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기EL

검색결과 204건 처리시간 0.039초

영상처리기법을 이용한 유기 EL용 ITO 코팅 유리의 표면결함 검출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detection algorithm of the defected in the surface for ITO coated glass using image processing technique)

  • 김면희;박세홍;이상룡;김관수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173-1178
    • /
    • 2003
  • Recently, Organic EL(Electro Luminescence) is interested in Flat Panel Display(FPD) department of new generation. This paper describes a image processing algorithm for the scratch detecting for ITO coated glass. We use the logical level thresholding method for binarization of gray-scaled glass image. This method is useful to the algorithm for detecting scratch of ITO coated glass automatically without need of any prior information of manual fine tuning of parameters.

  • PDF

화상처리를 이용한 ITO 코팅 유리의 결함검출기법 개발 (Deveopement of Scratch Detection Algorithm for ITO coated Glass using Image Processing Technique)

  • 김면희;배준영;이태영;안경철;이상룡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75-1278
    • /
    • 2003
  • This research describes a image-processing technique for the scratch detecting algorithm for ITO coated glass. The light emitter efficiency of Organic EL has a failing-off in quality due to many causes. One of the many causes was the defects of the surface in ITO coated glass. We use the logical level thresholding method for binarization of gray-scaled glass image. This method is useful to the algorithm for detecting scratch of ITO coated glass automatically without need of any prior information of manual fine tuning of parameters.

  • PDF

Polyaniline 투명전극을 사용한 유기EL 소자의 발광 특성 (Emission Property of Organic EL Device using Polyaniline Transparent Electrode)

  • 김주승;김대중;구할본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Vol.14 No.1
    • /
    • pp.374-377
    • /
    • 2001
  • We have synthesized poly(3-hexylthiophene)(P3HT), which is the most famous conducting polymer and studied the optical properties of P3HT. And then fabricated the device using P3HT as an emitting layer. For the improve of hole injection from ITO electrode to P3HT emitting layer, we use transparent polyaniline(PANI) electrode. In the voltage-current-luminance characteristics of ITO/PANI/P3HT/LiF/Al device which use the PANI film synthesised during 5 cycle, the device turn on at the 2V and the luminance of $218nW/cm^{2}$ obtained at 12V. External quantum efficiency of ITO/PANI/P3HT/LiF/Al increased at 8V than that of ITO/P3HT/LiF/Al device.

  • PDF

Polyaniline 투명전극을 사용한 유기EL 소자의 발광 특성 (Emission Property of Organic EL Device using Polyaniline Transparent Electrode)

  • 김주승;김대중;구할본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74-377
    • /
    • 2001
  • We have synthesized poly(3-hexylthiophene)(P3HT), which is the most famous conducting polymer and studied the optical properties of P3HT. And then fabricated the device using P3HT as an emitting layer. For the improve of hole injection from ITO electrode to P3HT emitting layer, we use transparent polyaniline(PANI) electrode. In the voltage-current-luminance characteristics of ITO/PANI/P3HT/LiF/Al device which use the PANI film synthesised during 5 cycle, the device turn on at the 2V and the luminance of 218 nW/$\textrm{cm}^2$ obtained at 12V. External quantum efficiency of ITO/PANI/P3HT/LiF/Al increased at 8V than that of ITO/P3HT/LiF/Al device.

  • PDF

유기 EL 소자의 전기-광학적 특성 (Electro-optical properties of organic EL device)

  • 김민수;박이순;박세광
    • 센서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52-257
    • /
    • 1997
  • ITO(indium-tin-oxide)/PPV(poly(p-phenylenevihylene))/음극 전극의 단층구조와 ITO /PVK(poly(N-vinylcarbazole))/PPV/음극전극의 이층구조를 가진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소자를 제작하였으며, 전기-광학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단층구조에서는 PPV막의 열변환 온도를 $140^{\circ}C$에서 $260^{\circ}C$로 증가할수록 최대 휘도가 $118.8\;cd/m^{2}$(20V)에서 $21.14\;cd/m^{2}$(28V)으로 감소하였고, EL 스펙트럼의 최대 피크가 500nm에서 580nm로 이동하였다. 또한, 음극전극의 일함수가 낮을수록 소자의 발광휘도와 주입 전류는 증가되었다. 이층구조에서는 PVK막의 농도가 감소함에 따라 발광휘도가 $70.71\;cd/m^{2}$(32V)에서 $152.7\;cd/m^{2}$(26V)으로 증가하였다.

  • PDF

2층 구조 유기 박막 EL 소자의 전기-광학적특성 (Electro-optical characterization of heterostructur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 김민수;박세광
    • 센서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10-15
    • /
    • 1995
  • 유기 박막 electoluminescent(EL) 소자를 제작하여 전극의 일함수에 따른 출력휘도의 의존성과 휘도-전압 특성을 측정하였다. 제작된 소자의 구조는 Indium-Tin-Oxide(ITO)/정공수송층/발광층(전자수송층)/금속전극이며, 정공수송층으로는 PMMA+TPD(0.5wt%)와 측쇄 액정 고분자 메트릭스인 MC homopolymer+TPD(0.005wt%)와 (MC/MMA)copolymer+TPD(0.005wt%)을 사용하였으며, 발광층은 $Alq_{3}$을, 금속전극으로는 Ca, Mg, Mg:Ag(10:1) 와 Al을 사용하였다. 출력특성이 전압에 따른 정류특성을 가짐을 보였으며, 소자의 문턱전압은 5볼트이고, 출력 휘도는 10 볼트에서 700 $Cd/m^{2}$이상의 휘도를 보였다.

  • PDF

제전기용 고성능 원격 감시 장치의 개발 (Development of Remote Monitoring System for Ionizer)

  • 박철영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131-137
    • /
    • 2009
  • 제전기는 정전기를 제거하는 장치로서 평판디스플레이, 유기 EL 등의 제조 공정에서 사용하는 장치이다. 본 논문에서는 상위 컴퓨터와 다수의 제전기간에 통신이 가능하며, 각 제전기의 전원 및 제전 상태를 독립적으로 제어가 가능한 제전기용 고성능 원격 감시 장치를 개발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제어기의 핵심적인 기능인 유니트 접속, 이온발생량, 대전량, 경보상태, 그리고 제전상태가 PC와 제어기 사이에 정상적으로 송수신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개발된 장치는 TFT-LCD, PDP, 유기 EL 등 평판제조 산업에 필요한 제전기를 고성능으로 원격 감시하는 시스템에 활용이 기대된다.

차세대 유기 EL 디스플레이를 위한 기판 조작에 관한 연구 (Study on a large-size glass substrate handler for new generation OLED)

  • 김숙한;이동은;김준철;이응기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9-80
    • /
    • 2006
  • In order to raise productivity of the OLED and realization of the OLED TV, it is required to improve the design of the board size glass panel. The large-size glass substrate has some difficulties regarding its deflection during handling operation due to its small thickness (0.7t) which is not even enough to stand its mass itself. This paper is demonstrating a new solution of this difficult through clamping and bending end condition, which helps to minimize the deflection of the glass substrate.

  • PDF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개요, 재료 및 연구 동향

  • 박준영
    • E2M - 전기 전자와 첨단 소재
    • /
    • 제15권12호
    • /
    • pp.3-10
    • /
    • 2002
  • 유기 전계발광 소자는 발광성 유기화합물을 양극과 음극사이에 형성한 후 전기적으로 여기시켜 그 발광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로 1960년도에 처음 전기 적 발광현상이 안트라센 물질에서 처음 보고되었다[1]. 그 후 1987년에 코닥(Kodak)사의 Tang에 의해 적층형 유기 전계발광 소자가 처음 연구되어 소개된 후 실용화를 목표로 활발히 연구되기 시작하였으며[2], 1990년도 들어서는 유기물 재료 중에 전도성 고분자형 재료의 전기적 발광현상이 영국의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보고되어 고분자형 유기 전계발광 소자연구가 진행되기 시작하였다[3]. 유기 전계발광 디스플레이는 평판 디스플레이의 한 종류로서 저전압 구동, 박형, 자체발광에 인한 고인식성 및 넓은 시야각, 빠른 응답속도 등의 많은 장점을 갖고 있어 현재 널리 사용되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결점을 해결해줄 수 있는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최근 들어 매우 높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연구개발 또한 가장n 활발한 분야로 알려져 있다 현재는 저분자형 유기물을 사용하는 저분자 유기 전계발광 소자와 전도성 고분자를 사용하는 고분자 유기 전계발광 소자가 전자발광 디스플레이 연구의 두 분야로 경쟁하면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1990년도 후반부터 디스플레이로의 연구가 일본에서부터 활발히 진행되면서 수동형 (Passive Matrix) 구동의 유기 EID가 일본의 Pioneer,한국의 삼성 SDI등에 의해서 상업화되었다. 현재는 카오디오나 핸드폰 등에 이미 채용이 되고 있으며 일반인들이 쉽게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로 바뀌어가고 있다. 또한 향후 중대형 디스플레이로 상업화하기 위하여 일본의 Sony, Sanyo, Toshiba, 한국의 삼성 SDI 등에서 능동구동 유기 EL (Active Matrix OLED (AM OLED))를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그림 1 참조)유기 ELD는 이와 같이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향후 몇 년 내에 우리 주변의 일상적 인 디스플레이로 등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보고서에서는 현재 실용화가 급속히 진전되고 있는 유기 전계발광 디스플레이의 소자구조, 발광기구. 소자특성, 각종 재료, 풀컬러화 기술, 구동방법등에 대한 기술개요와 국내외 기술동향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