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역습윤지수

Search Result 34,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nalysis of Variance for Horton Index Using a Stochastic Soil Water Balance Model (추계학적 토양수분수지 모형을 이용한 Horton 지수 변동성 분석)

  • Park, Myung Woo;Kim, Sang D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74-474
    • /
    • 2015
  • Horton 지수는 유역에 대한 수문순환의 특성을 정량화하는 지수로서 유역의 습윤량과 기화량의 비로 산출된다. 습윤량과 기화량은 토양 수분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므로 추계학적 거동에 따른 토양수분의 동역학모형을 파악하여 Horton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추계학적인 토양수분수지 모형을 이용하여 서울, 부산, 대구, 제주 지역을 대상으로 30년간 일 기상자료(강우량, 일 평균기온, 풍속, 상대습도, 일조시간)을 이용하여 Horton 지수를 각각 산출하였으며 Horton 지수에 대한 변동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모든 대상 유역에서 기후의 계절성에 의하여 Horton 지수가 작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습윤한 기후를 가진 서울과 건조한 기후를 가진 대구에서는 각각 연 강우량이 많거나 연 강우량이 적은 해에 Horton 지수에 미치는 기후의 계절성의 영향력이 줄어듦을 살펴볼 수 있었다.

  • PDF

Entropy Interpretation On flow Distribution Algorithms (엔트로피를 이용한 흐름분배 알고리즘 해석)

  • Lee, Hak-Su;Kang, Chang-Yong;Kim, Sang-Hyung;Jung, Sung-W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6 no.2
    • /
    • pp.263-271
    • /
    • 2003
  • The wetness index has been frequently used to describ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hydrologic status on the platform of the grid based model such as TOPMODEL and THALES. The statistical and spatial distributions of the wetness index are primarily depend upon the flow determinatin algorithm. The comparison among various algorithms and the decision making of the application algorithms are desirable. The entropy is used to evaluate the information transfer patterns of the various flow determination algorithm. The Holmgren's H algorithm and the SDFAA algorithm were found to be the better scheme than the other approaches to maximize the information contents of the wetness index.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Quasi-dynamic Wetness Index and the Dynamic Wetness Index (유사 동력학적 습윤지수와 동력학적 습윤지수의 개발과 적용)

  • Han, Ji-Young;Kim, Sang-Hyun;Kim, Nam-Won;Kim, Hyun-J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6 no.6
    • /
    • pp.961-969
    • /
    • 2003
  • Formulation of quasi-dynamic wetness index was derived to predict the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the soil moisture. The algorithm of dynamic wetness index was developed through introducing the convolution integral with the rainfall input. The spatial and temporal behaviors of the wetness index of the Sulmachun Watershed was calculated using the digital elevation model(DEM) and the rainfall data for two years.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dynamic wetness index shows most dispersive feature of flow generation among the three assumptions of steady, quasi-dynamic and dynamic.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of the quasi-dynamic wetness index and the dynamic wetness index approximate to the steady state wetness index as the time step is increased. The dynamic wetness index shows mixed distribution of the normalized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Analysis of Run-off Components using Watershed Management Model (유역관리모형을 활용한 유출성분 분석)

  • Lee, Sang-Jin;Hwang, Man-Ha;Sin, Hyeon-Ho;Sin, Yong-N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728-732
    • /
    • 2008
  • 일반적으로 유역의 유출량을 모의하는 경우 강우-유출모형을 구축한 후 해당 모형에서 제공하는 유출결과를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모형에 의한 유출결과는 단편적인 유출총량에 대해서만 검증된 결과이기 때문에 기저 및 직접유출성분 각각의 적정에 대한 신뢰성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금강유역을 대상으로 SSARR모형을 적용하고 단순 유출결과 뿐만 아니라 유출성분별로 결과값을 도출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분리주파수 기법을 활용하여 관측값의 유출성분을 분리하고, 모의결과와 서로 비교하였다. 이와같이 적용 검증된 모형을 토대로 유출성분 뿐만 아니라 소유역별 습윤상황과 용수이용정보 등 유출지표를 산정하여 효율적 유출관리 지원을 위한 기초 수문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PDF

Characterizing the Spatial-temporal Distribution of Soil Moisture for Sulmachun Watershed Through a Continuous Monitoring (설마천 유역의 토양수분 장기 모니터링을 통한 토양수분 시공간 변화양상의 특성화)

  • Lee, Ga Young;Kim, Ki Hoon;Kim, Sang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209-214
    • /
    • 2004
  • Time Domain Reflectometry with multiplex system has been installed to configure the spatial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of soil moisture in a mountainous hillslope. An intensive surveying was performed to build a refined digital elevation model and flow determination algorithms with inverse surveying have been applied to establish an efficient soil monitoring system. Steady state wetness index, quasi-dynamic wetness index and fully dynamic wetness index have been calculated. Continuous monitoring of soil moisture data were analyized with wetness indices. Limitations and hydrological interpretations of this approach have beer discussed.

  • PDF

The Analysis of Drainage Time and Resolution of the Quasi-dynamic and Dynamic Wetness Index (배수시간과 격자크기와 반동력학적 또는 동력학적 습윤지수에 대한 연구)

  • Kim, Sang-Hyun;Han, Ji-Young;Lee, Ga-Young;Kim, Nam-W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6 no.6
    • /
    • pp.949-960
    • /
    • 2003
  • The resolution issue of wetness index with relaxation of the steady state assumption is explored on the platform of Digital Elevation Model (DEM). The variabilities of the quasi-dynamic wetness index and the dynamic wetness index are discussed on the base of the spatial and statistical aspects depending upon resolutions of DEM and the drainage time. The organization patterns of the wetness index can be observed upon various drainage times and pixel size. The transient behaviour of wetness patterns of the Sulmachun watershed are shown in the relatively short drainage time.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quasi-dynamic and dynamic wetness analysis provide the convergence of analysis results to the steady state characteristics later than 10,000 hours drainage time. The probability density functions of the quasi-dynamic and the dynamic wetness index shows the existence of the threshold pixel size of DEM which provide stability and consistency in the computation result of these two wetness index.

Analysis of Watershed Hydrologic Responses using Hydrologic Index (수문지수를 이용한 유역의 수문반응 분석)

  • Park, Yoonkyung;Kim, Sangda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4 no.3
    • /
    • pp.785-794
    • /
    • 2014
  • Hydrologic responses in watershed are determined by complex interactions among climate, land use, soil and vegetation. In order to effectively investigate hydrologic response in watershed, one need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limate as well as other factors. In this study,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climate factors and watershed characteristics on hydrologic response is investigated by using hydrologic indexes such as the aridity index and the Horton index. From preliminary analysis, it is shown that the Horton index is proper in terms of classifying hydrologic responses in main natural watersheds of south Korea. While climate and watershed characteristics both contributes to hydrologic responses, the degree contributed from each factor is changed depending on annual climatic humid conditions. In dry conditions, the climate factor is the predominant influence on hydrologic responses. However, in wet conditions, the contribution of watershed characteristics on hydrologic responses is relatively increased.

Study for Regionalization to Install Urban Flood Disaster Prevention Facilities (내배수 재해저감시설의 설치를 위한 지역구분 방안)

  • Park, Min-Kyu;Yoo, Chul-Sang;Lee, Cha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433-143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타당성조사 수준의 재해저감시설 계획을 위한 지역구분을 시행할 때 지형자료 등 최소한의 자료만으로 객관성이 높고, 수문학적으로 의미있는 지역구분이 설정될 수 있도록 기준을 정립하고 그에 따른 근거를 설정하고자 하였다. 내배수 침수재해와 관련하여 기존의 치수계획이 빗물펌프장 등 일부 구조물에만 한정되어 해당 홍수방어시설에 과도한 부담을 주고 있으므로 유역내 저류지, 빗물 탱크, 침투시설 등의 다양한 내배수 홍수분담시설의 설치 및 그에 따른 효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계획수립이 필요하다. 또한 지속적으로 피해가 커지고 있고 피해원인 및 양상이 다양해지는 도시유역의 내배수 재해에 대한 대책으로 피해지역의 확인 및 관련 저감대책 수립을 위한 지역구분의 방안에 대한 연구가 최근들어 강조되고 있다. 내배수 재해에 대응하기 위해서 전체유역을 지형특성 및 재해저감 시설의 입지조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보수, 유수, 저지지역의 구분 방안을 검토하였다. 저지지역 설정을 위한 기준으로 평균침수심을 활용하였고, 아울러 유수지역과 보수지역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습윤지수를 활용한 지표의 포화여부와 한계경사를 활용하였다. 이러한 지역구분 결과는 내배수 재해저감시설의 설치를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 방안을 검토하였다.

  • PDF

Conceptual eco-hydrological model reflecting the interaction of climate-soil-vegetation-groundwater table in humid regions (습윤 지역의 기후-토양-식생-지하수위 상호작용을 반영한 개념적인 생태 수문 모형)

  • Choi, Jeonghyeon;Kim, Sangda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4 no.9
    • /
    • pp.681-692
    • /
    • 2021
  • Vegetation process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rainfall runoff processes through evapotranspiration control, but are rarely considered in the conceptual lumped hydrological model. This study evaluated the model performance of the Hapcheon Dam watershed by integrating the ecological module expressing the leaf area index data sensed remotely from the satellite into the hydrological partition module. The proposed eco-hydrological model has three main features to better represent the eco-hydrological process in humid regions. 1) The growth rate of vegetation is constrained by water shortage stress in the watershed. 2) The maximum growth of vegetation is limited by the energy of the watershed climate. 3) The interaction of vegetation and aquifers is reflected. The proposed model simultaneously simulates hydrologic components and vegetation dynamics of watershed scale. The following findings were found from the validation results using the model parameters estimated by the SCEM algorithm. 1) Estimating the parameters of the eco-hydrological model using the leaf area index and streamflow data can predict the streamflow with similar accuracy and robustness to the hydrological model without the ecological module. 2) Using the remotely sensed leaf area index without filtering as input data is not helpful in estimating streamflow. 3) The integrated eco-hydrological model can provide an excellent estimate of the seasonal variability of the leaf area index.

Verification of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of areal evapotranspiration in Yongdam Dam basin using evapotranspiration flux data (증발산 플럭스관측을 이용한 용담댐 유역 보완관계 검증)

  • Kim, Eunji;Kang, Boo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74-474
    • /
    • 2021
  • 물순환 과정에서의 증발산량은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요소이며, 증발산은 기상학적 인자뿐만 아니라 증발 표면 특성 등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서 발생한다. 이러한 이유로 실제증발산의 절대량을 추정하는 것은 쉽지 않으며, 특히 수문학적 관점에서 유역단위의 증발산량을 산정하는 데에는 기술적인 한계가 존재한다. 반면 잠재증발산량과 실제증발산량의 보완관계가설을 활용하면 복잡한 수문모델링을 거치지 않고 팬증발량으로부터 유역의 실제증발산을 산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관측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용담댐 유역의 증발산 보완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실제증발산량(ETA)은 용담댐 내 덕유산 플럭스 타워의 관측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잠재증발산량(ETP)으로는 기상관측소에서 관측한 팬 증발량 자료를 활용하였고 습윤증발산량(ETW)은 Priestley-Taylor 공식을 통해 산정하였다. ETW는 수분이 무제한 공급되는 상황에서의 증발산량으로 정의되며, 동시에 ETA 및 ETP와의 상대적 비율로 스케일화하여 보완관계설정에 활용하였다. 대기의 습윤지수(Moisture Index, MI)는 ETA와 ETP간의 상대적 비율로 정의하였다. 이 때 팬 증발량은 기상 및 주변 환경 조건의 영향을 받아 증발량이 과대추정 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보정계수를 적용하여 보정한 값을 활용하였다. 보정계수는 FAO Penman-Monteith 식을 활용한 기준증발산량과 팬 증발량의 기울기로 산정하며, 본 연구에서는 보정계수로 0.77을 사용하였다. 또한 ETW 산정 시 적용되는 Priestley-Talyor 계수(α)는 널리 알려진 값인 1.26 대신 유역의 기상조건을 고려하여 0.99를 적용하였다. α 값의 조정을 통해 증발산 보완관계에 대한 E+의 평균 제곱근 오차(RMSE)가 0.685에서 0.075, Ep+의 경우 0.437에서 0.315로 개선되어 용담댐 유역의 증발산 보완관계가 만족할 만한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