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류분

Search Result 101,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유류오염 토양에서 유류성분의 생분해와 무기오염 물질 함량의 관계성에 대한 예비 연구

  • 강진규;송윤구;문지원;이민희;이규호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3.04a
    • /
    • pp.241-244
    • /
    • 2003
  • 유류오염 토양내 유류의 분해와 무기오염물질의 함량과의 관계성을 알아보기위해 부산 문헌지구의 유류 오염 토양 profile중 유류가 비교적 많은 두 층과 유기물이 다량 함유된 제주도 토양을 경유로 오염시킨 토양을 선택하여 유류가 분해 정도와 Pb, Zn, Cd, Ni의 함량을 측정 비교하였다. 토양 채취후 즉시 유류를 추출한 것, 15일간 별도의 미생물 영양원을 가하지 않고 습도와 통풍만을 행하여 토양내 존재하는 미생물들에 의하여만 유류가 분해되도록 한 것, $105^{\circ}C$에서 24시간 열처리를 행하여 미생물에 의한 분해보다는 물리적인 방법으로 비교적 강하게 처리한 것 세가지 경우에서 토양에서 추출한 유류를 분석한 결과 normal alkane이 서서히 상당량 분해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토양내 Pb, Zn, Cd, Ni를 분석한 결과 부산 시료의 경우 두 층(B2, B3)모두 Cd은 검출한계 이하로, Ni의 경우 극소량의 함량을 보여주었다. Zn의 경우 B2는 28~29ug/g, B3는 12~14ug/g으로 세가지 경우 별 차이 없는 양상을 보여 주었다. 하지만, Pb의 경우 B2에서는 그 함량이 유류의 normal alkane의 분해와 함께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확연히 보여주었으며, B3의 경우도 B2와 유사한 변화 양상을 보여주었다. 제주도 토양의 경우 Pb는 검출되지 않았고, Zn은 소량 검출되었다. Ba, Ni 함량은 normal alkane 분해에 따라 다소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예비실험을 통하여 유류오염 토양에서 유류의 분해와 일부 무기이온사이에는 관련성을 갖고 있으며, 이는 유류 분해정도를 파악하는 지시자로써 특정 무기 오염물질을 이용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좀더 이들 관계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고 과학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의미를 되새기는 것으로 짧은 연구를 시작하겠다. 등은 활성 값이 70% 이상으로 퇴적물 독성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중나선 DNA 함량은 28.4 % - 49%로 대조군에 비해서 감소가 크다. 대부분의 정점이 대조군의 30% 내외로 정점 간의 차이는 크지는 않다. 그러나 다른 측정자료와 같이 정점 22에서 18%로 최소치를 나타내고, 정점 2, 12에서 20% 내외의 값을 보인다. 종합적으로 볼 때 오염물질의 유입이 크고, 광양제철 인근 정점 들이 모두 다른 정점에 비해서 낮아서, 퇴적물 독성이 높은 정점으로 조사되었다.hiwo의 광합성 능력은 낮은 농도들에서는 대조구와 유사하였으나, 5 $\mu\textrm{g}$/l의 높은 농도에서는 초기에 매우 낮은 광합성 능력을 보이다가 시간이 경과하면서 대조군보다 더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식물플랑크톤이 benso[a]pyrene의 낮은 농도에서 노출될 때는 이 물질을 탄소원으로 사용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연안해역에 benso[a]pyrene과 같은 지속성 유기오염물질이 유입되었을 때 내정여부에 따라 식물플랑크톤 군집내 종 천이와 일차생산력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TEX>5.2개)였으며, 등급별 회수율은 각각 GI(8.5%), GII(13.4%), GIII(43.9%), GIV(34.2%)로 나타났다.ments of that period left both in Japan and Korea. "Hyojedo" in Korea is suppos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letter design. Asite- is also considered to have been "Japan

  • PDF

Legal Issues regarding the Exercise of Claim of Return for Secured Portions - focusing on Supreme Court Decision 2010DA50809 Delivered on May 24, 2012- (유류분반환청구권의 행사에 관한 법적 쟁점 -대법원 2012. 5. 24 선고 2010다50809 판결을 중심으로-)

  • Chung, Ku-Ta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2 no.9
    • /
    • pp.202-210
    • /
    • 2012
  • Since Civil Law recognizes the freedom of a testament, it recognizes the freedom allowing the decedent to dispose his/her own property at his/her own intention. However, in order to prevent various abuses which may occur when the principle of freedom of testament is carried out unlimited, secured portion system is stipulated. So, absolute freedom of property disposed by the deceased is limited. Likewise, the secured portion system is introduced as the system to resolve the contradiction that exists between principle of freedom of testament and legal inheritance. Since Supreme Court Decision 2010DA50809 delivered on May 24, 2012 includes major legal issues such as how to exercise of claim of return for secured portions, transfer of the secured proportion or the claim of return for secured portions, and exercise of claim of return for secured portions against a third party. So, it has a very important meaning. In this paper, legal issues regarding the exercise of claim of return for secured portions have been reviewed with this decision.

The Pilot-scale Treatability test of Co-Composting for The Remediation of Diesel Contaminated Soil in The Winter (동절기 유류 오염토양 복원을 위한 Co-Composting 기술의 현장 적용성 연구)

  • 마정재;고형석;황종식;정민정;최상일;김국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9.04a
    • /
    • pp.26-28
    • /
    • 1999
  • 동절기 급격한 온도 저하로 인한 적용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composting 기술을 현장에 적용하여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온도 변화에 따른 분해 특성을 검토하였다. 기초 실험을 통해 영양원과 유류분해 미생물의 첨가에 따른 분해 효율을 점검한 결과 초기 유효 미생물 (유류분해 미생물)의 농도가 낮고 영양원(N, P source)의 불균형으로 인해 영양원의 첨가와 유류분해 미생물을 동시에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절기 낮은 온도를 극복하기 위해 퇴비를 투입한 Co-composting 기술은 주입된 퇴비의 영향으로 pile 내부의 온도가 30-40일 동안 중온상태를 유지하였으며, 제거효율은 91%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류 오염토양을 복원함에 있어서 동절기에도 별도의 시설투자 없이 효율적으로 유류를 분해시킬 수 있는 CO-Composting 기술의 적응 가능성이 확인되었으며, 난분해성 물질의 생물학적 분해에 있어서도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유류 오염 토양 복원을 위한 Biopile 적용성 연구

  • 조미영;김무훈;이두명;최우진;최진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4a
    • /
    • pp.326-329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유류 오염 토양의 복원에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난 Biopile 공법을 오염 토양에 적용하였을 경우, 토양의 생물학적 복원이 가능한지 여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45일간 의 Biopile 실험 결과, 공기 주입 및 영양분 주입 후 TPH의 감소율이 최대 64.75 %까지 나타났다. 또한 공기만을 주입하였을 경우에도 제거율이 약 33 %를 나타내었다. TPH가 6,000 mg/kg인 인공 오염 토양을 사용하여 Biopile 공법을 적용하였을 경우에는 30일 반웅 후 43.46 %의 높은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오염 토양의 균주를 순화/분리 하였을 때 오염 토양 내에 고 활성의 유류 분해 미생물이 확인되었으며, 이들의 유전자 역시 확인되어 자체적으로 생물학적 분해능을 가지고 있는 토양으로 나타났다.

  • PDF

A Field Study for the Remediation of TPH and BTEX Contaminated Soils Using Hydrogen Peroxide (현장시스템에서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TPH와 BTEX 분해에 관한 연구)

  • 최석종;이태진;박진희;김영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4a
    • /
    • pp.248-251
    • /
    • 2004
  • 유류로 오염된 토양에 과산화수소를 주입 후 펜톤유사반응을 유도하여 유류오염토양의 복원 가능성을 조사해 보았다. 과산화수소의 분할 주입 후 TPH와 BTEX 제거율은 최고 99.04 %와 99.25%로 각각 나타났으며, BTEX와 TPH가 혼합 오염된 토양에서 펜톤유사반응을 적용하였을 때 BTEX의 분해보다 TPH의 분해가 빠르게 진행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유류분해 미생물을 이용한 세척 유출수 처리에 관한 연구

  • 김형수;최상일;조장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2.04a
    • /
    • pp.287-290
    • /
    • 2002
  •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유류 오염토양 복원기술 적용시 발생되는 세척 유출수를 유류분해 미생물로 알려진 Pseudomonas putida Fl, Pseudomonas oleovorans, Acinetobacter calcoaceticus를 이용하여 생물학적으로 처리하는데 필요한 기초 연구를 실시하였다 세종류의 미생물은 본 연구에 사용된 계면활성제(POE$_{5}$, POE$_{14}$)에 대하여 독성이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배양 종료 후 계면활성제 농도에 따른 TPH 분해율은 0.1%, 0.5%, 1%의 계면활성제 농도에서 유사한 분해율을 나타냈으나, 배양 초기에는 0.1%가 0.5%나 1% 농도에 비하여 높은 분해율을 보였다 pH의 변화에 따른 TPH 분해율은 적용 pH 범위(4, 6.5, 9)내에서 모두 생육이 가능하였으며, 세 종류의 미생물은 pH 6.5에서 가장 높은 TPH 분해 율을 나타내었다.

  • PDF

A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Bioremediation Agents to degrade the spilled oils on waters (미생물제제의 해상유출유 분해 효과에 대한 연구)

  • Lim Jae-Dong;Yun Jong-Hwui;Kim In-Soo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4.05b
    • /
    • pp.73-79
    • /
    • 2004
  • When large-scale oil spill happens, it will put the fatal impact on the ecosystem, ultimately harm human being seriously. Accordingly every coastal country invests to improve response technologies, of which oil removal by use of bioremediation agent is taken to be secondary or alternative cleanup method in a specific spilled area In this regards, the author attempts to find out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bioremediation agent to oil slick by laboratory experiment as well as the possibility of bioremediation application to future spill accident and gets the some results. In this study,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bioremediation agent to oil slick is examined by short-term laboratory test and it is found that bioremediation agent am degrade oils effectively. however, considering the environment c! spill site is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lab, the author will carry on the on-scene test of bioremediation for longer period to look into the possibility of biorediation agent as one of oil spill response methods.

  • PDF

Detection of Biodegradative Genes in Oil Contaminated Soil Microbial Community by Oligonucleotide Microarray (Oligonucleotide Microarray를 이용한 유류 오염 토양 미생물 군집내 난분해성 화합물 분해 유전자의 검출)

  • Lee Jong-Kwang;Kim Hee;Lee Doo-Myoung;Lee Seok-Jae;Kim Moo-Hoon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11 no.1
    • /
    • pp.1-6
    • /
    • 2006
  • The analysis of functional population and its dynamics on the environment is essential for understanding bioremediation in environment. Here, we report a method for oligonucleotide microarray for the monitoring of aliphatic and aromatic degradative genes. This microarray contained 15 unique and group-specific probes which were based on 100 known genes involved pathways in biodegradation. Hybridization specificity tests with pure cultures, strain Pseudomonas aeruginosa KCTC 1636 indicated that the designed probes on the arrays appeared to be specific to their corresponding target genes. It was found that the presence of 8 genes encoding alkane, naphthalene, biphenyl, pyrene (PAH ring-hydroxylating) degradation pathway could be detected in oil contaminated soil sample. Therefo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trongly suggest that oligonucleotide microarray is an effective diagnostic tool for evaluating biodegradation capability in oil contaminated subsurface environment.

The Pilot-scale Treatability Studies of Co-Composting for the Remediation of Diesel Contaminated Soil during the Winter (동절기 유류 오염토양 복원을 위한 Co-composting기술의 현장 적용성 연구)

  • 마정재;고형석;황종식;정민정;최상일;김국진
    • Journal of Korea Soil Environment Society
    • /
    • v.4 no.2
    • /
    • pp.193-201
    • /
    • 199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heck the applicability of pilot-scale co-composting for the remediation of diesel contaminated soil during the winter. Nutrients and microbes were added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bioremediation and fermenting composts were also added to stimulate the microbial activities. As a result. the soil pile was kept at adequate temperature for the bioremediation during the test period of 30∼40 days and initial concentration(2,340mg TPH/kg dry soil) was reduced to 216mg TPH/kg dry soil (approximately 91% removal). During the initial 10∼30 days, it was found that the TPH concentration and the microbial population were rapidly reduced and increased. respectively. The co-composting technology studied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remediate the diesel contaminated soil during the wint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