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사퇴적고

Search Result 76, Processing Time 0.03 seconds

Formation and sedimentary environment of loess-paleosolsequence in the Jincheon Basin, Chungbuk Province, Korea (진천분지 뢰스-고토양 연속층의 형성과 퇴적 환경)

  • Yoon, Soon-Ock;Park, Chung-Sun;Hwang, Sangill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20 no.3
    • /
    • pp.1-14
    • /
    • 2013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formation and sedimentary environment including formative period, grain composition and climate change from loess-paleosol sequence deposited on a gravel bed of river terrace in the Jincheon Basin, Chungbuk Province. The Jincheon section consists downward of a surface layer, loess-paleosol sequence, transitional layer I, transitional layer II and gravel bed. It can be suggested from the OSL age dating that the sequence was deposited during MIS 6 to 4. The sequence can be divided into four horizons based on the variation in the magnetic susceptibility values. Grain size analysis reveals that the sequence indicates similar properties of grain size to loess deposits in Korea and especially, the Y values in the sequence are lower than those in the loess and paleosol horizons in the Chinese Loess Plateau and similar to those in the Red Clay in the Chinese Loess Plateau and Xiashu loess in the lower reaches of the Yangtze River. These Y values in the sequence can be attributed to the remote source and/or experience of intensive weathering process after deposition in the Korean Peninsula.

A Study on the Sediment Deposition Height Computation at Gunsan Port Using EFDC (EFDC를 이용한 군산항의 유사 퇴적고 계산에 관한 연구)

  • Lee, Dong Joo;Park, Young Ki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6 no.5
    • /
    • pp.531-545
    • /
    • 2013
  • This paper was considered on the applicability of EFDC KUNSAN_SEDTRAN MODEL (2012) to calculate Gunsan Port sediment deposition height efficiently and to use for grasping its aspects quantitatively and providing its prevention measures reasonably based on well-known 3-dimensional EFDC sediment transport module. This model was calibrated and verified with various measured field data of A Report of Hydrological Variation on Kum River Estuary (2004). Due to the model calibration and relevant literature investigation for cohesive sediment parameters, settling velocity (WS), critical deposition stress (TD), reference surface erosion rate (RSE), critical erosion stress (TE) were identified as 2.2E-04m/s, 0.20 $N/m^2$, 0.003 $g/s{\cdot}m^2$, 0.40 $N/m^2$ respectivly on this model. In order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and precision of the model computation, the calculated model data of sediment deposition height at 13 stations for 71 days and suspended-sediment concentration at 2 stations, inner port and outer port for 15 days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measured field data. As a result, the model applicability for sediment deposition height simulation was evaluated as NSE coefficient 0.86 and the precision for suspended-sediment concentration computation was evaluated as time averaged relative error (RE) 23%.

Properties and Provenance of Loess-paleosol Sequence at the Daebo Granite Area of Buan, Jeonbuk Province, South Korea (전북 부안 화강암지역 뢰스-고토양 연속층의 퇴적물 특성과 기원지)

  • Park, Chung-Sun;Hwang, Sang-Ill;Yoon, Soon-Ock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2 no.6
    • /
    • pp.898-913
    • /
    • 2007
  • We examined soil properties and provenance of loess-paleosol sequences at the Daebo Granite area of Buan, Jeonbuk Province, South Korea. The section consists of the surface layer, Layer 1(paleosol), Layer 2(loess), Layer 3(paleosol), Layer 4(loess), and Layer 5(paleosol), from top to bottom and thickness of the exposed section is approximately 280cm. The magnetic susceptibility values show the distinct variations between the loess- and the paleosol layer. Even though pH, ORP, water content, and soil hardness do not display the obvious differences in the section, the organic content indicates the variation similar to those of the magnetic susceptibility. In the respect of the soil colors measured under 3 conditions, although the variations of the wet soil color exceedingly reflect the difference of the layers, these variations are obscure in some points in the sec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nsell color system. Based on the geomorphological properties, sedimentary structure, the difference of the major element composition and the condrite-normalized rare earth element(REE) patterns showing the clear difference from the adjacent bedrocks and stream sediments and the similarity to those of the Chinese Loess Plateau, it is suggested that the section was formed by the material originated from the Chinese Loess Plateau and peripheral areas. However, because the material experienced the alteration after sedimentation under the environment of the sediment area, it has the properties different from the material in the provenance areas. This phenomenon may result in the climatic condition of Korea, especially in precipitation.

The Origin of Paleo-Lacustrine Deposits at Yeoncheon in Chugaryeong Rift Valley, Central Korea (추가령 열곡 연천 고호소층의 퇴적물 기원지 분석)

  • Lee, Min-Boo;Lee, Gwang-Ryul;Kim, Nam-Shi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2 no.1 s.118
    • /
    • pp.15-26
    • /
    • 2007
  • This study aims to estimate the similarities of lacustrine deposits of lava-dammed Yeoncheon paleo-lake by geochemical analysis such as XRF, ICP-AES, and 14C and OSL age datings in Chugaryeong Rift Valley of Central Korea. OSL age of the lacustrine coastal deposit(YC1) is estimated as 0.11-0.13 Ma. It indicates that paleo-deposits may have remained during at least 20,000 years from 0.13 Ma The origin analysis of deposits were carried out by comparison between lacustrine mud layers($YC1{\sim}2$) and various geomorphic materials of vicinity As a result, the similarity of the origin is highest between the paleo-coastal alluvial deposit of Chatan River(YC8), and surface clay deposit of Jeongok lava plateau(YC9) Next higher similarity is between paleo-lacustrine bottom deposit(YC2) and west valley-side mountain slope colluvial materials(YC5). Another high similarities are among present Chatan River channel sediment(YC7), acustrine coastal deposit(YC1) and east valley-side mountain slope colluvial materials(YC4).

Numerical investigation of the behavior of alternate bars considering vegetation growth and removal (식생의 성장과 소멸을 고려한 교호사주의 거동 수치모의)

  • Jang, Chang-L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539-54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2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하도식생의 성장과 소멸 고려한 교호사주의 거동을 분석하였다. 식생의 성장과 소멸은 식생의 밀도에 영향을 준다. 식생이 성장하면 식생밀도가 증가하고 식생이 소멸하면 식생의 밀도 감소한다. 식생이 성장하면서, 교호사주의 이동은 정지되고, 식생대에서 퇴적이 발생하며, 사주의 파고가 증가하였다. 식생의 성장률이 증가하면서 식생대에서 유사는 퇴적되어 사주의 면적은 증가하였으며, 식생이 성장과 사주의 변화과정은 일치하였다. 첨두유출시간의 변화에 따른 사주의 변화와 식생성장률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첨두유출 시간이 짧아서 첨두홍수가 일찍 도달하는 조건에서 사주의 파장은 상대적으로 작고, 하상고의 변화가 작은 특성을 보여주었다. 첨두유출 시간이 길어서 첨두홍수가 늦게 도달하는 조건에서 사주의 파장은 길고, 유사의 퇴적 면적이 증가하였다.

  • PDF

Turbidity Reduction of the Turbid Water by Dredging (하천 준설 시 발생되는 탁수저감에 관한 연구)

  • Bae, Sang-Keun;Choi, Soo-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07-211
    • /
    • 2011
  • 하천공사의 매립 및 준설 시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호우 시에도 발생하는 고농도 오탁수의 유출 확산으로 인하여 주변 수역의 수산자원 및 자연환경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유사는 하천과 호소에 유입되어 탁도를 증가시켜 수자원의 이용가치를 저하시키며, 박테리아나 각종 미생물의 이동 매개체가 되고 있다. 또한 퇴적된 유사는 유량이 증가하면 다시 침식되어 부유상태가 되며 이때에 영양염류나 독성물질이 재용출 되기도 하는 등 하천의 물리 및 토양환경의 장 단기적인 변화를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결국 유사는 다양한 방식으로 하천과 호소의 생태환경에 큰 변화를 초래한다. 부유토사의 발생 가능한 피해의 범위와 정도는 유역의 부유토사 발생율과 하천, 호소 퇴적물의 성분종류와 입도분포, 그리고 유속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탁수의 영향범위를 예측하고, 악영향이 예측될 경우에는 탁도를 저하시킬 수 있는 오탁물질의 저하기법을 적용하여 그 대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현재 정부가 역점을 두고 있는 4대강 살리기 사업 중 하나인 하천 준설 사업 시 발생되는 고농도 오탁수는 주변 수역의 수자원 및 자연환경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므로 자연환경의 보존, 해양자원을 보호하기 위하여 오탁물질의 제어가 반드시 필요한 실정이다. 기존의 오탁 저감시설이나 방법의 경우 오탁물질의 확산을 제어하는데 한계가 있고 오탁물질의 종류와 관계없이 일률적으로 시공함으로서 오탁제어 효과가 의문 시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오탁물질의 확산 범위를 줄이고 침강효율을 높이는 방법을 찾아 오탁확산 제어 효율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오탁물질 제어 시 2차 응집물로 인한 오염이 발생하는 않는 천연광물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실내실험을 통하여 고농도 탁수의 탁도 저감효율을 파악하여 고농도 탁수의 탁도 저감에 대한 제올라이트의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4대강 살리기 사업 중인 OO강 OO공구의 OO보 현장에서 하천 준설 시 발생하는 고농도 탁수를 이온을 첨가한 제올라이트를 이용하여 확산제어에 관한 효과를 검토한 결과 2,000NTU 정도의 고농도로 유하하는 탁수에 대하여 제올라이트 혼합 후 20분이 경과한 시점에 제거효율이 90%이상으로 제올라이트의 탁수저감 효과가 대단히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Numerical analysis of the Sediment Pass-Through from Weirs by using CCHE2D (수치모형을 이용한 보의 토사토출 효과 분석)

  • Jang, Chang-Lae;Lee, Kyu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534-534
    • /
    • 2012
  • 최근 집중호우 등으로 인하여 유역에 생산된 토사가 하도에 유입되면서 하상 및 지형변동을 일으키고 있으며, 보 및 댐 상류에서 유사의 퇴적으로 인하여 홍수위 변화와 저수지 기능감소 등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로 인하여 댐 및 보의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위하여 유사관리 방안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에 건설된 상주보와 구미보를 대상으로 CCHE2D모형을 이용하여 보의 상류에 퇴적된 토사의 토출(배출(排出), SPT)효과를 분석하였다. 토사 토출 효과를 예측하기 위하여 2차원 하상변동 수치모형인 CCHE2D를 이용한 하상변동 과정을 모의한 결과, 보 상류에서는 수문을 통과하여 흐르는 유속으로 인하여 하상이 저하 되었으며, 보 하류에서는 상류에서 유입되는 유사량과 지형적인 영향을 받아 세굴과 퇴적이 반복되는 경향을 보였다. 상류에서 2년빈도 유량, $1,500m^3/s$, $1,000m^3/s$, 풍수량으로 48시간 동안 상주보와 구미보로 유입될 때, 수문이 완전히 열린 상태로 있을 경우에, 상주보와 구미보에서 배사효과를 예측하기 위하여 유사 전달(Sediment delivery)을 분석하였다. 상주보와 구미보에서 배사효과를 예측하기 위하여 유사 전달을 분석한 결과, 상주보는 2년빈도 유량인 $3,857m^3/s$로 48시간 동안 상주보로 유입될 때, 보에서 하류로 전달되는 유사량은 약 4,400 tons 정도로 산정되었다. 유량인 $1,500m^3/s$일 때, 약 2,700 tons이 하류로 전달되지만, 최대 유사전달이 발생되는 지점은 보 하류에서 발생하였다. 풍수량 인 $207.4m^3/s$ 일 때, 1,357 tons이 하류로 전달되며, 최대 유사전달이 발생되는 지점은 상주보에서 발생하였다. 구미보는 2년빈도 유량인 $5,400m^3/s$로 48시간 동안 상주보로 유입될 때, 보에서 하류로 전달되는 유사량은 약 3,216 tons 정도로 산정되었다. 유량이 $1,500m^3/s$일 때, 약 73 tons이 하류로 전달되지만, 최대 유사전달이 발생되는 지점은 보에서 발생하였다. 유량인 $1,000m^3/s$일 때, 약 16 tons이 하류로 전달되며, 풍수량 인 $129.7m^3/s$일 때, 28 tons이 하류로 전달되었다. 상주보와 구미보 상류에서는 유사 전달이 감소하여, 유사가 약간 퇴적되는 경향을 보이지만, 전 구간에 걸쳐서 대체적으로 유사 전달이 크게 변하지 않고 있다. 보 상류를 제외하고는 전제적으로 하상고의 변화가 거의 없이 평형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류에서 2년빈도의 홍수량이 유입될 때, 수문을 완전히 개방할 경우에 배사 효과가 크게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Long-Term Simulation of Reservoir Sedimentation Considering Particle-Size Distributions of Suspended Sediment and Bed Materials (부유사 및 하상토 입도분포를 고려한 저수지 퇴사의 장기모의)

  • Kim, Dae Geun;Shin, Kwang Gy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6 no.1
    • /
    • pp.87-97
    • /
    • 2013
  • The bed change model of HEC-RAS was used to predict the formation of a delta upon an influx of high-density sediment while taking the particle-size distributions of the suspended sediment and bed materials into account. The model was able to reasonably predict both the spatial-temporal distribution of the delta and the amount of deposited sediment according to the grain size. In addition, it was able to estimate the main type of grains that sediment at particular locations at particular times moderately well. It is expected that the simulation and the analysis considering these particle-size distributions of sediment will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on planning and maintenance of the water resource related facilities.

Palaeodepositional Environment of the Cretaceous Hampyeong Basin, Southwestern Korea (한반도 남서부 중생대 백악기 함평퇴적분지의 고퇴적환경연구)

  • You, Hoan-Su;Kenrick, Paul;Koh, Yeong-Koo;Yun, Seok-Tai;Kim, Joo-Yong;Kim, Hai-Gyoung;Chung, Chul-Hwan;Ryu, Sang-Ock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1 no.6
    • /
    • pp.683-694
    • /
    • 2000
  • Abstrace: The palaeodepositional environment and age of the Cretaceous Hampyeong Basin (southwestern Korea) are reassessed based on new geochemical, lithological, sedimentological, and palaeobotanical data. Results indicate that the Hampyeong Basin was a tectonically active basin comprising predominantly fluvial and lacustrine sediments. Four distinctive facies types have been identified (acidic tuff, black shales/sandstones, red beds, intermediate tuff with tuffaceous conglomerate) and these reflect periods of significant environmental change within the basin and its neighbouring terrains. Volcanism driven by tectonic events provides a source for much of the sediment. The sedimentary sequences compare well with those in the neighbouring Haenam Basin. Sediments of volcanic origin are similar to those of the Neungju Formation of the Yuchon Group. The widespread occurrence of black shales is indicative of extended periods of deposition under anoxic conditions. Measurements of total organic carbon show that the values for the black shales (0.81% to 1.75%) are the average for petroleum source shales. Fossil plants occurred in the black shales and sandstones. The occurrence of platanoid leaves places these sediments in Oishi's angiosperm series, which is consistent with an Aptian/Albian or younger age.

  • PDF

제주도 협재 지역에 분포하는 해안사구의 형성시기와 사구를 이루는 탄산염퇴적물의 구성성분

  • Kim, Jin-Gyeong;U, Gyeong-Sik;Kim, R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Quaternary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11a
    • /
    • pp.4-13
    • /
    • 2004
  • 제주도 북제주군 한림읍 협재리에는 대부분 탄산염퇴적물로 이루어진 해안사구가 분포하고 있다. 사구를 이루는 탄산염퇴적물은 연체동물과 홍조류의 조각이 약 80% 이상을 차지하며 그 외에 저서성 유공충, 성게류와 태선동물의 조각, 그리고 화산암편으로 이루어져 있어, 제주도에 분포하는 여러 탄산염 해빈퇴적물의 입자조성과 매우 유사한 경향을 나타낸다. 이러한 탄산염 입자들은 천해에 서식하던 해양생물들에 의해 생성되며, 그 각질이 해빈으로 운반되고 바람에 의해 재동되어 사구를 형성하였다. 특히 이 연구지역의 사구가 분포하는 지점에서 북쪽으로 약 1km 떨어져 있는 협재 해수욕장에는 현재에도 천해에서 생성된 많은 양의 탄산염 해빈퇴적물이 퇴적되어 있으며, 제주도의 타 지역에 비해 매우 빠른 북동${\sim}$북서방향의 바람이 불고 있어, 퇴적물을 해빈에서부터 사구형성지점으로 운반시키는 데 효과적인 역할을 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사구를 절개하여 그 단면을 관찰한 결과, 전반적으로 희미한 수평층리와 사층리가 발달하고 있으며, 그 외의 다른 뚜렷한 퇴적구조는 관찰되지 않는다. 퇴적물의 입자들은 주로 직경이 $0.27{\sim}0.40mm$로 중립질 모래에 해당한다. 이 크기의 입자들은 가장 침식이 잘 될 수 있는 입자크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해빈으로부터 퇴적물이 운반될 때에 특히 이 크기의 입자들이 차별적으로 더 많이 운반되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퇴적물 입자의 크기와 구성성분의 함량은 각 사구의 전 층준에서 크게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며, 이는 사구가 형성되는 기간 동안 탄산염퇴적물을 운반한 바람의 세기가 어느 정도 일정하였음을 지시한다. 해안사구의 형성시기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구의 기반을 이루는 고토양층과 사구 최하부와 최상부의 탄산염퇴적물에 대해 방사성탄소연대측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사구의 형성시기를 지시하는 고토양의 연령은 $680{\sim}720\;BP\;(1,200{\sim}1,300\;AD)$로 측정되었으며, 사구를 이루는 탄산염퇴적물의 연령은 전 층준에서 모두 약 3,500 BP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약 3,500 BP에 천해에서 생성된 탄산염퇴적물이 해빈에 분포하다가 $1,200{\sim}1,300\;AD$에 바람에 의해 재동되고 현재의 위치에 쌓여 사구를 형성한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사구가 형성되기 시작하던 시기는 전세계적으로 춥고 바람이 세었던 Little Ice Age ($1,300{\sim}1,820\;AD$)에 해당하며, 따라서 해빈에 분포하던 많은 양의 탄산염퇴적물이 이 시기에 집중적으로 운반된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