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아부모

검색결과 393건 처리시간 0.024초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건강식생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내용 체계 개발 (Development of Content Structure of Healthy Dietary Education Program for the Par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 김정현;이명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13-126
    • /
    • 2018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건강식생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내용 체계화를 위하여 다문화가정 자녀의 식생활 행동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근거로 하여, 다문화가정 자녀의 식생활 행동에 가장 영향력이 있는 내용 요소를 추출하여,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건강식생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내용 구성을 체계화 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다문화가정 자녀의 식생활 행동을 분석한 결과, 아침식사 및 간식 행동에서는 거주환경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다문화가정 어머니 국가와 거주환경에 따라 손씻기 등의 위생 영역과 식사 예절 내용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교육 목표 설정을 위한 영역 설정은 안전(위생)-영양-문화 영역으로 도출할 수 있었으며, 영역별 주제는 전체 12주제로 하여 유아는 안전과 위생을 2 주제, 아동의 경우는 안전으로 3 주제, 영양 영역은 유아는 5주제, 아동은 6주제로 설정하였으며, 문화 영역은 동일하게 3 주제로 도출되었다. 전체적으로 다문화가정 자녀는 12개월을 기준으로 12 주제로 건강식생활 부모교육 주제를 설정하였고, 이에 따른 교육 목표 및 교육 활동으로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가정내 유아의 안전사고 유형과 부모의 변인에 따른 안전지식 (The actual type of domestic safety accident of children and the safety knowledge according to variables of parents)

  • 김지영;김나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454-461
    • /
    • 2017
  • 본 연구목적은 가정에서 발생한 유아의 안전사고 유형을 조사하고, 부모의 변인에 따른 안전지식의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전북 I시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만3-5세 자녀를 둔 부모 총 226명이다. 연구도구는 선행연구 및 문헌을 참고하여 연구목적에 적절하게 수정 보완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일원변량분석 및 Duncan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유아기 자녀를 둔 거의 대다수의 가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하였고, 6개월 동안 평균 1.78회 정도 안전사고가 일어났다. 유아의 안전사고는 넘어지거나 미끄러지는 사고, 충돌 및 충격에 의한 사고, 협착이나 끼임 사고, 추락사고, 찔림과 베임 사고, 화상, 이물질 삼킴과 흡입사고 순으로 발생되었다. 둘째, 부모 모두 '평균 정도 수준'의 안전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어머니의 연령에 따라 '추락'과 '응급처치' 영역에서 안전지식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전업주부인 어머니가 취업한 어머니보다 전반적인 안전지식과 '화상'에 대한 안전지식이 높았다. 아버지의 연령에 따라 '화재' 영역에서 안전지식의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부모의 안전지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부모안전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지속적으로 운영될 필요가 있다.

아버지의 놀이신념이 유아의 놀이몰입, 또래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아버지의 놀이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Father's Play Beliefs on Play Flow and Peer Play Behavior of Young Children, with Particular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Father's Play Participation)

  • 김정주;박형신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9-48
    • /
    • 2017
  • 본 연구는 아버지의 놀이신념이 놀이참여를 매개로 유아의 놀이몰입과 또래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이 어떠한가를 분석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G시와 J도 소재 유아교육기관의 유아 242명과 그들의 아버지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이현지(2016)의 부모놀이신념 척도와 원희영(1998)의 부모 놀이참여 검사, 나은숙(2013)의 유아 놀이몰입 척도와 최혜영, 신혜영(2008)의 또래놀이행동 검사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목적과 응답방법에 대한 안내지를 포함한 놀이신념과 놀이참여 질문지를 가정에 배부하여 아버지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유아의 놀이몰입과 또래놀이행동은 담임교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Hayes(2013)의 PROCESS macro를 활용한 매개모형(mediation model)의 유의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아버지의 놀이신념이 놀이참여를 매개로 유아의 놀이몰입, 또래놀이행동 중 놀이방해, 놀이상호작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아버지의 놀이신념과 놀이참여가 유아의 놀이에 대한 사회 정서적 측면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에 유아의 놀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아버지의 양육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며, 아버지의 놀이신념이 실제적인 놀이참여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유아의 놀이만족과 건강한 놀이행동을 유도할 수 있음을 고려하여 이들 변인을 긍정적으로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어머니의 스마트폰 의존성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스마트폰 의존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Mothers' Smartphone Dependency on Problem Behavior in Children with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Smartphone Dependency)

  • 조경서;김은주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53호
    • /
    • pp.77-104
    • /
    • 2016
  • 본 연구는 유아의 스마트폰 의존성을 매개로 어머니의 스마트폰 의존성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직, 간접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지역의 2~6세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모형은 유아의 스마트폰 의존성을 매개로 어머니의 스마트폰 의존성이 유아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어머니의 스마트폰 의존성은 유아의 스마트폰 의존성과 문제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중에서도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직접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스마트폰 의존성은 유아 스마트폰 의존성을 매개로 유아 문제행동에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와 부모의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교육적 접근의 필요함과, 유아의 문제행동에 있어서 주 양육자인 어머니의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인식과 조절, 예방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발달적 독서치료를 활용한 부모 대상의 유아 성학대 자기보호 교육자 훈련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The Effects of a Parental Developmental Bibliotherapy Program for Their Young Children's Sexual Abuse Self-Protection)

  • 천희영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7권9호
    • /
    • pp.37-53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s of a children sexual abuse (CSA) parental training program with applied developmental bibliotherapy on parents. Subjects were 54 mothers, 24 of whom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hich included 8 sessions for 4 weeks. Four dependent variables were subjected to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mothers’ knowledge, myths and stereotypes related to CSA, and their children’s levels of prevention concepts comprehension and self-protection skills of CS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gram increased mothers’ knowledge of CSA and decreaesd their beliefs on myths and stereotypes, and also increased their comprehension level of CSA prevention concepts and their level of children self-protection skills. These positive effects of the program show that the program can be incorporated into early childhood education practices. We are also pursuing the development of other research programs on this subject.

스마트폰을 이용한 유아 교육용 어플리케이션 (Mobile Application for Toddler Education)

  • 정주호;정원영;정인정;김아정;황소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75-177
    • /
    • 2014
  • 자녀 교육에 대한 관심의 증대로 다양한 미디어를 활용하여 많은 유아 교육용 프로그램이 상용화되어 있다. 그 중 스마트폰의 활용 분야가 넓어지면서 자연스럽게 유아 교육 분야도 스마트폰에 접목이 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동화책을 읽어주는 행위와 90년대 초중반에 유행했던 게임북을 스마트폰에 접목시켜 자녀와 부모가 함께 할 수 있는 유아 교육용 어플리케이션 설계를 제안한다. 본 논문의 어플리케이션은 동화를 보는 중 스토리 중간 중간 간단한 미니게임 및 문제 선택 결과에 따라 본래의 동화 스토리 또는 허구 스토리 동화로 진행되어 다양한 엔딩을 볼 수 있다. 또한 동요듣기, 악기다루기, 율동 배우기, 스트레칭 등 여러 옵션을 제공한다.

  • PDF

숲체험활동의 교육적 효과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 강영식;김정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334-342
    • /
    • 2019
  • 본 연구는 자녀의 숲체험 활동에 따른 학부모의 인식이 교육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는데 목적을 갖고 실증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숲체험 운영활동에 관한 부모의 인식에 따른 교육효과의 차이에 있어 숲체험 교육에 참여한 기간에 따라 교육효과는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고, 숲체험을 지원하는 교사의 수가 적절하다고 생각하는지 부모의 인식에 따른 교육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어린이집이 미세먼지가 많은 날과 날씨가 안좋은 날을 제외하고 매일 숲체험에 참여에대해 적당하다고 생각하는지에 따라 교육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고, 숲체험 장소에 따라 교육효과의 차이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하루동안 숲체험 활동하는 시간에 따른 교육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숲체험 활동에 관한 부모의 인식에 따른 소통의 차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유아의 숲체험 활동 전반에 대한 부모의 인식에 따라서 교육효과와 소통에 차이가 있음을 의미하며, 이는 실외야외활동에 따른 인솔 교사의 수와 미세먼지에 따른 날씨와의 연관성 및 숲체험 장소와 교육소요시간 등에서 교육적 효과에 따른 인식의 차이가 다름은 이들의 공통된 관심사항으로 유아들의 안전한 교육활동과 연관되어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영유아교육서비스와 부모만족도 (A study o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ervice and Parents' Satisfaction.)

  • 김지윤
    • 산업융합연구
    • /
    • 제12권1호
    • /
    • pp.1-23
    • /
    • 2014
  • This study is to research parents' awareness of the child-care quality and their loyalty toward the day care center, targeting parents who are the most important role in infant developm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top priorities of the day care center services that parents recognize and its influence on the parents' loyalty to the center.

  • PDF

아버지의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유아의 정서지능이 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Father's Personal Variables and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irs Creative Personality Perceived by Teacher)

  • 정다운;김정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5-20
    • /
    • 2015
  • 본 연구는 아버지의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자녀의 창의적 인성, 정서지능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영유아의 균형 있는 발달을 위한 아버지의 변인을 탐색하여 적절한 부모교육 및 부모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대구 경북에 위치한 사립유치원에 재원중인 3-5세 유아 총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유아의 창의적 인성 측정 도구와 정서지능 체크리스트 '교사용 관찰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ANOVA 검증과 Scheff$\acute{e}$의 사후분석, 적률상관분석, 중 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연봉과 학력에 따른 창의적 인성의 하위변인과 전체에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 반면 아버지의 연령에 따른 유아의 창의적 인성 전체와 하위요인에서는 집단 간 유의차가 없었다. 둘째, 아버지의 학력은 유아의 창의적 인성 전체와 독특성, 그리고 상상유희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또한 유아의 정서지능 중 자기정서 인식은 창의적 인성 전체와 독특성과 다양한 관심, 그리고 상상유희성에, 타인정서인식은 다양한 관심과 상상유희성에, 타인정서조절은 독특성과 창의적 인성 전체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현장에서 유아의 정서지능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을 증진시키는 의미 있는 방법임을 시사해준다.

어린이집 원장의 기관유형에 따른 부모교육에 대한 인식 (A Comparison Study on the Perceptions of Parents and Directors of Child-Care Centers regarding Parent Education)

  • 권이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321-330
    • /
    • 2018
  • 본 연구는 어린이집 원장을 대상으로 기관유형에 따른 부모교육 인식의 차이를 알아본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충북, 세종, 전북에 거주하는 어린이집 원장 147명이며 자료조사는 설문지법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을 이용하였으며 원장의 인식과 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 ANOVA 및 사후검증으로는 Tukey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기관 유형에 따라 어린이집 원장의 부모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부모교육의 주제, 부모교육의 운영방법, 부모교육의 평가 영역에서는 어린이집 유형에 따라 원장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