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리당

검색결과 1,390건 처리시간 0.037초

뽕나무 계통별 오디의 유리당 조성 및 함량

  • 김현복;김선림;문재유;장승종
    • 한국잠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잠사학회 2003년도 제46회 춘계 학술연구 발표회
    • /
    • pp.39-39
    • /
    • 2003
  • 과실류의 단맛 결정인자인 유리당의 함량을 계통별로 분석하여 생식 및 가공 식품의 원료로서 오디의 이용성을 높이고 오디의 과실화 촉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은 물론 오디 생산용 뽕나무 육종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유전자원으로 보존 중인 뽕나무 계통에 대하여 결실 오디를 채취하여 유리당의 조성과 함량을 비교ㆍ분석하였다. 동시에 유리당의 함량이 높은 계통을 선발하여 수량, 과중, 당도 등 과실적 특성을 고려하여 오디생산용 계통으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중략)

  • PDF

뽕나무 계통별 오디의 유리당 조성 및 함량 (Quantification and Varietal Variation of Free Sugars in Mulberry Fruits)

  • 김현복;김선림;문재유;장승종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80-84
    • /
    • 2003
  • 과실류의 단맛 결정인자인 유리당의 함량을 계통별로 분석하여 생식 및 가공식품의 원료로서 오디의 이용성을 늪이고 오디의 과실화 촉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은 물론 오디 생산용 뽕나무 육종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유전자원으로 보존 중인 뽕나무 계통에 대하여 결실 오디를 채취하여 유리당의 조성과 함량을 비교$.$분석하였다. 동시에 유리당의 함량이 높은 계통을 선발하여 수량, 과중, 당도 등 과실적 특성을 고려하여 오디생산용 계통으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계통 모두 fructose와 glucose만이 검출되었으며, fructose와 glucose의 평균 함량은 각각 4.49$\pm$1.06%와 4.62$\pm$1.08%로서 두 성분의 조성 비율은 1:1이었다. 그러나 두 성분에 대한 각각의 변이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값은 23.6%와 23.4%로서 높게 나타나 오디의 유리당 함량은 뽕나무 계통간 차이가 큰 것으로 판단되었다. 2. 공시계통의 총 유리당의 평균 함량은 9.11$\pm$2.14%이었고, 공시계통 중 총 유리당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난 계통은 '근아노상'으로서 14.67%이었으며, ‘청시평’의 경우 5.57%로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냈다. 3. '근아노상' 등 유리당의 합이 10% 이상인 계통을 1차 선발한 후 단과중, 수량 및 당도 함량에 대한 과실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비교한 결과 '환십조생', '개량조생십 문자', '중고조' 및 '근아노상' 계통은 이들 특성을 모두 만족시켜 오디생산용 유망계통으로 이용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무 유전자원 82 계통의 유리당 함량 분석 (Analysis of Sugars Content by Genotypes in 82 Radish (Raphanus sativus L.))

  • 서미숙;정준휘;박범석;김정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53-465
    • /
    • 2018
  • 십자화과 식물에 속하는 무는 전세계적으로 재배되는 중요한 뿌리 채소작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형질을 가진 무 유전자원 82 계통을 대상으로 총 유리당 함량을 분석하였다. 일본, 독일, 그리고 한국에서 보유중인 82 계통의 유전자원은 크게5 아종을 포함하고 있으며, 야생형, 야생 근연종, 재래종 그리고 육성품종으로 구분된다. 포도당, 과당, 자당 그리고 엿당을 분석하여 총 유리당 함량을 측정한 결과, 평균 25.33 mg/g, 5.64-46.68 mg/g의 분포도를 나타내어 계통에 따라 총 유리당 함량에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총 유리당 함량에 대하여 포도당이 56.92%로 가장 높은 유리당 함유율을 보였고, 과당(31.34%), 자당(10.46%), 그리고 엿당(2.25%)의 순으로 높은 함유 율을 보였다. 5 아종에서 유전형에 따른 총 유리당 함량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아종에 따른 유리당 함유 율의 차이는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야생종과 야생 근연종 그리고 재래종 무는 육성 품종과 비교하여 평균 총 유리당 함량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당의 종류별 함유 율을 비교한 결과 야생종과 재래종에서 높은 함유 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실험의 결과는 후속 연구를 통한 고품질 무의 개발 및 무의 유리당 생합성 관련 연구를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생장억제제 처리가 기내 배양한 나도풍란 (Sedirea japonica) 유묘의 유리당 및 단백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owth Retardants on Free Sugar and Protein Content of Sedirea japonica Seedlings Cultured In Vitro)

  • 조동훈;지선옥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2권2호
    • /
    • pp.145-149
    • /
    • 2005
  • 본 연구는 나도풍란의 기내 배양에서 몇 가지 종류의 식물생장억제제의 농도별 처리가 식물체 내 유리당 및 단백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잎의 유리당의 함량은 생장억제제의 처리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분석된 유리당 중 glucose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뿌리의 유리당 함량은 잎과는 반대로 생장억제제 처리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함량도 같이 높아지는 경향이었으며, 조사된 유리당 중 sucrose의 함량이 비교적 가장 높았다. 잎의 단백질 함량은 생장억제제 처리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뿌리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수박과 멜론의 부위별 유리당 함량 분포에 관한 연구 (Distribution of Free Sugars in the Various Portions of Watermelon (Citrullus vuigaris L.) and Muskmelon (Cucumis meio var. reticulatus Naud.))

  • 손주용;반성철;홍성회;신정섭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3호
    • /
    • pp.200-205
    • /
    • 1996
  • 본 실험에서는 수박 (Citrullus vulgaris L.)과 멜론 (Cucumis melo val. reticulatus Naud.)에 있어서 서로 다른 부위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유리당 (glucose, fructose, sucrose, maltose)을 분리, 정량하기 위해서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하였다. 수박과 멜론에 있어서 주로 존재하는 유리당들은 fructose, glucose, sucrose 등이며, 이 유리당들의 함량은 부위별로 다양한 변이를 보였다. 부위별 유리당의 총함량은 stem end 부위에서의 함량보다 stylar end와 side 부위에서의 함량이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수박과 멜론에서 같은 양상이었다. 수박의 경우 전체 유리당 함량은 과피 부위에서 중심 부위로 갈수록 약간씩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멜론의 경우 종자를 포함하는 중심 부위를 제외한 가식 부위에서는 과피 부위에서 중심 부위로 진행될수록 증가하였다. 환원당과 비환원당의 비율[(fructose+glucose)/sucrose]은 수박의 경우 과피 부위에서 중간 부위로 갈수록 약간식 감소하였으나 중심 부위에서는 오히려 높았다. 멜론의 경우 가식 부위중 과피 부위에서 중간 부위로 갈수록 감소하였으며 중심 부위와 중간 부위 간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수박에서는 과피 부위에서 중심 부위로 갈수록 환원당과 비환원당 모두가 증가하였지만, 반면에 멜론에서는 환원당의 감소를 보였다.

  • PDF

복숭아 '장호원황도' 과실의 부위별 유리당 함량 및 관련 효소활성 비교 (Comparison of Free Sugar Content and Related Enzyme Activities on Different Parts of 'Changhowon Hwangdo' Peach Fruit)

  • 김성종;박혜영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3호
    • /
    • pp.387-393
    • /
    • 2010
  • 복숭아 과실 부위별 유리당 축적와 효소와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2006년 8월에서 9월까지 '장호원황도' 복숭아의 과경부, 과정부, 과피부, 핵주위의 유리당 함량과 당 관련 효소활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당도는 만개 후 150일까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과정부에서 가장 높은 당도를 보였으며, 모든 부위에서 총 유리당 함량은 당도 변화와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다. 비교적 전분의 함량이 높았던 만개 후 120일에 과정부에서 높은 전분 함량을 보였으나 만개 후 150일에는 부위별로 함량 차이가 작게 나타났다. 부위별 유리당 조성의 변화는 시기에 따라서 차이를 보였으며 자당 함량은 만개 후 150일까지 점차 증가하였으나 솔비톨은 만개 후 130일 이후에 점차 감소하였다. 만개 후 150일까지 모든 부위에서 자당은 증가하고 반대로 포도당, 과당, 솔비톨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과실 발육 동안 자당 함량의 증가는 sucrose phosphate synthase(SPS) 활성보다는 sucrose synthase(SS)활성에 의하여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SS효소활성은 만개 후 120일에는 낮게 나타났으나 acid invertase(AI) 활성은 높았으며, 만개 후 150일에는 반대의 경향을 나타냈다. 따라서 유리당을 합성하거나 분해하는 효소의 활성에 따라서 복숭아 과실 생육시기별 축적되는 유리당 함량이 영향을 받았으나, 과실의 각 부위에 따라서 모든 유리당 함량을 관련 효소활성으로만 설명하기는 어려웠다.

저장온도에 따른 바나나의 유리당과 유기산 (Changes in Free Sugars and Organic Acids of Banana Fruit at Various Storage Temperatures)

  • 이경옥;최진영;박성오;이택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4호
    • /
    • pp.340-344
    • /
    • 1995
  • 시중에서 구입한 출하 3일된 바나나를 5, 15, $25^{\circ}C$로 10일간 저장하면서 당과 유기산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바나나 중의 유리당으로 glucose, fructose, sucrose가 확인되었다. 저장초(0일)의 각 유리당은 $0.30{\sim}0.36%$의 미량으로 sucrose가 다소 높았다.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라 유리당 총량이 증가되었으나 저장온도에 따라 각 유리당 함량은 많은 차이를 보였다. $5^{\circ}C$ 저장구에서 각 유리당의 함량은 거의 변화가 없었고 유리당 중 sucrose가 다소 높았다. $15^{\circ}C$$25^{\circ}C$ 저장구에서 sucrose는 감소하고 glucose와 fructose는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glucose는 fructose 보다 함량이 다소 높았다. $25^{\circ}C$ 저장구에서 총당, 환원당, glucose, fructose 및 유리당 총량이 시험구 중 가장 높았다. 유기산으로 citric acid, malic acid, lactic acid, acetic acid가 확인되었다. 저장 3일에 citr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나 이후 현저히 감소되었고 acetic acid는 저장 초기보다 다소 증가되었다. 유기산 총량은 저장초 $305{\sim}373.3$ mg%였으나 9일에는 $45.9{\sim}67.9$ mg%로 현저히 감소하였고, $25^{\circ}C$ 저장구에서 감소가 컸다.

  • PDF

담자균이 배양된 곡물의 유리당 조성 변화 (Comparison of Free Sugar Content in Grains Fermented with Mycelia of the Basidiomycetes)

  • 정인창;하효철;곽희진
    • 한국관광식음료학회지:관광식음료경영연구
    • /
    • 제13권1호
    • /
    • pp.69-80
    • /
    • 2002
  • 약용버섯의 균사체(Ganoderma lucidum 7094, Fomitella fraxinea 81003, Phellinus igniarius 26005)를 곡류와 같은 고체재료에 배양하고 발효된 곡류의 유리당 조성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기능성식품 개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담자균사체의 대량배양 조건 실험을 실시한 결과, 냉침에 의해 최대수화에 도달한 곡물을 배양용기에 담고, 액체배양 후 균질화한 담자균사체를 곡물에 접종함으로써 접종초기 짧은 시간에 균사가 완전히 활착되도록 할 수 있었다. 또한 균사 배양중기에 멸균 증류수를 첨가함으로써 균사의 활력을 유지시킬수 있었다. 담자균사체는 종류에 따라 유리당 총량 및 구성비에 있어서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담자균사체가 배양된 곡물의 유리당 함량을 측정한 결과, 유리당 총량 및 대부분의 유리당 함량이 곡물 자체에서 보다 증가하였으며, 담자균과 곡물배지의 종류에 따라 당의 이용성에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 PDF

HPLC에 의한 증제와 볶음 녹차 중의 유리 아미노산과 유리당의 정량 (Quantitative Analysis of Free Amino Acids and Free Sugars in Steamed and Roasted Green Tea by HPLC)

  • 고영수;이인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01-304
    • /
    • 1985
  • 녹차의 맛을 내는데 주요 성분인 유리아미노산과 유리당을 HPLC로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6종의 유리아미노산이 검출되었다. 즉, aspartic acid, threonine, serine, glutamic acid, proline, glycine, alanine, valine, methionine, isoleucine, leucine, tyrosine, phenylalanine, histidine, lysine, arginine이 그것이었다. 2. 증제차가 볶음차보다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이 많았고, 녹차중에는 특히 threonine과 aspartic acid, lysine의 함량이 많았다. 3. Fructose, glucose, sucrose, raffinose등 4종의 유리당이 검출되었다. 4. 유리당은 가열시간 증가에 따라 각 성분의 함량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 PDF

느타리버섯, 표고버섯 및 양송이의 유리당(遊離糖)과 당(糖)알코올 조성 (Contents of Free-Sugars & Free-Sugaralcohols in Pleurotus ostreatus, Lentinus edods & Agaricus bisporus)

  • 홍재식;김태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59-462
    • /
    • 1988
  • 국내에서 널리 인공재배되고 있는 식용버섯인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 표고버섯(Lentinus edodes) 및 양송이(Agaricus bisporus)의 유리당 및 당알코올을 GCL 법으로 분석하여 버섯의 종류. 부유 및 조기별 차이점을 비교 정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3종의 버섯에서 trehalose, glucose, fructose, mannitol, arabitol 및 glycerol등이 확인되었다. 유리당 및 당알코올의 충 함량은 표고버섯 $12.7{\sim}18.9%$, 양송이 $9.2{\sim}16.1%$, 느타리버섯 $8.2{\sim}10.6%$ 순 이었고 표고버섯에서는 mannitol과 arabitol, 양송이에서는 mannitol, 느타리버섯에서는 tehalose와 mannitol이 특징적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부위별로 비교했을때 느타리버섯과 양송이는 자루보다 갓부위에 많았으나 표고버섯은 자루부위에 많았고 크기별로는 크기가 클수록 대체로 유리당 및 당알코올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