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수계는 지형적 실체이며, 지역의 지형 연구 분야에서 자연적 경계로서 설정된다. 분수계는 수계, 산계, 유역등의 지형 요소들과 연관된다. 분수계의 지형 형성과 기능은 경사의 법칙, 구조의 법칙, 그리고 계층의 법칙으로 설명될 수 있다. 분수계는 구조적 형성과정과 기후적 삭박과정을 통하여 변화한다. 지형분수계는 능선분수계, 하천 분수계, 폐쇄 분수계, 세탈 분수계, 문턱 분수계, 세포형 분수계 등으로 유형화 될 수 있다. 지하수 분수계는 대개 지형의 기복을 반영하지만, 지역의 지질구조, 암서, 파쇄대 등으로 인하여 지형 분수계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분수계의 법칙의 예외로서 설명되는 분수계의 일반적 단면은 선형이 아닌 대상 혹은 지대로서 나타난다. 분수계를 물의 흐름을 분리하는 곳으로 볼 때, 지형분수계는 지표면의 고도에 의해서 결정되며, 지하수 분수계는 지형, 지질 구조, 선구 조적 지형 요소들의 배열, 지층의 방향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In recent years, there are strong social demands to characteriz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mountains in Korea.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anjulgi-Jido(mountain ridge map)' that might be used not only to satisfy these social demands but also to effectively present the spatial distribution of mountains and drainage basins in the Korean Peninsular. The 'Sanjulgi-Jido' developed in this study is a map that presents the continuity of mountains based on the drainage divides that are delineated by a pre-defined drainage basin size and elevation. This study first validated the Bakdudaegan system through the analyses of a digital elevation model. The Bakdudaegan system has long been recognized as the Koreans traditional conceptual framework to characteriz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mountains. The analyses showed that the Bakdudaegan system has several problems to represent the mountain systems in Korea, which includes 1) the lack of the representativeness of drainage basins, 2) inaccuracy to depict the boundary of drainage basins, 3) the lack of representativeness of mountains, and 4) geo-polical issue that confines the spatial extent of mountain systems within the Korean Peninsular. In order to represent the mountains system in a more quantitative manner, we applied several terrain analysis techniques to understan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mountains and drainage basins. Based on these analyses, we developed an hierarchical system to classify the continuity (If mountains, which are presented as the spatial distribution of drainage divides with a certain elevation. The first-order Sanjulgi is the drainage divides whose drainage basin are bigger than $5,000km^2$ and the point elevation is above 100m. The next order Sanjulgi is delineated as the size of drainage basin is successively divided by two. This kind of design is able to provide a logical framework to present the mountain systems at different details,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scale of maps. We also provide several empirical functions to calculate various geomorphological indices for each order of Sanjulgi. The 'Sanjulgi Jido' is similar with the Bakdudaegan system, since it characterizes the continuity of mountains based 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drainage divide. It, however, has more scientific criteria to define the scale and continuity of mountains. It should be also noted that the 'Sanjulgi Jido' proposed has different logical and methodological background, compared with the mountain range map that explains the genesis of mountain systems in addition to the continuity of mountains.
In Chugaryeong rift valley, lava plateau formation by the fissure eruption had vanished original landforms and effected on drainage derangement and revision. 4 rivers including Namdae-cheon, Bukhan-gang, Imjin-gang and Hantan-gang watersheds have shared Cheolwon-Pyeonggang lava plateau, that is, ownerless watershed. Main agency of the dividing process are central-eruption volcanic peaks such as Orisan(453m) and 680 Peak. Especially, Orisan has played the role of divide point for 4 watersheds. In the lower-relief plateau zone, complex drainage system have caused continually river capture between neighboring watersheds. In more elevated range slope, river capture have proceeded to headward erosion. Hydrogeomorphologically, lava-filled valley has initiated decrease of the original size of flood plain, maybe, causing higher capability of inundation by heavy rains, and then more active dissection of lava plateau layer.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v.22
no.1
/
pp.225-239
/
2016
The Jeogchung Chogye Basin shows perfect basin formation surrounded with divides, excluding outlet where Sannae River combining various small rivers escapes the basin. High mountains distribute at southwestern, southern and southeastern divides of the basin consisting of hornfels, while hilly mountains are found at northern divide consisting of sedimentary rock. Alluvial fans and flood plains occupy bottom of the basin. While extensive alluvial fans are found at the front of southern divide where rivers with large drainage areas rise, alluvial fans toward eastern and western divides become small due to low elevation of divides. Flood deposits by Hwang River are attributed to development for most of flood plains at northern part of the basin. The basin seems to be developed not by differential erosion or meteorite impact, but by bedrock weathering along lineament or fault lines by ground motion.
In recent years, there are some confusions related to the definition and existence of mountain ranges, which have been described in current geography text books. We contend that these confusions came from the lack of understanding on the geomorphological processes that form the mountain system in Korea. This research attempts to clarify the definition of mountain ranges and offer geological and geomorphological explanations about the formation of them. Based on the analyses of the social and cultural causes underlying the recent debates on the existence of mountain ranges, we tri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the definition of mountain ranges, geological structure of Korea, and the forming processes of mountain ranges. The current and past mountain range maps were compared with geological structures, geological maps, surface curvature, and hill shade maps. The latter two maps were derived from a Digital Elevation Model of the Korean Peninsular. The results show that we are able to prove the existence of most mountain ranges, which provides a useful framework to understand the geological evolution of Korean peninsular and formation of mountainous landscape of Korea. In terms of their morphological continuity and genesis, however, we identified five different categories of mountain ranges: 1) Uplift mountain ranges(Hamkyeong Sanmaek, Nangrim Sanmaek, Taebaek Sanmaek), which were formed by the uplift processes of the Korean Peninsular during the Tertiary; 2) Falut mountain ranges(Macheonryeong Sanmaek, Sobaek Sanmaek, Buksubaek Sanmaek), whirh were directly related to the uplift processes of the Korean Peninsular during the Tertiary; 3) Trust mountain ranges(Jekyouryeong Sanmaek, Kwangju Sanmaek, Charyeong Sanmaek, Noryeong Sanmaek), which were formed by the intrusion of granite and consequent orogenic processes during the Mesozoic era; 4) Drainage divide type mountain ranges, which were formed by the erosion processes after the uplift of Korean Peninsular; 5) Cross-drainage basin type mountain ranges (Kangnam Sanmaek, Eunjin Sanmaek, Myelak sanmaek), which were also formed by the erosion processes, but the mountain ranges cross several drainage basins as connecting mountains laterally We believe that the current social confusions related to the existence of mountain ranges has partly been caused by the vague definition of mountain ranges and the diversity of the forming processes. In order to overcome theses confusions, it is necessary to characterize the types of them according the genesis, the purpose of usages and also the scale of maps which will explains the mountain systems. It is also necessary to provide appropriate educational materials to increase the general public's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geomorphological processes.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2015.05a
/
pp.440-440
/
2015
최근 급증하는 기후변화 영향으로 인한 자연재해의 위험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자연재해 중 가뭄은 그 빈도수나 피해의 규모가 홍수보다 작아 관련된 연구가 제한적이므로 유역의 특성을 반영한 장 단기 유출특성의 면밀한 검토가 요구되며, 향후 이를 반영한 홍수유출모형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 수자원산정의 기초연구로서 낙동강 내성천 유역을 대상으로 유역의 유출수문자료를 구축하고 장기기저흐름지수(BFI: Base Flow Index), 표면유출지수(1-Base Flow Index)를 산정하여 유역의 유출특성을 분석하였다. 내성천유역은 낙동강 상류유역으로 본류길이는 110.69km, 유역면적은 $1,815.28km^2$이며, 분수계의 능선부가 대체로 1,000m이상의 고도를 나타내고, 유역분지의 평균 해발고도는 318.2m이다. 또한 영주댐이 검설 중에 있으며, 향후 댐 건설이 수자원에 끼치는 영향등을 분석 할 수 있는 유역이다. 본 연구에서는 내성천 유역을 분석하기 위해서 8개의 수위관측지점을 선정한 후, 2001년부터 2012년 기간의 일 유량자료를 바탕으로 유출비를 산정하였다. 내성천 8개 소유역의 유역 장기유출비를 분석한 결과 기저흐름지수는 0.24~0.47, 표면유출지수는 0.53~0.76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표면유출비는 미호(0.76), 월호(0.53), 점촌(0.71)유역을 제외한 5개 유역에서 0.62~0.65의 분포를 나타내었으므로 낙동강 상류인 내성천유역의 표면유출비로 0.63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다수의 낙동강유역을 추가분석하여, 낙동강유역의 고유 유출특성을 제시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oil loss was estimated by using universal soil loss equation(USLE) through GIS technique in Buyeu area. The expected soil loss is determined from six environmental factors: rainfall, erodibility of selected soil, length and steepness (gradient) of ground slope, crop grown in soil, and land practices used. A scoring system for assessing soil lossrisk has been developed for calculating SLI(Soil Loss Index) by GIS. The scores of six factors multiplied to give a total score which was compared with an chosen classification system to categorize areas of low, moderate and high risk. Finally, a soil loss assessment map was produced by GIS cartographic simulation technique, and this map could be applied in the establishment of regional land use planning.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2004.05b
/
pp.809-813
/
2004
강우시 유역 내에서 발생하는 수문특성을 구명하고자 하는 연구는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특히 최근 몇년간 집중호우로 인한 홍수피해가 매우 실각한 수준으로 발생하였고, 이에 지방 소하천을 포함한 전국의 하천정비사업이 새로운 설계홍수빈도를 토대로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강우특성은 여름철에 편중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어 홍수시의 홍수방어 대책 등 치수에 많은 어려움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는 전 세계적인 문제로 제기되고 있으며, 이에 강우-유출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는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강우-유출과정은 시간적, 공간적 다변성을 지닌 수문학적 인자에 의해 좌우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년간의 강우-유출 자료를 바탕으로 알고리즘을 생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확한 모의가 가능한 수문 모형 및 시스템들을 개발하는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심순보 등, 1998, 신사철 등, 2002). 그러나 이러한 모형들은 많은 매개변수와 다양한 정보들을 필요로 하게 되어 이들을 처리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최근에는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를 활용하여 유역과 분수계를 결정하고 하천형태학적인 특성인자를 추출하는 자동화된 유역정보 추출기술 개발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Bhaskar, 1992, Francisco, 1995, Yeon, 1999). 이에 본 연구에서는 GIS기법을 이용하여 지형자료로부터 하천연장, 배수면적, 지체시간, 도달시간 등 유역내의 분포형 수문매개변수를 추출하였고 추출된 매개변수를 통해 강우-유출식을 적용하여 분포형 유출량을 산정하는데 활용하고자 한다.ansverse Mercatro) 지구좌표계의 DEM 자료로 변환하였다. 또한 유역의 고도차를 이용한 흐름특성 분석을 위해 수치고도자료를 이용하여 유역흐름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TOPAZ(Topographic PArameteri-Zation)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TOPAZ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된 각 격자별 분포형 수문 매개변수는 적합한 관계식을 통해 분포형 유출량을 모의하는데 적용된다.다 정확한 유입량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이 작은 오차를 발생하였으며, 전체적으로 퍼프 모형이 입자모형보다는 훨씬 적은 수의 계산을 통해서도 작은 오차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Gaussian 분포를 갖는 퍼프모형은 전단흐름에서의 긴 유선형 농도분포를 모의할 수 없었고, 이에 관한 오차는 전단계수가 증가함에 따라 비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향후, 보다 다양한 흐름영역에서 장${\cdot}$단점 분석 및 오차해석을 수행한 후에 각각의 Lagrangian 모형의 장점만을 갖는 모형결합 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mm/$m^{2}$로 감소한 소견을 보였다. 승모판 성형술은 전 승모판엽 탈출증이 있는 두 환아에서 동시에 시행하였다. 수술 후 1년 내 시행한 심초음파에서 모든 환아에서 단지 경등도 이하의 승모판 폐쇄 부전 소견을 보였다. 수술 후 조기 사망은 없었으며, 합병증으로는 유미흉이 한 명에서 있었다. 술 후 10개월째 허혈성 확장성 심근증이 호전되지 않아 Dor 술식을 시행한 후 사망한 예를 제외한 나머지 6명은 특이 증상 없이 정상 생활 중이다 결론: 좌관상동맥 페동맥이상 기시증은 드물기는 하나, 영유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v.14
no.2
/
pp.114-125
/
2008
Colored dissolved organic matter(CDOM)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ocean color that can be used as an invaluable tool in water quality and ocean color studies. With the largest source of coastal CDOM appearing to be from freshwater discharge into the ocean, coastal predictive models will do much to refine our knowledge about major processes that control CDOM distributions in coastal waters and provide a better insight into the global carbon cycle.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a GIS-based watershed-scale predictive model of CDOM distributions in Neponset river watersheds that can be used to appraise our understanding of CDOM sources and distributions in coastal waters and predict the response of CDOM concentration to changes in land use patterns. Weighting factors are developed for CDOM freshwater sources after extensive groundtruthing from various landuse types in the watershed. This model makes use of a publicly available DEM(Digital elevation model) as the base data for analysis. Stream networks, discharge, and land use data are used from public repositories while sub- watershed delineation, pour-points, and land use parcels are generated using Spatial Analysis of ArcGIS 9.2 to estimate the CDOM loading from various sources to the lower tributaries of rivers. The Neponset Watershed in eastern Massachusetts is selected as the site for development of the model.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