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달산과 학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Broiler에 대한 유채박의 사료적가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utritive Value of Rapeseed Meals for Broilers)

  • 이상진;정선부;강태홍;김강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03-111
    • /
    • 1983
  • Low glucosinolate 품종인 Canada산 및 국내산개량종(영산) 유채박과 high glucosinolate 품종인 국내산재래종(유달) 유채박의 사료적가치를 구명하기 위하여 broiler 초생추 400수를 공시하여 1982년 9월 13일부터 11월 8일까지 8주간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채박의 아미노산 조성은 Canada산이 유달이나 영산유채박에 비하여 비교적 훌륭한 편이며 특히 Canada산 및 영산유채박은 함유황 아미노산의 함량이 많았다. 2. 각품종 공히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증체량이 떨어지는 경향이었지만 Canada산은 10%, 유달 및 영산유채박은 5%까지 첨가해도 유의차가 없었다. 3. 사료요구율은 유채박의 첨가수준이 증가할 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으나 Canada산과 유달유채박은 10%, 영산유채박은 15%까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차가 없었다. 4 유채박의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모든 영양소의 이용율이 떨어지는 경향이었다. 5. 품종별 kg당 대사에너지 가는 Canada 산이 1,821Kca1, 유달 1,586Kca1, 영산 1,683Kca1이었다. 6. 도체율은 유채박의 첨가수준이나 품종간에 차이가 없었다. 7. 유채박의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갑상선이 점점 커지는 경향이었다. 8. 소득은 Canada산은 10%. 유달 및 영산유채박은 5%까지 첨가해도 대조구와 큰 차이가 없었다. 9. 이상의 결과로 보아 broiler사료에 Canada산은 10%, 유달 및 영산유채박은 5%까지 첨가해도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목포 삼학도의 장소성을 활용한 공연콘텐츠 기획 연구 (A Study on the Planning of Performance Contents Using the Placeability of Samhakdo Island in Mokpo.)

  • 정지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383-392
    • /
    • 2022
  • 목포는 한반도 서남부에 있는 항구도시이다. 대중가요인 《목포의 눈물》은 전 국민의 가슴속에 심어진 노래이다. 이 가사에 목포지역인 유달산과 삼학도가 있기에, 사람들은 이 지역을 막연하게 알고 있지만 친숙한 곳이다. 특히 삼학도는 목포를 상징하는 지역으로 대표적인 브랜드이며, 지역의 정체성을 가진 장소이다. 목포시는 삼학도를 개발하기 위해 많은 시설 인프라를 조성하고 있다. 지역경제를 관광산업으로 전환하기 위한 발판인 것이다. 하지만 지역문화의 소프트파워를 위한 공연콘텐츠 개발은 미약하다. 이러한 점에서 이 연구는 지역의 관광매력도를 위하여 목포의 대표브랜드인 삼학도에 대하여 공연콘텐츠를 제시한 것이다. 연구진행은 목포에서 삼학도의 장소성을 활용한 공연콘텐츠 기획 연구한 것이다. 먼저 지역의 장소성을 기반으로 하는 공연콘텐츠 기획 이론 배경을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목포 삼학도에서 공연콘텐츠 기획을 제안하였다.

우리나라 황단나무의 신분포 및 분류학적 특징 (A new distribution of Dalbergia hupeana Hance (Fabaceae) in Korea and its taxonomic characteristics)

  • 최인수;진동필;안숙자;최병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22-28
    • /
    • 2015
  • 목포시 유달산에서 발견된 황단나무(Dalbergia hupeana)의 신분포를 보고한다. 본 종은 중국에만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이번 연구를 통해서 한반도에도 자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종의 동정은 형태 형질과 DNA 염기서열을 통해 확인하였다. 황단나무속(Genus Dalbergia) 또한 한국산으로 처음 보고되는데, 다른 한국산 콩과 수종들과는 양체웅예(5+5)를 가지는 것으로 뚜렷이 구분된다. 본 속과 종의 형태형질에 대해 기재하였으며, 이들의 국내 분포기원이 자생 또는 도입에 의한 것인지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