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전자 재조합 균주

검색결과 159건 처리시간 0.021초

Pseudomonas sp. DJ77 균주에서 Extradiol Dioxygenase를 암호화하는 phnQ 유전자의 클로닝과 대장균에서의 발현 (Cloning of phnQ Gene Encoding Extradiol Dioxygenase from Pseudomonas sp. DJ77 and Its Expression in Escherichia coli)

  • 신희정;박용춘;민경희;김치경;임재윤;김영창
    • 미생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2-26
    • /
    • 1997
  • Pseudomonas sp. DJ77의 게놈 library로부터 phenanthrene 분해에 관련된 유전자를 포함하는 약 5-kb의 XhoI 절편을 pBLUESCRIPT SK(+)로 클로닝하였으며, 이 재조합 plasmid를 pUPX5라 명명하였다. 이 재조합 균주에 catechol과 2,3-dihydroxybiphenyl 용액을 분무하면 노란색의 meta-cleavage 화합물이 생성됨을 관찰 할 수 있었다. 그리고 효소 활성을 측정한 결과 catechol에서보다 2,3-dihydroxybiphenyl에 더 큰 활성을 나타냈다. 이 부분에 존재하는 2,3-dihydroxybiphenyl 1,2-dioxygenase 유전자의 위치를 결정하고, 이 유전자를 phnQ라 명명하였다.

  • PDF

Paenibacillus sp. JB-13 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 유전자의 E. coli 에서의 발현 및 최적 생산 (Expression and Optimum Production of 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 Gene of Paenibacillus sp. JB-13 in E. coli)

  • 김해윤;이상현;김해남;민복기;백형석;전홍기
    • 미생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74-79
    • /
    • 2008
  • L-ascorbic acid (AA)의 2번 위치의 수산기에 부위 특이적 활성을 갖는 Paenibacillus sp. JB-13 유래의 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 (CGTase, EC 2.4.1.19) 유전자(cgt gene)를 pEXP7 발현 vector에 클로닝하여 재조합 균주를 구축하였다. 재조합 균주의 CGTase생산 최적 조건을 검토하여 본 결과 LB 배지에 0.5% glucose, 3.0% polypeptone, 0.3% $K_2HPO_4$, 0.5% NaCl이 되도록 추가하고, 초기 pH 7.0, 접종량 2%, 통기량 0.1 vvm, 배양 온도 $37^{\circ}C$, 배양 시간 14시간의 조건에서 최대 활성을 나타내었다. 재조합 균주와 기존 균주의 CGTase 활성을 비교한 결과 재조합 균주는 배양 14시간째 640 units/ml의 활성을 가져 기존 균주에 비해 70%의 활성을 나타내지만 배양 시간을 1/4로 단축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재조합 균주가 생산한 CGTase를AA-2G합성에 적용하여 AA-2G를 합성하고 HPLC로 분석한 결과 단일 peak를 확인할 수 있었고 ${\alpha}$-glucosidase를 처리하여 확인한 결과 AA와 glucose로 분리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출아효모에서 재조합 neoagarobiose hydrolyase의 생산을 위한 최적 발현시스템 (Optimal Expression System for Production of Recombinant Neoagarobiose Hydrolyase in Saccharomyces cerevisiae)

  • 정혜원;김연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662-66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Saccharomyces cerevisiae를 이용해서 neoagarobiose hydrolase (NABH)를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한 NABH558 유전자 발현시스템을 구축하였다. ADH1 promoter와 GAL10 promoter 하류에 NABH558 유전자를 가진 pAMFα-NABH plasmid와 pGMFα-NABH plasmid는 S. cerevisiae 2805 균주에 형질전환되었다. 2805/pAMFα-NABH 균주는 YPD (2% dextrose) 배지에서 가장 높은 NABH 효소 활성(0.069 unit/ml/DCW)을 보였고, 2805/pGMFα-NABH 균주의 경우는 배지의 조성과 상관없이 비슷한 수준의 NABH 활성(0.02-0.027 unit/ml/DCW)을 보였다. RT-PCR을 통한 NABH558 유전자의 transcription level은 NABH 활성 증가에 따라 비슷한 수준으로 증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재조합균주에서 생산된 NABH는 agarose를 galactose와 AHG로 분해하였다. 따라서 NABH558 유전자의 발현에는 ADH1 promoter를 사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며 GAL10 promoter와 비교해서 최대 3배정도 높은 활성의 재조합 NABH를 생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양한 난분해성 방향족 탄화수소를 분해하는 Pseudomonas의 균주개발 (Development of Versatile Strains of Pseudomonas Degrading Various Persistent Aromatic Hydrocarbons)

  • 이지현;최인성;박경량;박용근;이영록
    • 미생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36-242
    • /
    • 1990
  • 여러가지 난분해성 방향족 화합물을 분해하는 균주들을 개발하기 위해 2,4-D 분해 유전자를 갖는 재조합 플라스미드 pKG2. 나프탈렌 분해 유전자를 갖는 재조합 플라스미드 pKG3 그리고 TOL 플라스미드를 합성세제 분해능을 갖는 P p pulida KUD12와 프탈산에스테르를 분해하는 P.pUlida KUPlO에 각각 형질전환 또는 접합시켰다. P.pulida KUD12로부터 KUDIOl(pKG2), KUDI02(pKG3). KUDI03(TOL), KUD202(pKG3, TOL) 균주판, 또 P.pulida KUPlO으로부터 KUD 106(pKG2). KUD107(pKG3), KUD108(TOL) 균주을 각각 개발하였다. 개발균주의 분해능은 KUD101과 KUD102 그리고 KUD107이 원분해 균주와 비솟하였고, KUDI03과 KUD106 그리고 K KUD202는 원분해 균주보다 분해능이 떨어졌고 KUD108의 분해능은 원균주보다 우수하였다. 개발균주들의 혼합배양 에서는 KUD 107과 KUD108의 혼합배양이 다른 혼합배양틀보다 분해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유전자 재조합 대장균을 사용한 Alpha-interferon의 생산과 분비: 제2부. 재조합 균주의 생장특성 (Extracellular Production of Alpha-Interferon by Recombinant Escherichia coli: Part II. The Growth Behavior of the Recombinant Cells)

  • 노갑수;최차용
    • KSBB Journal
    • /
    • 제5권3호
    • /
    • pp.195-200
    • /
    • 1990
  • 대장균의 lipoprotein promoter, lactose promotor 및 operator 와 lipoprotein의 signal sequence 를 가지는 vector에alpha-IFN 유전자가 cloning된 plasmid pIF-Ill-B를 여러종류의 대장균 숙주 세포에 형칠전환하여 alpha-IFN 의 생산성, 생장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plasmid 자체와 cloning된 alpha-IFN 유전자의 발현유도가 세포생장에 미치는 영 향을 조사하였다.

  • PDF

항균활성을 보유한 재조합 Pichia pastoris 균주의 개발 (Development of a Recombinant Strain of Pichia pastoris with Antibacterial Activity)

  • 강대욱;이준원;허건영;안종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96-503
    • /
    • 2002
  • 곤충에서 유래한 항균 펩티드, defensin을 항균활성이 있는 활성적인 형태로 분비하는 Pichia 균주를 개발하기 위한 일환으로서 MF$\alpha$1 prerpo sequence와 defensin 합성유전자를 pichia 발현 벡터에 재조합하여 형질전환하고 아미노산 histidine을 첨가하지 않은 최소 배지에서 형질전환체를 일차적으로 선별하였다. 선별한 형질전환체를 대상으로 항생제 G-418에 대한 내성과 M. luteus를 시험균으로 사용하여 생육환 저해를 통한 defensin의 세포 외 분비를 조사하여 4 균주를 선택하고 분석하였다. Southern hybridizaion을 통해 숙주의 염색체 DNA에 삽입한 defensin 유전자가 유지됨을 확인하였으며 전체 RNA를 분리하고 RT-PCR을 수행하여 defensin mRNA를 증폭하고 Southern hybridization을 실시한 결과 증폭된 밴드는 probe로 사용한 defensin 유전자에 의해 양성 신호가 나타났다. 배양시간에 따른 4 균주의 세포성장과 항균활성을 비교하기 위해 BMMY 배지에서 96시간 배양하였다. 세포성장은 모두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세포성장은 48시간 동안 급격하게 증가한 후 그 이후로는 정지기에 도달되었다. 항균활성도 48시간까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항균활성이 가장 높은 형질전환체 균주 3는 72시간 배양 시 550 AU/$m\ell$을 나타내었다.

재조합 단백질 과발현을 위한 Bacillus snbtilis 포자형성 변이주의 개발 및 특성 분석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Sporulation Mutants for Overexpression of Recombinant Protein of Bacillus subtilis)

  • 오민규;박승환김병기
    • KSBB Journal
    • /
    • 제9권1호
    • /
    • pp.16-25
    • /
    • 1994
  • Bacillus subtilis를 재조합 이종 단백질 생산 균주로 만들기 위하여 포자형성 변이주를 만들었다. 균주는 두 개의 프로테아제가 제거된 균주인 DB104로부터 spoOJ와 spoIIG 변이주를 유전자 조작법에 의해 만들고 두 개의 유전자가 모두 제거된 균주도 만들었다. 이에 목적 aprE 유전자를 삽입 벡터 형태로 만들어 integration시킨 뒤 변이주 각각의 형태적인 변화를 투과성 전자현미경으로 살펴 보았다. 각각 변이주의 모습은 이전에 보고된 것과 거의 일치하였으며 spoOJ spoIIG 이중포자변이주의 경우는 spoIIG 변이주와 더욱 닮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훨씬 주름진 것과 같은 투박한 세포벽 및 막을 가지고 있음을 관찰하였다. spoOJ 변이는 포자형성 빈도를 낮추고 aprE 활성을 감소시키는 반면, spoIIG 변이는 포자형성을 거의 하지 않으면서 aprE 활성에 상승효과를 가져왔다. spoOJ와 spoIIG 이중포자변이주는 spoOJ 변이의 효과는 거의 나타나지 않은채, spoIIG와 비슷한 aprE 활성을 보였다.

  • PDF

원형질체(原形質體) 융합(融合)에 의한 느타리와 여름느타리버섯의 종간(種間) 교잡(交雜) (Interspecific Hybridization between Pleurotus ostreatus and Pleurotus sajor-caju by Protoplast Fusion)

  • 유영복;이행숙
    • 한국균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78-385
    • /
    • 1994
  • 느타리 Pleurotus ostreatus와 여름느타리 Pleurotus sajor-caju의 영양요구주로부터 분리한 원형질체를 polyethylene glycol로 융합하여 종간 이질핵체 heterokaryon를 획득하였다. 불화합 균주간에는 9 융합조합에서 70개 융합주를 획득하여 7 융합주의 자실체를 유도하였으며 화합 균주간에는 1조합에서 모두 자실체를 형성하였다. 화합 균주간 융합주를 제외하고는 불화합성간 융합체는 꺽쇠연결체 clamp connections가 없었고 한천배지나 액체배지에서는 자실체를 형성하지 않았다. 그러나 활엽수톱밥과 미강이 혼합된 배지에서 균사가 완전히 성장한후 일정한 광과 온도를 처리한 결과 꺽쇠연결체 있는 균사가 다시 성장하였으며 이들 균사에서 버섯자실체가 형성되었다. 버섯자실체는 양친의 중간형태로 갓 색깔도 양친이 혼합된 orange grey-brownish grey로 나타났다. 그러나 다소의 자실체 형질인 자실층 hymenium, 버섯대, 생장습성은 느타리를 닮았는데 특히 여름느타리가 단생 closely scattered인데 비해 느타리는 속생 caespitose으로 느타리와 유사하였다. 자실체는 모두 꺽쇠연결체를 가졌으며 조직배앙한 결과 균사가 모두 꺽쇠연결체를 가져 본래 융합주와는 다른 형태로 변하였다. 6융합조합 8균주의 $F^2$에서의 유전형질 분리와 유전자 재조합을 분석한 결과 원영양형 prototroph이 양친 느타리형, 여름느타리형, 영양요구성 유전자 재조합형에 비해 많이 분리되었으며 3개조합에서 양친에 없는 유전자좌가 나타났다. 자실체가 형성되지 않는 융합주 P188과 사철느타리 ASI 2-3-rib와 균사접합 한 후 임성을 유도하여 유전분석한 결과 원영양형이 적게 분리되었고 여름느타리 양친형이 분리되지 않았으며 3친주 형질이 모두 유전자 재조합형으로 분리되었다.

  • PDF

L-페닐알라닌 대량생산을 위한 재조합 플라스미드 구성 (Construction of Plasmids for Overproduction of L-Phenylalanine)

  • 이새배;박청;원찬희;최덕호;임번삼
    • 미생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69-173
    • /
    • 1990
  • E. coli를 이용하여 L-phenylalanine을 대량 생산하기 위한 재조합 플라스미드 pMW10, pMW11과 pMW 12를 구성하였다. L- Phenylalanine 생산을 위한 유전자 $aroF^{FR}$, $pheA^{FR}$은 E. coli MWEC 101-5 균주로부터 분리하였다.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함유하고 있는 E.coli 대사 조절변이주들의 L-phenylalanine 생산생과 안전성을 조사하여 $aroF^{FR}$, $pheA^{FR}$유전자들의 효율을 알아보았다. MWEC 101-5/pMW 11 균주에서는 24.3 g/I의 L-phenylalanine이 생산되었으나, 플라스미드의 안정성은 73.8%였다. 본 균주의 prephemte dehydratase, 고유 활동도는 E. coli K-12에 비하여 26배 증가된 것이다.

  • PDF

Brevibacterium lactofermentum에서 ddh 유전자의 Overexpression이 $_L-Lysine$ 생산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n Lysine Production by Overexpression of the ddh Gene in a Lysine-producing Brevibacterium lactofermentum)

  • 박선희;김옥미;김현정;배준태;장종선;이갑랑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24-230
    • /
    • 1999
  • $_L-Lysine$ 발효산업에 이용되고 있는 B. lactofermentum의 L-lysine 생합성은 succinylase 경로와 dehydrogenase 경로를 통하여 일어난다. 특히 lysine 생산 균주에 부가적으로 존재하는 dehydrogenase 경로는 lysine 생합성에 있어서 필수적인 경로로 작용하며 이때 meso-DAP-dehydrogenase (DDH)를 암호화하는 ddh gene이 관여한다. 그러므로 B. lactofermentum의 lysine 발효에 있어서 ddh gene의 over expression에 의한 lysine 생성량을 비교 조사하기 위하여, shuttle vector pEB1 및 pJC1으로 ddh gene을 삽입하여 재조합 plasmid pRK1 및 pRK31을 구축하였고 이를 B. lactofermentum으로 도입시켜 DDH 활성을 측정한 결과 pRK1을 함유한 균주는 대조균주보다 7배 정도, pRK31을 함유한 균주는 14배 정도 증가하였다. 또한 Shuttle vector를 함유한 대조균주와 재조합 plasmid를 함유한 균주간의 성장 비교에서는 서로 비슷한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플라스크 배양에서 lysine 생성량의 비교 분석에서는 재조합 plasmid를 함유한 균주의 경우 48시간 이후부터 대조균주보다 lysine 생성량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72시간때에는 최대치를 나타내었으며 그 이후는 오히려 감소하였다. 최대치를 나타낸 72시간 때의 lysine 생성량은 대조균주가 4.38g/L를 나타내었으며 pRK1 및 pRK31을 함유한 균주는 각각 5.34g/L 및 5.21 g/L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B. lactofermentum내에서 ddh gene의 증폭에 의한 lysine 생성량은 pRK1 및 pRK31에서 대조균주보다 각각 20% 및 19% 증가하였다. 또한 발효조 배양에서의 lysine 생성량도 재조합 균주가 대조균주보다 23% 정도 증가를 나타내어 B. lactofermentum에서 ddh gene의 증폭으로 lysine 생성량이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