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용유산균

Search Result 91,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유산균의 분자 생물학적 육종

  • Kim, Wang-Jun
    • Bulletin of Food Technology
    • /
    • v.7 no.2
    • /
    • pp.13-15
    • /
    • 1994
  • 유산균은 발효유, 치즈, 발효 sausage 및 채소의 생산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과거 15~6년간 이들 유산균에 대한 경제적 중요성은 매우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유산균의 유전학과 plasmidbiology를 이해함으로써 이들 균에 대한 분자 생물학적 육종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유산균에서 잘 기능을 하는 cloning vector들이 많이 개발되었으며 transduction, conjugation, transformation, electroporation 등의 외부 유전자를 전달하는 방법으로 보다 개발된 유산균이 육종되어 왔다. 이 총설은 산업적으로 유용가치가 높은 유산균의 육종에 관한 최신동향 및 앞으로의 전망 등에 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 PDF

한국형 유산균의 in vitro에서 장내유해효소의 억제효과

  • 박혜영;김동현;배은아;한명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7.04a
    • /
    • pp.83-83
    • /
    • 1997
  • 사람의 장내에 서식하는 장내세균은 사람의 건강을 지켜주는 유용균과 나쁜 영향을 주는 유해균이 있으며 이들 양자의 균형에 의하여 건강상태가 조절되고 있다. 사람의 건강에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용균의 대표적인 것이 Bifidobacterium이다. 이 Bifidobacterium은 장내에서 lactic acid 및 acetic acid를 생산하여 장내의 pH를 산성으로 유지시키고 부패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며 신체를 유해세균의 작용으로부터 방어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하고 있는 Bifidobacterium은 대부분 외국에서 개발된 것으로 한국인에게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정확한 보고가 없으며 한국인의 장내균총으로부터 유산균이 분리된다면 한국인에게 가장 잘 정착될 수 있는 균주일 것으로 생각된다.

  • PDF

Rubus coreanus Miquel Bioconversion of Metabolites by Fermenting Bacteria and Their Functional Enhancement (복분자 기능성 증대를 위한 유용미생물 활용 생물전환 공정 도입 방안 연구)

  • Lim, Jeong-Muk;Choi, Ui-Lim;Kim, Joong-Oh;Lee, Jeong-Ho;Oh, Byung-Taek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04a
    • /
    • pp.65-65
    • /
    • 2018
  • 복분자(Rubus coreanus Miquel)는 anthocyanin, phenolic acid, tannin, flavonoid, stilbenoid와 같은 생리활성물질이 풍부하게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항염증, 항암활성, 항산화효과 등 다양한 생리활성에 대한 효능이 있어 건강식품으로써 애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약용성 건강보조식품 등으로 각광받고 있다. 생물전환(Bioconversion)은 미생물 또는 효소의 생물학적 촉매 기반 천연소재의 생리활성 물질기능성, 생체이용률, 안전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아울러 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성화 되고 있다. 본 연구는 불가사리 발효액으로부터 유산균을 분리하였으며, 유전학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16S rDNA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전북 고창에서 수확된 복분자를 분말상태로 유산균과 발효공정을 수행하였으며, 복분자의 최적 추출조건 선정과 발효공정 전 후의 활성을 관찰하였다. 발효공정 후 추출물의 기능성 평가를 진행하기 위하여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otal polyphenol 함량을 확인하여 항산화 효능 및 유효성분 함량을 평가하였다. 또한 대식세포인 Raw 264.7을 사용하여 MTT assay, Nitric oxide (NO) 생성 억제 효능을 확인하여 세포독성 및 항염증 활성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발효기간이 다른 불가사리 비료발효액으로부터 16 종의 다양한 균주를 확보하였으며, 생물전환 공정에 유용 균주를 선정하기 위하여 복분자 분말의 발효공정을 실시한 결과 3 종의 유산균 처리군에서 무처리군 대비 DPPH radical 소거능 및 polyphenol 함량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그 중 가장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는 균주를 16S rDNA 염기서열 분석한 결과 Lactobacillus coryniformis A6-4로 확인되었으며, 발효공정 후 항산화 활성은 무처리군 대비 약 115%, polyphenol의 함량은 무처리군 대비 약 121%로 증가됨을 확인되었다. 또한 발효공정 후 독성활성이 감소되는 경향을 확인되었으며, 항염증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 PDF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Encapsuled with Alginate Microsphere (유산균을 함유한 알긴산 미세입자의 제조와 특성)

  • Choi, Chang-Yong;Kang, Seong-Koo;Park, Seok-Kyu;Jang, Mi-Kyeong;Nah, Jae-Woon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17 no.12
    • /
    • pp.1754-1759
    • /
    • 2007
  • This study is performed to assess the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Sterpoccoccus thermophilus) loaded with alginate microsphere using alginate and chitosan for the efficient delivery of lactic acid bacteria to large intestine. Size and morphology of alginate microsphere were confirmed $6{\sim}10{\mu}m$ with spherical shape by scanning electronic microscope (SEM). Biodegradation study of alginate was investigated at different buffer solutions (pH 1.2 and 7.4). This result showed that alginate microsphere did not degrade at pH 1.2 buffer solution but it's degradation occurred from first day at pH 7.4 buffer solution. Survivability test of lactic acid bacteria in alginate microsphere showed that it was keeping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by chroma meter. Therefore, the introduction of alginate microsphere might be a potential system to efficiently delivery lactic acid to large intestine.

A Bioconversion Study on the Zanthoxylum schinfolium by Fermenting Bacteria and Their Functional Enhancement (유용 발효미생물 활용 생물전환 공정을 활용한 산초열매의 기능성 증대 방안 연구)

  • Lim, Jeong-Muk;Lee, Se-Won;Lee, Seong-Hyeon;Lee, Jeong-Ho;Oh, Byung-Taek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04a
    • /
    • pp.64-64
    • /
    • 2018
  • 생물전환(Bioconversion)은 천연소재의 기능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다양한 산업에서도 활용되고 있어 유용미생물을 기반 차세대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도입은 식품은 물론 의약품 및 화장품 산업에서도 활발히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 기능성 제품에 대한 소비가 급증함에 따라 그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산초(Zanthoxylum schinfolium)는 limonene, citronellal, phellandrene 등의 다양한 유효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유효성분들로부터 유래되는 항산화 활성과 항암활성, 항균활성 등의 효능을 지니는 것으로 보고된바 있다. 본 연구의 생물전환 공정에 사용된 유산균들은 전통 발효식품으로 알려진 다양한 젓갈류로부터 분리하였으며, 16S rD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유전학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확보된 유산균들을 사용하여 산초(전북 진안군) 분말의 발효공정을 수행하였으며, 산초의 최적 추출조건을 선정하고 추출물을 제조하여 생물전환 공정 전 후 활성의 변화추이를 관찰하였다. 추출물의 활성평가는 항산화 효능 및 유효성분 함량을 평가하기 위하여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와 total polyphenol 함량을 평가하고 세포주를 활용해 MTT assay, Nitric oxide(NO) 생성억제 효능을 확인하여 세포독성 및 항염증 활성을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생물전환 공정에 사용할 유용 미생물을 확보하기 위한 실험을 통해 다양한 젓갈류에서 다양한 미생물을 확보할 수 있었으며 약 16종의 유산균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미생물을 사용하여 산초 분말의 생물전환 공정을 실시한 결과, 5종의 유용미생물 처리에서 무처리 대비 DPPH radical 소거능 및 polyphenol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중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는 균주를 16S rD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확인한 결과 Weissella confusa D1로 확인되었다. 선별 균주를 활용한 생물전환 공정 후 항산화 활성은 대조군 대비 약 120%의 활성을 나타냈으며, polyphenol의 함량은 약 126%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생물전환 공정 후 산초추출물의 세포독성은 처리전과 비교하여 월등히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항염효능 또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

  • PDF

Biologic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 in Different Kimchi (김치 종류에 따른 유산균의 생물학적 및 기능적 특성)

  • Ko, Kang Hee;Liu, Wenli;Lee, Hyun Hee;Yin, Jie;Kim, In Cheo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2 no.1
    • /
    • pp.89-95
    • /
    • 2013
  • Biologic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 (LAB) were investigated in mustard stem/leaf kimchi (MK), cabbage kimchi (CK), young radish kimchi (YRK), and cubed radish kimchi (CRK). LAB of young radish kimchi were mainly composed of bacilli in contrast to the other kimchi. 89.2% LAB isolated from all kimchi harbored plasmids. However, LAB had an average of $4.1{\pm}0.5$ plasmid bands in YRK, more than MK, CK, and CRK. Exopolysaccharides were produced by 10.9~11.1% of LAB, and were especially by LAB isolated from radish kimchi. A significant percentage of LAB (69.5%) ha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one sensitive strain or more. LAB from CK, YRK and CRK had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Bacillus sp., Listeria monocytogenes, and Salmonella Typhimurium, while the LAB from MK had activities against Vibrio parahaemolyticus higher than those from the other kimchi. In YRK and CRK, acid-tolerant LAB were twice as prevalent as those in MK and CK. Bile-tolerant LAB isolated from CRK were more prevalent than other kimchi. When $10^8$ CFU of LAB were added to Caco-2 cells, 12.1% of LAB isolated from all kimchi showed similar adherent activity to Lactobacillus rhamnosus GG. LAB of MK particularly adhered to Caco-2 cells, 2.0~4.1 fold higher than LAB in the other kimchi. From these results, biologic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LAB varied according to the type of kimchi and LAB existing in kimchi were limited to their respective species.

Lactic Acid Fermentation of Dioscorea batatas and Its Anti-Inflammatory Effects on TNBS-induced Colits Model (TNBS에 의해 유도된 마우스 대장염모델에서 유산균 발효 마의 항염효과)

  • Hyun, Mee-Sun;Hur, Jung-Mu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54 no.1
    • /
    • pp.51-55
    • /
    • 2011
  • To develop a health-aid preparation of Dioscorea batatas (DB), lactic acid fermentation was attempted using a mixed starter comprising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plantarum, Bifidobacterium longum. The anaerobic fermentation of a 10% DB flour suspension gave a uniform suspension of pH 3.65, containing $8{\times}10^6$ CFU/mL lactic acid bacteria. During the administration of the lactic acid fermented DB (FDB) and DB to trinitrobenzene sulfonic acid (TNBS)-induced colitis mouse model, histological lesions, morphological damage, and myeloperoxidase acitivity were significantly reduced at a dosage of 200 and 400 mg/kg/day. Dose-response (200 and 400 mg/kg/day) studies revealed that FDB pre-treatment of mice significantly ameliorated the appearance of diarrhoea and the disruption of colonic architecture. In FDB-pretreated mice, there was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degree of both neutrophil infiltration (measured as decrease in myeloperoxidase activity) and weight loss rates. Theses findings suggest that FDB exerts beneficial effects in experimental colitis and may be useful in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Effects of Undaria pinnatifida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Fermented Extracts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in 3T3-L1 Cells (유산균을 활용한 미역발효추출물이 3T3-L1에서 지방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

  • Min Woo Moon;Chae Hun Ra
    •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
    • v.52 no.3
    • /
    • pp.298-303
    • /
    • 2024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otential inhibitory effect of Undaria pinnatfida fermented by Leuconostoc mesenteroides (UFM) on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in the 3T3-L1 cell line. Ethanol extracts from UFM were prepared and tested for cell viability, Oil Red O staining, and 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PCR (RT-qPCR) in 3T3-L1 adipocytes. Treatment of preadipocytes with UFM at different concentrations (50, 100, and 200 ㎍/ml) found that it inhibited lipid accumulation by 66.80%, 61.59%, and 55.94%, respectively. Furthermore, RT-qPCR showed that UFM extract reduced the gene expressions of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α (C/EBP α),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PPAR γ), adipocyte-specific lipid binding protein (aP2), fatty acid synthase (FAS), and ATP citrate lyase (ACL),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UFM can be a beneficial functional ingredient to prevent obesity in the food industry.

The Potential Probiotic and Functional Health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Foods (한국 전통발효식품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프로바이오틱스 특성 및 건강기능성 연구)

  • Ohn, Jeong-Eun;Seol, Min-Kyeong;Bae, Eun-Yeong;Cho, Young-Je;Jung, Hee-Young;Kim, Byung-Oh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30 no.7
    • /
    • pp.581-591
    • /
    • 202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biotic propertie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Korean fermented foods such as sikhae, young radish kimchi, and bean-curd dregs. Among the isolated lactic acid bacteria, Pediococcus inopinatus BZ4, Lactobacillus plantarum SH1, Lactobacillus brevis SH14, Pediococcus pentosaceus YMT1,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YMT6 demonstrated a greater than 60% survival rate at pH 2.5, along with an excellent survival rate even at 0.3% bile acid. These five bacteria showed strong flocculation ability in autoaggregation and coaggregation tests, indirectly clustering useful micro-organisms and inhibiting the attachment of pathogenic bacteria. In a cell surface hydrophobicity test, these bacteria showed adhesion to three solvents (ethyl acetate, chloroform, and xylene) and high hydrophobicity, thereby indicating excellent indirect cell adhesion to intestinal cells. The cell-free supernatants and intracellular extracts of the five lactic acid bacteria showed antioxidative activity in the form of 2,2-Diphenyl-1-picrylhydrazyl and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scavenging ability and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Antimicrobial activities were also observed in four pathogenic bacteria, namely E. coli KCTC 2571, H. pylori HPKCTC B0150, L. monocytogenes KCTC 13064, and S. aureus KCTC 1916.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se five lactic acid bacteria could be used as probiotics with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proper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