainfall intensity was, the lower slope of recession curve on the groundwater level was and the longer rainfall duration was, the longer peak flow was. Judging from these results, Moojechi bog could be evaluated to have a constant groundwater level.

Study on Pesticide Runoff from Soil Surface-I, Runoff of Captafol by Natural Rainfall in Field (농약의 토양 표면유출에 관한 연구-I 포장에서 자연강우에 의한 Captafol의 유출특성)

  • Kim, Yong-Hwa;Kim, Jeong-Han;Park, Chang-Kyu;Kim, Kyun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39 no.6
    • /
    • pp.488-493
    • /
    • 1996
  • As a first step of pesticide runoff studies, runoff losses of captafol were measured under natural rainfall conditions in apple orchard area. The maximum concentration of captafol was 180 ppb at 5 th sampling period when the rainfall occurred within 24 hours after captafol was applied, and the concentration of samples from other periods was below than 20 ppb. Total runoff loss of captafol was below 0.1%. About 10 fold of dilution factor was observed at the merging point with stream near outlet from orchard and about 50 fold was observed at the next merging point which is located further down. Therefore, captafol will not harm the aquatic organisms due to dilution factor$(10{\sim}50\;fold)$ and rapid hydrolytic degradation rate even when it was run off into a stream nearby.

  • PDF

Characteristics of soil erosion from steep slope of sandy loam (사양토 급사면의 토양침식 특성)

  • Hwang, Yoonhee;Park, Sang Deog;Shin, Seung Sook;Yoon, Yun Min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37-137
    • /
    • 2017
  • 우리나라는 산지가 64%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토양침식 위험성이 큰 급경사지가 많다. 산지사면 토양은 대부분 사질토와 사양토로 이루어졌다. 급경사면에서의 토양침식이 많이 발생함에도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양토로 구성된 나지사면에 대한 토양침식 특성을 파악하고자 강우모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강우모의 실험의 강우강도는 전국의 확률강우분포 3~200년 빈도의 30분 강우강도인 60mm/hr~130mm/hr의 범위였다. 사면경사는 급경사지 범위을 대표하는 $24^{\circ}$$28^{\circ}$에서 실험을 하였다. 실험은 발생하는 지표유출과 지표하유출를 수집하여 측정하였으며, 지표표면에 잉크를 뿌린 다음 실험을 동영상 촬영하여 속도를 측정하였다. 지표유출량을 건조로에 넣고 건조시켜 토양침식량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강우운동에너지는 광학디스트로메터(Pasivel)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강우운동에너지를 측정한 결과 $800J/m^2{\sim}1700J/m^2$ 범위였다. 강우강도가 클수록 지표유출량과 토사유출량은 증가하였다. 경사가 증가함에 따라 지표유출량은 큰 변화가 없으나, 토양침식량은 크게 증가하였다. 지표하유출량은 강우강도와 경사가 증가하여도 큰 변화가 없었으며, 강우 발생이 멈추면 즉시 감소하였다. 사양토의 점토성분이 강우의 침투를 저해하고, 모래보다 많은 양의 물을 함유하는 있는 것으로 파악 되었다. 그러나 사질토보다 토양입자가 작은 사양토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토양침식이 발생하였다. 강우에너지가 증가하면 유사농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강우에너지가 증가함에 따라 지표유출량의 증가율에 비해 토양침식량의 증가율이 작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orrelation Analysis of Runoff and Water Quality Factor of the Seolma-Cheon Experimental Catchment (설마천 시험유역의 유량과 수질인자의 상관관계 분석)

  • Kim, Dong-Phil;Jung, Sung-Won;Kim, Su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626-1630
    • /
    • 2006
  • 본 논문의 목적은 설마천 시험유역을 대상으로 2005년의 신뢰성 있는 수문 수질자료를 바탕으로 유역의 유출거동에 따른 수질인자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시험유역에서는 10분 단위의 연속적인 우량 및 수위관측과 연간 30회 이상의 유량측정성과를 통하여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개발하여 유량을 산정하고 있으며, 수질분석을 위한 시료채취는 유량측정시 현장에서 채취하여 실험실에서 분석하였다. 실험실에서 분석한 항목은 DO, BOD, COD, T-N, T-P, F, Cl, $NO_3-N,\;SO_4$, pH, 전기전도도로 총 11개 항목으로 수질측정은 우기가 시작되는 시기인 $6{\sim}9$월에 집중적으로 측정 분석하였으며, 강우가 시작되기 직전과 강우가 시작되어 유량이 증가되는 시기를 선정하여 각각 20회의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측정된 수질자료를 이용하여 2개 측정지점에 대한 각 항목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강우가 시작되기 직전과 강우기에 대하여 각 항목간의 상관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선행강우의 일수에 따라 유출의 거동에 따른 BOD, COD, DO, T-N, pH의 농도변화를 비교 검토하였다. 2개 지점의 상관분석 결과는 오염물질간 상관성이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강우가 시작되기 직전과 강우기에 대한 각 항목간의 상관분석 결과는 유량은 전기전도도 항목과 상관도가 높게 나타났을 뿐 다른 항목은 없었으며, 수질항목간 상관도도 유기물질들 사이에서만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비강우기에는 질소성분의 항목과 전기전도도가 높은 상관도를 나타내었지만 강우기에는 유기물질과 질소성분의 항목간에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선행강우의 일수에 따라 유출의 거동에 따른 BOD, COD, DO, T-N, pH의 농도변화를 비교 검토한 결과 선행강우일수가 클수록 전반적으로 DO, COD, BOD의 농도는 수문곡선의 형상과 비슷하게 증가 하였다가 감소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으며, T-N은 선행강우일수가 큰 상태에서는 농도가 증가하였으나 선행강우가 작을수록 일정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pH는 홍수기의 유량의 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한 값을 유지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nalysis on the groundwater usage in Pyoseon area by using the integrated SWAT-MODFLOW model (SWAT-MODFLOW모형을 이용한 표선 지역 지하수 이용량 분석)

  • Kim, Nam-Won;Chung, Il-Moon;Yoo, Sang-Yeon;Lee, Jeo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939-1944
    • /
    • 2009
  •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도서지역인 제주도는 일반 내륙지역과 달리 지표수-지하수에 대한 연구가 지하수계에 대한 연구에 비해 미미한 실정이다. 제주도의 경우 내륙과 달리 대부분의 하천이 평상시 건천의 형태로 유지되며, 일정한 강우가 도달해야만 지표유출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하천특성은 내륙과 매우 상이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역 수문해석 방법으로는 수문성분의 정확한 산정을 기대하기 어렵고 이로 인해 지하수 해석에 있어서도 불확실성이 크게 증가하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지표수의 정확한 거동과 지하수 해석의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해 유역개념의 물순환을 해석할 수 있는 지표수-지하수 연계 해석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삼다수 먹는샘물 환경영향조사'가 수행되어 비교적 정확한 지하수위 관측 자료가 확보되어 있고, 매우 제한적이기는 하나 하천의 유출량 조사가 수행된 바 있는 제주 표선 유역에 완전연동형 지표수-지하수 해석 프로그램인 SWAT-MODFLOW을 이용하여 지표수 유출성분과 지하수 유동변화를 동시에 고려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특히 MODFLOW의 Well 패키지와 SWAT의 물이동 옵션을 결합하여 표선유역의 198개 관측공의 양수를 동시에 모의하였다. 모의결과 지하수위는 비교적 양수에 비해 안정되게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를 통해 현재 삼다수 공장의 양수량은 현재로서는 과다양수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었다. 현재의 양수량의 10배를 가정하여 모의를 한 결과, 지하수위는 함양에 의해 다시 회복되는 결과를 보이고 있어 이 지역의 실제 개발가능량에 대한 보다 심도있는 논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나아가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제주 지역의 전체의 지하수 개발가능량을 산정할 경우 제주지역의 지하수 관리방안이 새롭게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he Development of Fully Coupled SWAT-MODFLOW Model (I) Model Development (완전 연동형 SWAT-MODFLOW 결합모형 (I) 모형의 개발)

  • Kim, Nam-Won;Chung, Il-Moon;Won, Yoo-Seu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7 no.6
    • /
    • pp.499-507
    • /
    • 2004
  • In this study, the fully coupled SWAT-MODFLOW model is developed by using the type of embedment MODFLOW in SWAT. Since SWAT model has semi distributed features, its groundwater component can't consider distributed parameters such as hydraulic conductivity, storage coefficient and spatially variable natures such as distribution of groundwater heads and pumping rate and so forth.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is linkage is completed considering the interaction between stream network and aquifer to reflect boundary flow. To correspond HRU in SWAT to grid in MODFLOW, HRU-GRID conversion tool using DEM is newly suggested. As groundwater recharge of MODFLOW can be estimated accurately by SWAT model, the reliability of groundwater discharge and total runoff of watershed could be greatly enhanced.

An Evaluation of Snowmelt Effects Using SWAT in Chungju Dam Basin (SWAT을 활용한 충주댐 유역의 융설 영향 평가)

  • Kim, Nam-Won;Lee, Byong-Ju;Lee, Jeong-E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9 no.10 s.171
    • /
    • pp.833-844
    • /
    • 200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nowmelt effects on the hydrological components, especially on the runoff, by using the soil water assessment tool(SWAT) which is a continuous semi-distributed long term rainfall-runoff model. The model was applied to the basin located in the upstream of the Chungju Dam. Some parameters in the snowmelt algorithm were estimated for the Chungju basin in order to reflect the snowmelt effects. The snowmelt effects were assessed by comparing the simulated runoff with the observed runoff data at the outlet of the basin. It was found out that the simulated runoff with considering the snowmelt component matches more satisfactorily to the observed one than without considering snowmelt effect. The simulation results revealed that the snowmelt effects were noticeable on March and April. Similar results were obtained at other two upstream gauging points. The effect of the elevation bands which distribute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with elevation was analyzed. This study also showed that the snowmelt effect significantly affects the temporal distribution as well as quantity of the hydrological components. The simulated runoff was very sensitive to the change of temperature near the threshold temperature which the snowmelt can occur. However, the reason was not accounted for this paper, Therefore, further analyses related to this feature are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