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기적모더니즘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17초

유기적 모더니즘 가구디자인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 - 현대미술과의 상호연관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Organic Modernism Furniture Design - Chiefly focusing on mutual relationship with Modem Art -)

  • 최병훈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153-161
    • /
    • 2004
  • Organic Modernism was inaugurated by Alvar Valto as an alternative plan to the formative limitation of Geometrical Modernism. It began to appear in the 1930s in the fields of Architecture, Furniture, Product Design and so on. It is known that began with organic formative language is closely related to surrealistic artists Andre Breton as well as other artists and sculptors in that era. Such Formative Language formalized a stream of Organic Modernism Furniture Design unique to the region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Scandinavia. After crossing over to America, mass production of Furniture was born and new materials were linked by industrialization.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c Formation in Modern Art such as Three -Dimensional, Biological Morphological, Symbolical, Primitive, Fantastical, Non-Realistic, Incidental, Irregular, transmit to Furniture Design. They are as Characteristics especially with Three-Dimensional, Biological Morphological and Symbolical aspects. Histories of Art and design, there are some examples showing mutual Interchange between Functional and Artistic Character. This thesis also clarifies the Formative Relationship that the Furniture designers who pursued Functionality and Mass Production had obtained from Modern Artistic works and the Artists, through the process of comparing and researching the typical Artists and their works.

패션에 표현된 유기적 모더니즘 디자인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Organic Modernism Design in Fashion)

  • 김유경;유영선
    • 복식
    • /
    • 제59권10호
    • /
    • pp.98-110
    • /
    • 2009
  • This study has outlined and summarized academic meaning of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Organic Modernism represented by various aspects of design, art, industry and architecture, then has intented to define concept of Organic Modernism Fashion. Eventually, this study is to make a analysis of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Organic Modernism Fashion Design. Based on example of Organic Modernism applied to architectural structure, industrial products and pure paintings, this study has analyzed and researched into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Organic Modernism represented by fashion design. As a consequence of study, its characteristics are defined as below; The first, the beauty of simple formation using delicate curve. The second, the expression of symbolic formation based on surrealism. The third, the expression of continuous 3-dimensional curved surface. And the last characteristic is a providing transformable multi-function. Through those characteristics mentioned above, it may be expected to define a concept of Organic Modernism Fashion Design newly and to set a precedent for providing a basic criteria to classify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Organic Modernism Fashion Design.

해체적 작품공간의 구조 분석을 위한 다이내믹 시미트리와 모듈 개념의 적용 및 그 해석 (Interpretation Applied Dynamic Symmetry and Module for the Structure Analysis in Art-Work Space)

  • 신연호
    • 디자인학연구
    • /
    • 제13권3호
    • /
    • pp.221-234
    • /
    • 2000
  • 본 연구는 1970년대 이후 포스트 모더니즘 예술가들의 작품공간에서 나타나고 있는 해체적 방식의 공간개념 고찰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예술가들의 세계관 변화에 따른 20세기 후기 시대 포스트모더니즘 시각예술 작품에 나타난 복잡계(complex System)의 특성들을 20세기 전기 시대 모더니즘 시각예술 작품에 나타난 단순계(simple System)의 특성들과 비교하여, 그 특성들이 작품형식의 특징을 이루어 주는 구성체계와 어떤 상관관계를 맺으며 조형적 체계화의 변수를 갖게 되는가에 대한 탐구이다. 따라서 그 구성체계들과 변수에 대한 이론적 접근방법으로서는 예술작업에서 기본적 형태 구성 방법으로 사용되는 질서체계의 의미 즉, 모듈(module) 개념을 르 꼬르뷔제(Le Corbusier)의 이론을 통하여 살펴보고, 예술작업에서의 형태구조를 랭거(Suzanne langer)의 형태론 연구에서 정의된 '생명체의 법칙(the law of living form) 즉, '유기체의 원리(the principles of organization)'로 볼 수 있을 때, 인체나 자연 생태계의 성장구조에서 나타나는 유기체적 구조라고 보며, 모듈의 법칙을 지배하는 원리를 햄비지(Jay Hambidge)가 주장하는 다이내믹 시미트리(dynamic symmetry)로서 작품 공간을 산술분석 하였다. 이로써 20세기 전기 시대와 후기 시대의 시각예술 작품에서 나타난 양식의 특성들을 제시작품을 통하여 그 내용면과 형식면에서 차이를 비교 분석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20세기 후기 포스트 모더니즘 시각예술 작품에서 나타나는 복잡계의 특성들이 새로운 조형적 체제화의 변수에 작용하는 원리를 다음과 같이 다음과 같이 제안할 수 있게 되었다. 첫째, 작품공간에서의 모듈은 다이내믹 시미트리로부터 만들어지고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모듈은 다이내믹 시미트리의 필요충분 조건인 만족스럽고(acceptable), 효율적이며(effcient), 융통적이고(flexible), 적응력이 뛰어난(adaptable) 인간적 요구사항을 충족시켜야 한다. 셋째, 다이내믹 시미트리는 역(逆, reciprocity)의 원리와 보상(補賞, complement)의 원리를 제 1의 구성원리로 하며 공간에서 서로에 대한 역과 공통성(common property)을 갖고 자기유사를 지닐 때 연속체(continuum)를 손상하지 않고 전체공간을 유기체적으로 분절한다.

  • PDF

조형공간의 다원성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

  • 최성렬
    • 조형예술학연구
    • /
    • 제12권
    • /
    • pp.145-191
    • /
    • 2007
  • 21세기는 과학적 물질문명의 발달로 인하여, 과거에는 느껴보지 못했던 물질문명의 풍요를 이끌어 냈으며, 컴퓨터, 메스미디어의 발달로 인하여, 인간 문명의 관심은 지구계를 벗어나 우주론적으로 확장되어 마침내 우주시대를 열었다. 하지만 인간의 이성과 함께 영원하리라 믿었던 과학적 합리성은 20세기 초두에 제국주의적 전쟁을 일으키게 되었으며, 그로 말미암아 이성 파괴 현상이 드러나게 되었다. 급기야 20세기말에 이르러 다원주의라 칭하기도 하는 후기산업사회의 병적 증후군들, 국가간의 경제전쟁, 컴퓨터 및 각종 정보매체를 통한 신속한 정보교환의 이면에는 인간의 자기정체성의 혼돈을 아울러 초래하게 되었다. 과학기술의 발달로 생태계 및 환경은 오염되고 파괴되었다. 20세기말에는 산성비, 엘니뇨, 라니냐 현상으로 인하며, 환경의 재앙을 초래하면서 이제 인간은 문명에 대하여 여태껏 가져왔던 확고한 믿음에 회의를 갖게 된 것이다. 이와 같은 현상은 인간의 주체적 인식과 과학적 믿음의 지나친 숭배로 인하며 자연도 인간에 의하여 지배되고 인간을 위해서만 존재하는, 인간과 자연의 이원론적인 생각 즉, 인간의 이성에 의해서만 가능하다고 생각한 "근대적 주체"에 대한 맹신의 결과인 것이다. 이렇듯 20세기의 문제점은 21세기로 전가되어 여전히 계속되고 있으며, 세계내의 가장 큰 문제점은 전쟁, 기아 등 보다 이제는 오히려 환경. 생태문제로 귀결되어 지구의 생존권 자체가 위협을 받게 되었다. 미술도 서구문명의 근대주의적 영향에 의해서 모더니즘 등 이성위주의 미술인 "근대 주체적 미술"로 발전하였지만 포스터모더니즘에서 보여 지듯 이미 인간의 순수한 이성을 근간으로 한 미술에 있어서의 주체성 주장은 상당부분 무너졌으며, 이제는 장르의 해체와 다원화 현상으로 나아가게 되었다. 환경파괴에 직면하여 이제 주체는 자연이라는 타자를 새롭게 등장시킨다. 그리하여 생명중심주의, 전체론, 감각 중심주의 등 인간과 자연이 함께 공생하는 자연을 향한 생태적인 미술이 절실히 요구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논문은 무비판적 서구미술에 동요되지 않고, 지극히 자연적이고 동양적이기도 한 끊임없이 생명력을 창출해 내는 자연에 관심을 같게 되었으며, 환경의 중요성과 함께 생태학적 미술, 즉 생태미술에 본인의 작업을 관계시키고자 한다. 근대적 문명사에 의해 매장된 생태적 유기성의 흔적을 고고학적 탐사방법을 통하며 발굴해 내며, 환경윤리와 생태학, 심층 생태학, 북친의 '사회 생태학'을 수용하여 물질성의 생태적 복원과 함께 조형공간의 다원성에 대한 생태 미술의 일단을 규명코자 하였다.

  • PDF

알바 알토의 유기주의 건축과 가구디자인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Alvar Aalto's Architecture and Furniture Design)

  • 정현경;이희원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논문집 2부
    • /
    • pp.623-626
    • /
    • 2012
  • 20세기 건축가들과 디자이너들은 사회적, 시대적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새로운 디자인 언어를 수립하고자 다양한 노력을 전개해 왔다. 알바 알토는 모더니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건축가이자 가구디자이너로 평가받고 있는데, 그의 건축디자인과 가구디자인은 상당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알바 알토의 건축디자인 특성을 가구디자인과의 관련성의 측면에서 파악하여 그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알바 알토의 건축 디자인 특성 중 유기적 측면에서 정리된 디자인의 불연속적 특성, 불규칙적 특성, 통합적 특성, 자연요소의 특성의 측면에서 그의 가구디자인 사례를 건축디자인과 비교하여 가구디자인에 반영된 건축적 특징을 파악하였다.

  • PDF

모더니즘 건축에 나타난 유기적 중세주의 전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dition of Organic Medievalism expressed in Modern Architecture)

  • 박수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9호
    • /
    • pp.67-76
    • /
    • 2001
  • This Study is about the tradition of Organic Medievalism expressed in Modern Architecture. The concept of Medievalism is an attitude to revive the social and physical settings on the Middle Ages. The Organic Medievalism in Modern Architecture was to be explained as the two tendencies; one was toward the rational structural logic of the medieval architecture being re-interpreted into the Modern Architecture and the other was toward the organic and fantastic shape of the Modern Architecture, closely connected with nature-friendly and organic shape of medieval city and buildings. The structural logic of the medieval architecture became systematized by the French architects, Viollet-le-Duc and Auguste Choisy. The principle has been applied to the design of the Art Nouveau, Louis Kahn and so-called the High-Tech Architecture creating the aesthetics of its own by exposing the building structure. The other was used as the elements to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t Nouveau architects, and then served as the background of the creation of the avant-garde architecture of Germany. The ideal has been serving as the great idealistic fundamentals by the so-called Archigram and Deconstruction at the late half of the 20th century.

  • PDF

제 2차 대전후 조형예술과 Christia Dior 의 복식 디자인에 나타난 미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Plastic Art And Christian Dior Fashion after World War II.)

  • 김정은;정흥숙
    • 복식
    • /
    • 제50권2호
    • /
    • pp.59-80
    • /
    • 2000
  • In February 1947, Christian Dior startled the world with his spring collection. He transformed the unflattering square shouldered outline of women's wartime fashion overnight. It was not only fashion that made a pivotal point for opulence and elegance, The style of architecture, furniture, glass, and silverware also made a radical change. The new style emerged after war called " organic modernism'. This study is to define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fashion, architecture, furniture and craft after World War II and examine the social factors and aesthetics that generated a new style. The common asthetic characteristics are freedom, abstraction of symbolic from, asymmetry, and exaggeration of form. The social factors, values and aesthetics are economic reconstruction and renaissance of design , technical development and new materials, fredom and optimistic view after the holocaust of war, and organic aesthetics and humanism.

  • PDF

노자 도덕경(道德經)에 근거한 사회복지실천관계론의 탐색 (In Quest of Alternative Thoughts for Social Work Practice Relationship Based on Lao-tzu's Work of Tao Te Ching)

  • 최명민;박승희;김성천;김기덕;이은정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6권1호
    • /
    • pp.139-162
    • /
    • 2014
  •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의 관계는 사회복지실천의 중심으로 간주되어 왔지만 사회복지실천관계에 대한 현행 담론은 이론적 정향과 실천적 유용성 면에서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최근 사회과학에서도 주목을 받고 있는 노자 도덕경은 유력한 대안 담론으로 검토될 만하다. 크게 본체론, 개체론, 수양론을 아우르고 있는 도덕경은 원인론, 인과론, 개체주의로 상징되는 서양철학의 전통과 달리 객관주의, 긍정적 비판주의, 인본주의, 평등주의, 상호성과 관계성을 지향하는 유기적 세계관을 지향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노자 철학을 통해 사회복지실천관계론을 모색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새로운 가능성을 도출해 보았다. 첫째, 사회복지실천의 지향점을 '자연적 인본주의'로 설정함으로써 실천관계를 인간본성에 근거한 상보적 존재로 규정한다. 둘째, 스스로 그러하다는 의미에서 자연스러운 존재로서 인간본성을 규정함으로써 클라이언트의 잠재적 가능성과 이를 저해하는 인위적 억압을 인식한다. 셋째, 노자적 관점을 취하는 사회복지사는 폐쇄적 전문주의를 넘어 성찰과 무위(無爲)의 실천 주체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노자 도덕경은 서구중심의 관계론이 가진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이항 대립적 한계를 넘어 한국적 사회복지실천 관계를 모색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이론적, 실천적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PDF

퍼포먼스.이벤트의 결합체로서 건축환경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Environment as a Combination of Performance and Event)

  • 김주미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
    • /
    • pp.121-138
    • /
    • 1996
  • 전환기적 시대상황의 인식과 뉴 패러다임에 기초하여 미래 건축환경의 변화를 예측하고 그에 대응할 수 있는 건축언어와 새로운 디자인 전략을 제안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었으며, 그 연구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 예술 속에서 공간, 인간의 신체, 그리고 움직임을 재해석하고 그 예술적 의도를 환경디자인과 결합시켜 퍼포먼스·이벤트건축의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둘째, 건축환경은 물질들만의 집합보다는 공간, 움직임, 우연적 상황 그리고 이벤트들의 결합체로서 보았다. 또한 퍼포먼스장소로서의 환경을 이해함과 동시에 디자인 행위자체를 퍼포먼스 과정으로 제시하였다. 셋째, 인간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항상 반응하며 스스로의 조절을 통해 적응하는 유기체적 시스템이다. 건축 또한 현시대의 불확정적인 인식체계와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구조, 테크놀러지의 발전과 함께 인간의 행위, 활동이 결합되어 끊임없이 변화하는 역동적 시스템으로 설명되었다. 넷째, 본 연구자는 종래 모더니즘 디자인에서의 형태와 기능의 인과론적, 기계론적 조형태도에서 벗어나 상대론 적, 유기론 적 관점을 취하과자 하였다. 특히 탈 물질적인 환경의 개념을 강조하였으며 형태와 기능의 상호 텍스트 성, 그리고 시간의 흐름 속에서 상호변화 가능성을 지원할 수 있는 탈 프로그램 방법을 제안하였다. 결과적으로 퍼포먼스·이벤트건축의 전략은 인간의 자율적 기능의 회복과 예술로서의 환경을 어느 정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개념이라고 보았으며, 시스템적 세계관으로의 전환을 강조하였다.

  • PDF

존 듀이의 트랜스액션을 통한 감성디자인 이해 (Understanding Sensible Design through John Dewey's Transaction)

  • 허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56-163
    • /
    • 2013
  • 과거 미디어를 통한 인식의 확장은 '정보'였다. 그러나 앞으로의 미디어의 주된 목적은 정보의 전달이 아닌, 정보를 통해 인식되어지는 개인의 '감성'과 '경험'의 가치공유에 목적을 두게 될 것이다. 현대에서 개인의 감성이 이슈화되기 시작한 것은 모더니즘 이념의 한계성과 포스트모더니즘에서 시작된 인간사고의 자율적 인식의 팽배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물질만능주의에 한계를 느낀 지금시대에 다시금 마케팅을 위한 기능위주의 감성적 접근이라면 우리는 인간 본연의 가치이며, 새로운 소통의 가치로 재인식되고 있는 '감성'이 한순간 유행처럼 끝날 수도 있다는 점에 유념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인간의 잠재된 인식작용인 감성의 개념을 알아보기 위한 방법으로 존 듀이의 '트랜스액션'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듀이의 트랜스액션이란, 인간과 환경간의 상호교호 관계적 활동과 거기에 수반되는 일체의 인식과정을 지칭하는 용어로, 인간 감성과 사용자의 경험 그리고 환경을 유기체적 순환관계로 해석한다. 이러한 이해는 과거 주체와 대상간의 이분법적 소통의 한계를 벗어나 광범위한 환경에서의 인식의 관계를 확장함으로서, 개발자와 사용자간의 의식의 경계를 허물고 다양한 각도에서 감성을 공유하고 경험을 표현할 수 있는 디자인 방법을 모색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