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사퇴적고

Search Result 77,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 Study of Catalysts for Hydrogen Generation from Alkali Borohydride Solution (알칼리 붕소 수소화물 용액에서 수소발생을 위한 촉매에 관한 연구)

  • 정성욱;조은애;오인환;김성현;남석우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2004.05a
    • /
    • pp.119-124
    • /
    • 2004
  • 최근 소형 다기능, 고기능 전자장비의 개발로 인하여 고밀도 전원이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연료전지는 높은 전력 밀도를 가짐으로 인하여 소형 전원 장비에 가능성을 가지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연료전지 중 특히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는 높은 전력밀도와 낮은 작동온도 등으로 인하여 이차전지의 자리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지지만 현재까지 연료 공급장치의 문제로 인하여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수소저장 물질 중에서 알칼리 붕소 수소화물을 이용하여 연료전지에 수소를 공급하고자 하며, 수소발생에 사용되는 촉매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알칼리 붕소 수소화물의 수소발생 반응에 사용되는 촉매로는 Pt, Ru, Co, Ni 등이 사용되어질 수 있다. 이중에서 가장 수소발생 능력이 높은 촉매는 Ru이며, 비귀금속 촉매 중에는 Co가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Ru 촉매와 Co 촉매의 특성을 비교하였으며 연료전지에 수소를 공급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Ru와 Co 촉매의 공통적인 특징은 알칼리 붕소화물인 NaBH$_4$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온도가 높아질수록 수소의 발생속도를 높이는 현상을 보였다. 또한 안정화제인 NaOH에 대하여, Ru의 경우는 농도가 높아질수록 수소발생 속도가 낮아졌으며, Co는 그 반대의 결과를 보였다. NaBH$_4$의 분해 반응으로 발생된 수소를 연료전지에 공급하여 2W급의 휴대폰용 연료전지를 구동할 수 있었다. 이로써 알칼리 붕소수소화물로부터 발생된 수소를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연료전지를 구동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유류 분해정도를 파악하는 지시자로써 특정 무기 오염물질을 이용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좀더 이들 관계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고 과학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의미를 되새기는 것으로 짧은 연구를 시작하겠다. 등은 활성 값이 70% 이상으로 퇴적물 독성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중나선 DNA 함량은 28.4 % - 49%로 대조군에 비해서 감소가 크다. 대부분의 정점이 대조군의 30% 내외로 정점 간의 차이는 크지는 않다. 그러나 다른 측정자료와 같이 정점 22에서 18%로 최소치를 나타내고, 정점 2, 12에서 20% 내외의 값을 보인다. 종합적으로 볼 때 오염물질의 유입이 크고, 광양제철 인근 정점 들이 모두 다른 정점에 비해서 낮아서, 퇴적물 독성이 높은 정점으로 조사되었다.hiwo의 광합성 능력은 낮은 농도들에서는 대조구와 유사하였으나, 5 $\mu\textrm{g}$/l의 높은 농도에서는 초기에 매우 낮은 광합성 능력을 보이다가 시간이 경과하면서 대조군보다 더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식물플랑크톤이 benso[a]pyrene의 낮은 농도에서 노출될 때는 이 물질을 탄소원으로 사용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연안해역에 benso[a]pyrene과 같은 지속성 유기오염물질이 유입되었을 때 내정여부에 따라 식물플랑크톤 군집내 종 천이와 일차생산력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TEX>5.2개)였으며, 등급별 회수율은 각각 GI(8.5%), GII(13.4%), GIII(43.9%), GIV(34.2%)로 나타

  • PDF

중력이상을 이용한 한반도 모호면 추출에 관한 연구

  • 김정우;조진동;김원균;민경덕;황재하;이윤수;박찬홍;황종선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3.04a
    • /
    • pp.258-264
    • /
    • 2003
  • 중력이상 및 수치고도모델을 이용하여 한반도 모호면 심도를 추출하였다 중력이상값은 인공위성고도레이더 관폭값을 주로 이용한 전지구 모델을 이용하여 데이터영역 뿐 만 아니라 주파수영역에서도 자료의 균질성을 확보하였다. 모호면 추출은 Kim et al. [2000a]에 의해 제안된 스펙트럼 대비법 및 후리에급수를 이용한 파워스펙트럼분석법을 이용하였다. 전자는 지각근형을 전제로, 지형에 의한 중력효과와 후리에어 중력이상을 파동수영역에서 대비하여 모호면의 심도를 계산하는 방법이고, 후자는 완전부우게 중력이상으로부터 푸리에변환을 이용하여 지하 밀도 변화층의 심도를 계산하는 방법이다. 이 두 모호면은 서로 0.53의 상관관계를 갖고 있으며, 이는 모호면 산출의 방법론적인 차이 및 계산상의 오차인 것으로 사료된다. 이렇게 두 가지 독립적인 방법으로 추출된 모호면을 하나로 통합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두 모호면의 차이를 계산한 후, 이를 최소자승법을 이용, 두 모호면을 보정하였다. 결과적으로 한반도의 최종 모호면의 평균심도는 32.0km, 표준편차는 2.5km 이며, 최소, 최대 심도는 20.3, 36.6km으로 나타났다. 이 경우 지형에 의한 중력효과는 스펙트럼대비법에 의해 제거된 결과이나, 한반도의 지각이 완전한 지각판 내에 놓여 있어서 Airy-Heiskanin 지각균형설의 가정이 타당성이 있는가, 혹은 국부적인 응력장에 의해 한반도의 지각이 과연 얼마나 지지되고 있는가 하는 것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이에 앞서, 일정한 밀도차를 갖는 연속적인 밀도변화층이 존재한다는 가정이 반드시 필요하다.에는 관련성을 갖고 있으며, 이는 유류 분해정도를 파악하는 지시자로써 특정 무기 오염물질을 이용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좀더 이들 관계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고 과학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의미를 되새기는 것으로 짧은 연구를 시작하겠다. 등은 활성 값이 70% 이상으로 퇴적물 독성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중나선 DNA 함량은 28.4 % - 49%로 대조군에 비해서 감소가 크다. 대부분의 정점이 대조군의 30% 내외로 정점 간의 차이는 크지는 않다. 그러나 다른 측정자료와 같이 정점 22에서 18%로 최소치를 나타내고, 정점 2, 12에서 20% 내외의 값을 보인다. 종합적으로 볼 때 오염물질의 유입이 크고, 광양제철 인근 정점 들이 모두 다른 정점에 비해서 낮아서, 퇴적물 독성이 높은 정점으로 조사되었다.hiwo의 광합성 능력은 낮은 농도들에서는 대조구와 유사하였으나, 5 $\mu\textrm{g}$/l의 높은 농도에서는 초기에 매우 낮은 광합성 능력을 보이다가 시간이 경과하면서 대조군보다 더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식물플랑크톤이 benso[a]pyrene의 낮은 농도에서 노출될 때는 이 물질을 탄소원으로 사용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연안해역에 benso[a]pyrene과 같은 지속성 유기오염물질이 유입되었을 때 내정여부에 따라 식물플랑크톤 군집내 종 천이와 일차생산력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TEX>5.2개)였으며, 등급별 회수율은 각각 GI(8.5%), GII

  • PDF

Two-D fluid analysis at flow runoff in the dry stream, Jeju island (제주도 건천의 홍수유출시 2차원 흐름해석)

  • Yang, Won-Seok;Yang, Sung-Kee;Kim, Do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587-587
    • /
    • 2012
  • 현재 대부분 하천관리의 흐름해석에서 주가 되었던 1차원 분석은 하천 단면에 따른 횡적인 수면차, 유속분포를 분석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유량 및 유속이 급속도로 늘어나는 홍수시에는 그 오차가 더욱 커질 수 있다. 반면에 2차원 모형의 흐름해석은 사행하천의 흐름 특성과 만곡부에서의 종 횡방향 수면경사 및 양안의 수면차와 합류지점의 횡방향 흐름 등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으며 1차원 해석과는 달리 전 단면에 걸쳐 유속 및 수위 분포를 나타낼 수 있어 실제흐름에 가까운 수리량을 얻을 수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적용된 해석모형인 SMS는 미국 Brigham Young 대학의 환경모형연구실과 미공병단(USACE)의 수로실험국(WES) 등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으로서 RMA2, RMA4, SED2D 모형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모형은 수리 동역학적 해석, 오염물 이송확산 해석, 유사의 이송 및 퇴적 해석이 가능하며 이 중 RMA2를 이용한 2차원 흐름해석을 통하여 보다 적합한 하천관리에 이용가능하도록 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지역은 제주도 한천 하류부로서 제주도 하천 특성상 평상시 건천의 상태를 이루고 있으나 태풍 및 집중호우시 홍수유출이 발생하여 수위가 급격하게 상승하는 양상을 보인다. 대표적인 예로 태풍 '나리'시 최대 일강우량 420mm로 인한 인근 지역에 0.5 ~ 1.5m의 침수흔적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1년 최고수위를 기록한 태풍 '무이파'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상지역의 Kalesto를 이용한 수위-유속 자료를 이용하여 산출된 유량을 경계조건으로 사용하였고 격자망 형성을 위한 지형 데이터는 지형도 및 측량자료를 이용하여 구축하였다. 사용된 대표적인 매개변수는 하상의 조도계수를 나타내는 Manning의 n값과 유체의 밀도, 속도구배, 구조 등 여러 가지의 유체조건에 따라 변하는 성질인 와점성계수(eddy viscosity)로 요약할 수 있으며 Manning의 n값은 하천설계기준에 따른 하천기본계획의 조도계수를 사용하였고 와점성계수는 적합한 흐름 분포를 결정하기 위해 흐름이 안정될 때까지 변화시켜 해석을 시행하였다. 해석결과 만곡부에서는 급한 흐름을 보이고 있으며 최대하폭 구간에서는 완만한 흐름이 나타나 사행하천의 흐름특성과 횡적인 하천단면에 따른 변화, 하상고 차이로 인한 유속분포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보다 유용한 하천관리에 이용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the change and cause of the channel in the midstream of singwang river and naeng river in pohang - Comparing the changes before and after typhoon hinnamnor with the past - (포항 신광천과 냉천 중류의 하도 변화와 그 원인에 대한 분석 - 과거 및 태풍 힌남노 전후 비교를 중심으로 -)

  • Seonggi An;Chanjoo Lee;Woo-Chul Kang;Jongmin Kim;Gyeonghyeon Min;Byungsun Y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61-61
    • /
    • 2023
  • 우리나라는 여름철 집중호우 시 발생하는 홍수로 인해 중소하천의 확폭(Widening) 및 하안침식이 자주 발생하고 있으나, 이에 대해 홍수 피해 관점으로만 분석되고 있으며 체계적인 수리학적, 지형학적 분석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1982-2022년의 지도 및 항공사진, 정사영상 등을 분석하여 포항시 신광천과 냉천 중류의 하도 변화를 살펴보고, 2022년 9월 태풍 힌남노의 내습 시 발생한 홍수로 인해 초래된 하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신광천 항사리 지점의 경우, 하천 우안에 제방이 축조되지 않았던 1982년에는 하폭이 상대적으로 넓었으나, 1992년 제방 축조 이후 우안 충적지가 하도에서 분리되며 하폭이 감소하였다. 2011년의 하도는 대부분의 면적이 식생으로 덮여 하천의 흐름이 잘 관찰되지 않으나, 2021년에 식생 제거로 하도가 식별되지만 하폭은 과거에 비해 더욱 감소하였다. 태풍 힌남노 내습 시 포항시의 6시간 누적 강우량은 315.3 mm 로 100년 빈도를 초과하는 집중호우가 발생하였으며, 그 결과 확폭이 발생하였다. 단면에서 보면 좌안 활주사면은 5 m 가량의 퇴적고를 보였고, 우안 공격사면은 평균 23.3 m 측방으로 침식되었다. 그 결과 1982년 하폭과 유사한 수준으로 확대되었다. 문덕리 지점(공장지대)과 냉천 용산리(아파트)의 경우에도 각각 평균 14 m, 18 m 의 하안침식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지난 30여 년 전 축조된 기존 제방이 유실되면서 발생한 것으로 홍수로 인해 과거의 하폭으로 복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2022년 홍수에 의한 하도 변화와 같은 지형학적 변화를 고려할 때, 보다 안정적인 하천관리를 위해서는 하천 설계 시 과거 지도상의 하도 범위 및 기왕홍수로 인한 하안선 변동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 PDF

Analysis of riverbank erosion risk for the Sesan and Srepok river basin in Vietnam using MIKE Hydro River (MIKE Hydro River를 활용한 베트남 Sesan 및 Srepok 강 유역 강둑 세굴 위험성 분석)

  • Kim, Jeongkon;Shin, Jae Sung;Noh, Jeong Su;Lee, Seong-Su;Lee, Myu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68-68
    • /
    • 2021
  • Sesan강과 Srepok강은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가 공유하는 3S강 유역 (Sesan강, Srepok강, Sekong강)의 일부로 연구 및 관리된다. 3S강 유역은 Mekong강의 중요한 지류이며 Mekong강 유역의 상당 부분을 구성한다(Mekong강 유역 면적의 10%, 연간 총 유출량의 20%). 베트남 측 Sesan강 유역의 면적은 11,255km2이고 Srepok강 유역 면적은 18,162km2이다. Sesan강과 Srepok 강의 상류는 베트남 중부 고원의 긴 산맥에 위치하고 있다. Sesan강과 Srepok강 유역은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 가뭄, 어업 지속 가능성 감소, 퇴적 등 많은 문제와 도전에 직면 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World Bank의 "Viet Nam Mekong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M-IWRM) Project의 일환으로 베트남 정부 차원에서 처음으로 구축한 수자원관리 의사결정지원 시스템인 "DSS-2S"를 활용하여, Sesan-Srepok강 유역의 강둑 침식 위험성을 분석하였다. DSS-2S는 MIKE Hydro Basin을 기반으로 SWAT모델, 수리모델, 하상변동 모델, 및 수질모델 등과 연계 하여 구축되었다. 2030 년을 목표 연도로 설정하고, 기후 변화 시나리오와 사회 경제적 발전을 기반으로 DSS-2S에 포함되어 있는 유사 이송 및 수리학적 모델을 활용하여 주요 하천 단면에서의 평균 유속과 하상 침식 양을 예측하였다. 유속 및 심부 침식 기준에 근거하여 강둑 침식 위험성을 분석하였다. 모델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기반으로 강둑 침식 위험이 있는 강 구간은 고(高)유속과 높은 침식의 조합에 의해 결정되었다. 고위험 침식 예상지는 Sesan강 유역의 Dak Bla, Po Ko, 및 Se San강에 총 길이 73.5km에 걸쳐 발생 할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침식 위험이 매우 높은 지역은 Dak Bla 강에 총 길이 2,286m, Po Ko 강에 총 길이 5,096m 정도가 발생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강둑 세국을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인자들을 고찰하였으며, 본 성과는 베트남 중앙 정부의 장기수 자원 종합계획 수립의 기본 자료로 활용 될 예정이다.

  • PDF

Devonian Strata in Imjingang Belt of the Central Korean Peninsula: Imjin System (임진강대의 중부 고생대층: 임진계)

  • Choi, Yong-Mi;Choh, Suk-Joo;Lee, Jeong-Hyun;Lee, Dong-Chan;Lee, Jeong-Gu;Kwon, Yi-Kyun;Cao, Lin;Lee, Dong-Jin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4 no.2
    • /
    • pp.107-124
    • /
    • 2015
  • The 'Imjin System' (or Rimjin System) was established in 1962 as a new stratigraphic unit separated from the Upper Paleozoic Pyeongan System based on the discovery of brachiopods and echinoderms of possible Devonian age. Subsequent discoveries of the Middle Devonian charophytes confirmed the Devonian age of the system. The Imjin System is distributed in the Imjingang Belt between the Pyongnam Basin and the Gyeonggi Massif, spans from the eastern areas including Cholwon-gun of the Gangwon Province, Gumchon-gun, Phanmun-gun, and Tosan-gun of the Hwanghaebuk Province, to the western areas of Gangryong-gun and Ongjin-gun of the Hwanghaenam Province, and includes the Yeoncheon Group (metamorphic complex) to the south. Unlike the lower Paleozoic strata in the Pyongnam Basin which solely produce marine invertebrate fossils, the Imjin System yields diverse non-marine plant and algal fossils. Brachiopods of the system are similar to those from the Devonian of the South China Block and include taxa endemic to the platform, implying a close paleogeographic affinity to the South China Block. The Imjin System is generally considered as of Middle to Late Devonian in age, although there have been suggestions that the system is of the Middle Devonian to Carboniferous in age. North Korean workers postulated that the Imjin System was deposited in the current geographic position, where the "Imjin Sea" (an extension of the South China Platform) was located during the Devonian. The Imjin System displays strong local variations in stratigraphy and its thickness. It has recently been reported that the strata are repeated and overturned by thrust faults in many exposures. The Yeoncheon Group a southward extension of the Imjin System, also experienced intense tight folding and contractional deformation. Northward decrease in metamorphic grade within the system suggests that the northern part of the Gyeonggi Massif and the Imjingang Belt are probably an extension of the Dabie-Sulu Belt between the South China and Sino-Korean blocks, and the Imjin System is an remnant of accretion resulted from the collision between the two blocks. In order to understand tectonic evolution and Paleozoic paleogeography of eastern Asia, further studies on stratigraphic, sedimentologic and tectonic evolution of the Imjin System involving scientists from the two Koreas are urgently needed.

Verification of Genetic Process for the High-purity Limestone in Daegi Formation by Oxygen-carbon Stable Isotope Characteristics (산소-탄소 안정동위원소특성을 이용한 대기층 고품위 석회석의 생성기작 해석)

  • Kim, Chang Seong;Choi, Seon-Gyu;Kim, Gyu-Bo;Kang, Jeonggeuk;Kim, Sang-Tae;Lee, Jonghyun;Jang, Jaeho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52 no.1
    • /
    • pp.107-118
    • /
    • 2019
  • Two assertions about the process the formation of the high-purity limestone in the Taebaeksan Basin, categorized into syngenetic and epigenetic origin, are verified on the basis of its oxygen-carbon stable isotopic characteristics. The carbonate rocks sampled from the selective six high-purity limestone mines and several outcrops in the Daegi formation are featured by various colors such as the gray, light gray and dark gray. They show a wide range of oxygen stable isotope ratios (4.5 ~ 21.6 ‰), but a narrow range of carbon stable isotope ratios (-1.1 ~ 0.8 ‰, except for vein calcite), which means that they had not experienced strong hydrothermal alteration. In addition,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range of the oxygen stable isotope ratios by mine and color, and it is similar to the range from surrounding outcrop sampl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effect of the hydrothermal alteration were negligible in the generation of high-purity limestone in deposit scale. Whereas, the carbonate rocks can be divided texturally into two groups on the basis of an oxygen isotope ratio; the massive-textured or well-layered samples (>15 ‰), and the layer-disturbed (or layer-destructed) and showing over two colors in one sample (<15 ‰). In the multi-colored samples, the bright parts are characterized by the very low oxygen stable isotope ratios, compared to the dark parts, implying the increase in brightness of the carbonate rocks could be induc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hydrothermal fluid and rock. However, these can be applied in a small scale such as one sample and are not suitable for interpretation of the generation of high-purity limestone as a deposit scale. In particular, the high oxygen isotope ratios from the recrystallized white limestone suggest that hydrothermal fluids are also rarely involved during recrystallization process. In addition, the occurrences of the high-purity limestone orebody strongly support the high-purity limestone in the area are syngenetic rather than epigenetic; the high-purity limestone layers in the area show continuous and almost horizontal shapes, and is intercalated between dolomite layers. Consequently, the overall reinterpretation based on the sequential stratigraphy over the Taebaeksan basin would play an important role to find additional reserves of the high-purity limestone.

SHRIMP U-Pb Ages of Detrital Zircons from Metasedimentary Rocks in the Yeongheung-Seonjae-Daebu Islands, Northwestern Gyeonggi Massif (경기육괴 북서부 영흥도-선재도-대부도에 분포하는 변성퇴적암 내 쇄설성 저어콘의 SHRIMP U-Pb 연대)

  • Na, Jun-Seok;Kim, Yoon-Sup;Cho, Moon-Sup;Yi, Kee-Wook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1 no.1
    • /
    • pp.31-45
    • /
    • 2012
  • We investigated the various lithologies and zircon U-Pb ages of metasedimentary rocks from the Yeongheung-Seonjae-Daebu Islands, western Gyeonggi Massif, whose geologic and geochronologic features are poorly constrained in spite of their significance for tectonic interpretation. Major lithology consists of quartzites or meta-sandstones commonly alternating with semi-pelitic schists, together with lesser amounts of calcareous sandstones with matrix-supported quartzite clasts, calcareous schists, and pelitic schists. Pelitic schists uncommonly contain large porphyroblasts of garnet as well as quartz veins with large crystals of muscovite and andalusite or kyanite. SHRIMP U-Pb ages of detrital zircons from two analyzed metasandstones define four age populations: Neoarchean (~2.5 Ga), Paleoproterozoic (~2.0-1.5 Ga), Neoproterozoic (~1.1-0.7 Ga), and Early Paleozoic (~560-400 Ma). The youngest zircon ages are clustered at ~420 Ma.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eposition of meta-sandstones took place after the Silurian, possibly during the Devonian, and are analogous to those of the Taean Formation reported from the western part of the Gyeonggi Massif. Moreover, The age distribution patterns of detrital zircons and the Barrovian-type metamorphic facies of pelitic schists are similar to those reported from the Imjingang belt, suggesting that the Taean Formation likely corresponds to southwestward extension of the Imjingang Belt.

Prediction and Historical Analysis of Long-term Bed Elevation Change in the Mankyung-gang River (만경강의 장기하상변동 예측 및 이력분석)

  • Kim, Seung Ki;Kim, Ji Sung;Kim, Kyu Ho;Choi, Sung-Uk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5 no.1
    • /
    • pp.25-34
    • /
    • 2018
  • This study presents prediction and historical analysis of the long-term bed elevation change in the Mankyung-gang River. The study area is a 25 km long reach including middle and lower courses of the Mankyung-gang River. HEC-RAS program was used for numerical predictions, and values of roughness coefficients were calibrated. Then, predictions were made in the two periods, seven years from 1986 to 1993 and twelve years from 1993 to 2005. Simulation results were compared with two sets of measured data for bed elevations. Four sediment transport formulas, namely MPM's, Toffaleti's, MPM-Toffaleti's, and Yang's formula, were tested.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none of the four sediment transport formulas predicted the bed elevation change in the period of 1986 - 1993. This is related to the fact that dredging work was performed in the upstream reach in the period of 1986 - 1993, and sediment was deposited in this part severely later. However, it was found that MPM-Toffaleti's formula predicted properly the bed elevation change for the period of 1993 - 2005.

A Feasibility Study of AMT Application to Tidal Flat Sedimentary Layer (갯벌 지역의 하부퇴적층에 대한 AMT 탐사의 적용 가능성 평가)

  • Kwon, Byung-Doo;Lee, Choon-Ki;Park, Gye-Soon;Choi, Su-Young;Yoo, Hee-Young;Choi, Jong-Keun;Eom, Joo-Young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8 no.1
    • /
    • pp.64-74
    • /
    • 2007
  • The marine seismic prospecting using a research vessel in the shallow sea near the coastal area has certain limits according to the water depth and survey environment. Also, for the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at seashore area, one may need a specially designed high-voltage source to penetrate the very conductive surface layer. Therefore, we have conducted a feasibility study on the application of magnetotelluric method (MT), a passive geophysical method, on investigating of shallow marine environment geology. Our study involves both theoretical modeling and field survey at the tidal flat area which represent the very shallow marine environment. We have applied the audio-frequency magnetotelluric (AMT) method to the intertidal deposits of Gunhung Bay, west coast of Korea, and analysed the field data both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to investigate the morphology and sedimentary stratigraphy of the tidal flat. The inversion of AMT data well reveals the upper sedimentary layer of Holocene intertidal sediments having a range of 13-20 m thickness and the erosional patterns at the unconformable contact boundary. However, the AMT inversion results tend to overestimate the depth of basement (30-50 m) when compared with the seismic section (27-33 m). Since MT responses are not significantly sensitive to the resistivity of middle layer or the depth of basement, the AMT inversion result for basement may have to be adjusted using the comparison with other geophysical information like seismic section or logging data if possible. But, the AMT method can be an effective alternative choice for investigating the seashore area to get important basic informations such as the depositional environment of the tidal flat, sea-water intrusion and the basement structure near the sea sh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