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속지수

Search Result 177,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ttrition Characteristics of Korean Antracite Ash in Fluidized Bed Combustors (유동층 연소로에서 국내탄 회재의 마모 특성)

  • Lee, See Hoon;Kim, Sang Done;Kim, Jae Sung;Lee, Jong Min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17 no.5
    • /
    • pp.547-551
    • /
    • 2006
  • In the reactor following the American standard test method (ASTM) D5757-95 and lab-scale fluidized bed combustor, the attrition characteristics of sand and ash of Korean anthracite were investigated. The attrition characteristics, such as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fly ash, attrition rate, and attrition ratio etc, were studied with variation of gas velocities. The particle attrition of ash was more active than sand which was generally used as a fluidized material and also the attrition index of ash taken by ASTM D5757-95 was 5 times higher than that of sand. The formation of fine particles continuously occurred due to particle attrition with increasing gas velocities. The following equation has been suggested for attrition rate of ash. $$\frac{dW}{dt}=-3.18{\times}10^{-7}(U-U_{mf})W$$.

Development of the stream bed restoration and application - Case of the Anyang stream - (하상복원공법개발 및 적용 - 안양천 시험구간 적용사례 -)

  • Lee, Sang-Mi;Lee, Du-Han;Lee, Sam-Hee;Choi, Jung-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28-72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자연하상 복원을 위한 하상복원공법을 개발하여 시험구간에 적용하였다. 공법적용 대상 지역은 안양시역내의 안양천 일정구간으로 화창교로부터 상류방향으로 약 500m 거리에 웅덩이 수제공법이 적용되어 있으며, 그로부터 다시 상류방향으로 130m 떨어진 거리에 낮은 바닥막이 공법이 적용되어 있다. 낮은 바닥막이 공법의 경우 완만한 곡류사주의 직상류 부로서 강한 수류와 함께 빠른 유속이 형성될 경우 하상의 세굴이 예상되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저수로의 유하방향으로 완만한 호형으로 설치하였으며, 웅덩이형수제 공법은 완만한 곡류로 좌안 수충부가 형성되어 있어 물의 흐름방향과 유속을 제어하여 흐름에 의한 호안침식을 방지하기 위해 현 위치를 선정 및 적용하였다. 첫 번째, 경관모니터링 결과 낮은 바닥막이 공법과 웅덩이 수제 공법을 적용한 구간에서 대규모 홍수 이후에도 저수로 호안과 하상의 안정성이 유지되었으며, 이는 공법 설치 전 후 하상 경관의 변화가 거의 없어 수리적 안정성 유지를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웅덩이 수제 공법 설치 후, 미소서식처가 형성되면서 포식자인 왜가리, 백로류를 지속적으로 관찰할 수 있어 어류서식처로서의 기능이 강화되었음을 간접적으로 확인하였다. 두 번째, 생태계 모니터링 결과 저서성 무척추동물의 경우 한국오수생물지수(KSI)는 낮은 바닥막이 공법을 적용하여 하상구조가 변화된 조사 지점 st.1의 환경상태가 "양호"에서 "최적"으로 변화하였기 때문에 공법 적용이 서식처 건강성 증진에 도움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세 번째, 수질 모니터링 결과 용존산소의 경우 상부지점보다 하부지점이 낮게 나타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낮은 바닥막이 공법에 의한 용존산소 상승효과보다는 다양한 서식처의 제공이라는 측면이 보다 중요한 효과를 나타낸다. 결과적으로, 공법의 실용화를 위한 적용 공법에 대한 생태계 모니터링 및 평가를 통하여 하천에서의 다양한 서식처(Habitat) 창출을 통해 수생 생물의 다양성을 증진시키고, 하천 하상공법에 대한 생태계의 조사 및 평가기법을 확보하여 연구성과를 다른 하천으로의 확대 적용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irculation and Diffusion in Suyeong Bay (수관만의 해수유동과 확산지성에 관한 연구)

  • Kim, Young-seup;Han, Young-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 /
    • v.18 no.2
    • /
    • pp.55-61
    • /
    • 1982
  • Simultaneous investigations for drift bottle and dye diffusion experiment were carried out in Suyeong bay. Seawater in Suyeong bay flowed differently in the vicinity of Suyeong river estuary and Nam-cheon Dong respectively. The speed of current did not exceed one knot in this bay. The dye patch moved to Kwangan beach in the dye diffusion experi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apparent diffusivity and diffusion time was appeared as Ka=0.0025t super(1.9). The variance was calculated to be 2.9 power of the diffusion time. And the exponent diffusivity versus the scale of diffusion time was appeared to be 1.3.

  • PDF

Analysis of Correlation with Cross Sectional Area of Flow and Flow Rate Variation of Discharge Measurement Point in the Upper Stream of Seomjin River (섬진강상류 유량측정지점의 유수단면적과 유량변화에 따른 상관관계 분석)

  • Song, KwangDuck;Kim, KapSoon;Lee, DongJin;Ham, SangIn;Kim, DaeYoung;Oh, TaeYoun;Lee, JaeChoon;Lim, ByungJin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6 no.1
    • /
    • pp.94-102
    • /
    • 201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variation of the water level and crosssection area for investigating changes of stream foreland, an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verage flow velocity and cross-section area so as to understand the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tream. The slope of the cross-sectional area was changed in water levels of 0.6~1.0 m and 1.8~2.0 m. The first change occurred in the low-water level season, and the second change occurred in the high-water level seasons. It is assumed that the changes occurred due to the geological transfigur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ross-sectional area and the average flow velocity was 0.22~0.86 in the exponential equation and 0.20~0.87 in the linear equation. The low water level had a higher correlation than the high water level, and free weirs in the upper stream showed a very low correlation.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novel information for the management of water quality in the riverside, using correlation equations of the water level and flow velocity with the cross section area.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Distributions of Residual Head and Discharge Rate along Collector Well Laterals of a Model Riverbed Filtration (하상여과의 집수관 모형에서 잔류수두와 유입율 분포에 관한 실험연구)

  • Ahn, Kyu-Hong;Moon, Hyung-Joon;Kim, Kyung-Soo;Kim, Seung-Hy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27 no.12
    • /
    • pp.1305-1310
    • /
    • 2005
  • As a way to the optimum design of the collector well lateral in riverbed filtration, experiments were performed using sand tanks which were connected to form a model lateral system. Measured were the residual hydraulic heads along the laterals, the discharge rates at each sand tank and the production rates at the collector well while the model laterals were operated with various scenarios of changing parameters including water level of the collector well, the lateral diameter and length, and the hydraulic conductivity of the sand. Results showed that riverbed filtration could be more efficient when the resistance in the lateral was weak compared with the resistance in the sand, which was indicated by the more flattened distribution of the residual hydraulic heads along the lateral.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discharge rate increased exponentially with the approach to the collector well, and that the exponent increased as the lateral diameter decreased and/or the hydraulic conductivity of the sand increased. It was also seen that the well production increased with the increase in the lateral length and diameter although the marginal productivity decreased.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axial flow velocity in the lateral was an important factor governing the efficiency of a lateral in riverbed filtration and that the maximum entrance velocity to the collector well, over which the efficiency decreased drastically, was about 1 m/sec under the conditions of this study.

The Study of Water Availability Increments by Estuary Lake in YoungSan River (영산강하구둑에 의한 수리권 가용수량 증가에 관한 고찰 고찰)

  • Park, Hee-Seong;Choi, Hyun-Gun;Kim, Chang-Sh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2079-2083
    • /
    • 2007
  • 하구둑은 해수의 역류에 의한 염수침입을 방지하고 유역에 필요한 담수를 확보하기위하여 건설되며, 하구둑에 의하여 하천의 하구에 담수호가 생성된다. 하구담수호에 의해 기존에 염해로 취수할 수 없었던 하천구간에서의 취수가 가능하게 되며, 하구담수호를 일정한 수위로 관리함으로써 상당량의 농업용수를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하구담수호에 의하여 확보되는 수자원량에 대해 설계 당시의 분석 자료들이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 연 총량의 형태로 나타나 있으며, 수리권과 관련하여 하구둑에 의하여 추가적으로 확보되는 수리권 가용수량이 얼마인지에 대한 분석은 거의 없다. 그것은 하구둑의 방류량이 댐의 방류량과는 달라서 조석의 영향을 매우 크게 받기 때문에 단순한 물수지 분석으로 이를 모의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게다가 1일 2회의 조석이 발생하므로 1일단위의 물수지 분석은 어려운 현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구둑에서 많은 양의 농업용수 취수가 이루어지고 있다. 과연 얼마정도의 양이 수리권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지 모르고 임의적인 허가가 계속 부여될 경우, 갈수 시 용수공급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없게 될 것이다. 따라서 안정적인 용수의 공급을 위한 적절한 수리권 가용수량에 대한 추정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산강하구둑의 실시간 운영을 위하여 고 등(2004)이 개발한 "영산강하구 둑 물관리 프로그램"의 기본적인 조위의 예측과 배수갑문의 방류량 산정기법 등과 수자원장기종 합계획(2006) 수립 시에 사용된 장기간의 일자연유량을 이용하여 하구둑의 수리권 가용수량 추정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영산강 하구둑에 의해 생성된 영산호에 적용함으로써 영산호에 의해 증가되는 수리권 가용수량에 대해 고찰하여 보았다., 그리고 T-P $77.7{\sim}96.6%$(평균 94.3%)로 산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청호로 유입하는 유기물과 영양염류 연간 부하량의 80% 이상이 강우-유출과 함께 유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저수지 수질관리를 위해서는 유역차원의 비점오염원 관리가 시급함을 시사한다.하기 위해, 수렴흐름 추적자시험에 의한 종분산지수와 시험대수층의 평균선형유속을 이용하여 종분산계수를 구하였다. 현장에서 수행된 양수시험에 의한 평균선형유속 22.44 m/day와 평균 종분산지수 0.4155 m를 적용하여 산정된 종분산계수는 $9.32\;m^2/day$이었다. 따라서, 시험부지 내 충적층에서 일정한 양수율$(2,500\;m^3/day)$로 지하수를 개발할 시에 양수정 주변지역으로 유입되는 염소이온의 확산면적은 1일 $9.32\;m^2$ 정도일 것으로 나타났다.적인 $OH{\cdot}$ 의 생성은 ascorbate가 조직손상에 관여할 가능성을 시사하였다.었다. 정확한 예측치를 얻기 위하여 불균질 조직이 조사야에 포함되는 경우 보정이 요구되며, 골반의 경우 골 조직의 보정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위하여 불균질 조직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요구되며, 이는 CT 영상을 이용하는 것이 크게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전시 슬러지층과 상등액의 온도차를 측정하여 대사열량의 발생량을 측정하고 슬러지의 활성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enin과 Rhaponticin의 작용(作用)에 의(依)한 것이며, 이는 한의학(韓醫學) 방제(方劑) 원리(原理)인 군신좌사(君臣佐使) 이론(理論)에서 군약(君藥)이 주증(主症)에 주(

  • PDF

Acupuncture, an Adjunct Therapy for Asthma: a Pilot Study Protocol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 (본 임상시험을 대비한 천식 침치료 무작위 대조군 예비 임상시험 프로토콜)

  • Choi, Jun-Yong;Oh, Dal-Seok;Roh, Young-Lae;Jung, Hee-Jae;Jung, Sung-Ki;Choi, Sun-Mi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v.25 no.3
    • /
    • pp.43-51
    • /
    • 2008
  • 배경 : 최근까지 이루어진 천식의 침치료 무작위 대조군 연구들에 의한 결과는 뚜렷한 효과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요인의 하나로 적절한 피험자 수를 정하기 위한 예비 임상시험의 부재가 거론되고 있다. 따라서 천식에 대한 침치료의 본 임상시험에 앞서 이의 실행 가능성 및 규모를 예측하는 예비임상시험이 필요한 상황이다. 목적 : 예비임상시험을 통해 서양의학적 치료를 받고 있는 천식환자들에 대한 침치료의 부가적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본 임상시험의 실현 가능성을 예측하기 위함. 방법 : 본 시험은 무작위 단일 맹검 대조군 평행 설계 예비 임상시험이다. 1차 평가변수는 최대 호기량 검사기로 집에서 아침, 저녁으로 매일 측정한 수치로 구해진 최대 호기 유속 일중 변동률의 1주간 평균치 변화이며 2차 평가변수는 의료기관에서 시행하는 폐기능 검사, 기준시점 호흡곤란 지수, 호흡곤란 변화에 대한 지수, 천식환자들의 삶의 질 평가를 위한 설문 등이다. 피험자 수는 총 45명으로 선정 및 제외기준을 통해서 참여하게 되며 1주간의 최대 호기 유속 기저치 평가 기간을 거친 후 진짜침 처치 군, 가짜침 처치 군, 대기군 세 군에 각각 무작위로 15명씩 할당된다. 모든 피험자에게 기존의 천식관련 약물의 사용을 허용하며, 진짜침 처치군 및 가짜침 처치군은 주 3회 4주간 해당 처치를 받고 2주 후에 각 평가 항목에 대하여 추적, 관찰하게 된다. 대기군은 기존의 천식관리를 유지하면서 2주마다 방문하여 총 6주간 평가를 받고 진짜침 처치를 4주간 받게 된다. 고찰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최초로 이루어지는 천식에 대한 침 무작위 대조군 예비 임상시험으로 향후 적절한 피험자 수와 실행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PDF

Characteristics of Membrane Permeability on the Separation of Solid in a Liquid Livestock Manure (축분액비의 고액분리에 있어서 분리막의 투과특성)

  • 황명구;차기철;이명규
    • Journal of Animal Environmental Science
    • /
    • v.6 no.3
    • /
    • pp.175-184
    • /
    • 2000
  • A lab-scale MF membrane reactor was installed to investigate the membrane permeability, characteristics of membrane fouling at each conditions, and quality of permeate (liquid livestock manure) in the separation of solid-matters using membrane. Experiment was divided three filtration type such as follows; continuous filtration, gravity filtration, and intermittent filtration. As a result of experiment, flux 1 LMH was maintained for 7days, and trans-membrane pressure(TMP) was increased gradually under 10cmHg, but it was increased immediately after 10cmHg, respectively. However, the flux was increased, the Tmax was decreased exponential more and more. During the pure-flux test, most of the fouling of membrane was reversible. At the gravity filtration, permeate could be obtained as 1.75 LMH for 3.5days without any other electronic pressure. As an investigation of membrane surface, this study could be decided that the reason of fouling at the lower flux (Run 1 and 2) was attached matters in membrane surface, but at the higher flux (Run 4-6) was concentration polarization.

  • PDF

Habitat assessment of Lamprotula coreana by using physical habitat simulation system (PHABSIM) at the Guem River (Physical habitat simulation system (PHABSIM) 을 이용한 금강의 두드럭조개 (Lamprotula coreana) 서식지 평가)

  • Kim, Dae-Hee;Kim, Kyeong-Hwan;Lee, Won-Ok;Hur, Jun-Wook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 /
    • v.31 no.4
    • /
    • pp.307-314
    • /
    • 2015
  • This study sampled endangered species, Lamprotula coreana, and surveyed its habitat at the Guem River with three times from June to August 2013. To assess the habitat, this study conducted field survey considering diverse physical conditions of stream, such as pool, run and riffle, and measured transect, water depth, water velocity, substrate structure, and habitat type. When L. coreana collected, length, weight and age were measured. Water velocity, water depth and substrate structure were recorded to develop HSI (habitat suitability index) and performed PHABSIM (physical habitat simulation) to estimate the optimum flow discharge. Water level, flow discharge and transect data were used for habitat assessment, and PHABSIM was applied to calculate WUA (weighed usable area). Shell length was $73.1{\pm}18.4mm$ (28.5-102.0 mm), shell weight was $131.6{\pm}72.3g$ (28.0-281.0 g) and age was two to seven years from L. coreana collected at the upstream of the Guem River. Developed HSI indicated that the optimal habitat for L. coreana was 0.4-0.5 m for water depth, 0.3-0.5 m/s for water velocity and sand to boulder for substrate structure. The optimum ecological flow discharge for L. coreana was 2.1 cms and WUA was $3,730m^2$/1000 m by the result of PHABSIM. Recently, river construction work and habitat disturbance have caused negative impact on the distribution of L. coreana.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habitat restoration and management of L. coreana.

Application of Objective Mapping to Surface Currents Observed by HF Radar off the Keum River Estuary (금강하구 연안에서 고주파 레이더로 관측된 표층해류에 대한 객관적 유속산출 적용)

  • Hwang, Jin-A;Lee, Sang-Ho;Choi, Byung-Joo;Kim, Chang-Soo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16 no.1
    • /
    • pp.14-26
    • /
    • 2011
  • Surface currents were observed by high-frequency (HF) radars off the Keum River estuary from December 2008 to February 2009. The dataset of observed surface currents had data gaps due to the interference of electromagnetic waves and the deteriorating weather conditions. To fill the data gaps an optimal interpolation procedure was developed.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correlation in the surface currents off the Keum River estuary were investigated and the spatial data gaps were filled using the optimal interpolation. Then, the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the interpolated surface currents and the patterns of interpolation error were examine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surface currents in the coastal region were higher than 0.7 because tidal currents dominate the surface circulation. The sample data covariance matrix (C), spatially averaged covariance matrix with localization ($C^G_{sm}$) and covariance matrix fitted by an exponential function ($C_{ft}$) were used to interpolate the original dataset. The optimal interpolation filled the data gaps and suppressed the spurious data with spikes in the time series of surface current speed so that the variance of the interpolated time series was smaller than that of the original data. When the spatial data coverage was larger (smaller) than 70% of the region, the interpolation error produced by $C^G_{sm}$ ($C_{ft}$) was smaller compared with that by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