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기염소계

Search Result 18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고무상 고분자막을 통한 물에 용해된 미량의 유기 염소계 탄화수소화합물의 분리

  • 오부근;하성룡;하상태;이영무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3.10a
    • /
    • pp.54-55
    • /
    • 1993
  • 유기염소계 화합물들은 저렴한 가격과 우수한 세정력으로 기계, 금속, 섬유산업에서 뿐만아니라 일반적인 용제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산업현장에서사용 후 처리에 있어 유기염소계 화합물들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고 방출하는 실정이다. 또한, 음용수제조시 행해지는 염소소득으로 미량의 트리할로메탄(THM)인 클로로포름이 생성된다. 이러한 유기염소계 화합물들은 음용수 중에 포함되어 체내로 흡수되면 암을 유발시킨다. 따라서 물중에 용해된 미량의 유기염소계 화합물들을 제거하는 것이 필수불가결한 실정이다.

  • PDF

Estrogenic Potentials of Organochlorine Pesticides which Detected in Korean Adipose Tissue (한국인의 지방조직에서 검출되는 유기염소제 농약의 에스트로겐 활성)

  • Oh Seung-Min;Kim Mi-Young;Lee Hee-Sung;Lee Do-Han;Lee Sang-Ki;Chung Kyu-Hyuck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v.19 no.2
    • /
    • pp.207-216
    • /
    • 2004
  • 유기염소계 농약은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지용성이 크며 체내 대사에 대해 저항성을 가지고 있어서 인체 및 생태계의 생물체 중 축적성이 매우 크다. 또한 대부분 내분비계 장애물질로 분류되어 있어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유기염소계 농약은 잔류성으로 인하여 사용이 금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인체에서 검출되고 있으며 한국인의 지방조직을 분석한 결과 9종의 유기염소계 농약이 주로 축적되어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유기염소계 농약의 에스트로겐 활성을 MCF-7 BUS cell을 이용한 E-screen assay competitive binding assay 및 pS$_2$ gene experession assay에 의해 조사하였다. o,p'-DDT,p, p'-DDT,p,p'-DDD,p,p'-DDE등 4종의 유기염소계 농약은 에스트로겐 수용체에 대한 ligand의존적인 작용기전에 의해 에스트로겐 활성을 가지며, $\alpha$-, $\beta$-, ${\gamma}$-, $\delta$-BHC, dieldrin등 5종의 유기염소계 농약은 lingand-비의존적 작용기전에 의해 에스트로겐 활성을 보였다. 또한 이들 유기염소계 농약을 혼합 투여하여 에스트로겐 활성을 관찰한 결과 DDT류의 경우에는 단독투여시 보다 그 대사체와 혼합 투여할 때 에스트로겐 활성에 상승적 효과가 나타났으며 o,p'-와 p,p'-DDT의 두 이성질체를 혼합 투여할 경우가 단독 투여시 보다 상승적 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지방조직에서 검출되는 유기염소계농약은 상호작용에 의해 개별 물질이 나타내는 내분비계장애작용 보다 실제로는 강한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추정되었다.

광양만내 유기염소계화합물의 오염

  • 홍상희;임운혁;심원준;오재룡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Conference
    • /
    • 2002.11a
    • /
    • pp.15-24
    • /
    • 2002
  • Polychloinated biphenyls (PCBs) 및 유기염소계 농약은 UNEP에서 지속성유기오염물질(POPs)로 규정하고 있는 화합물로서 환경내 잔류성이 강하고 먹이사슬을 딸라 생물증폭되는 화합물로 알려지고 있다. 광양만의 유기염소계화합물의 오염현황을 파악하고자, 표층퇴적물, 생물, 해수 중의 농도를 정량ㆍ정성분석하였다. 해수의 용존상을 제외한 모든 매질에서 PCBs와 DDT 화합물이 주요 유기염소계 화합물로 검출되었다. 퇴적물 중의 총 PCBs, DDTs, CHLs(클로르단 화합물), HCHs (헥사클로르사이클로헥산)의 농도는 각 각 0.61-1.97 ng/g, 0.16-1.16 ng/g, nd-0.51 ng/g, 0.05-0.79 ng/g의 농도 범위를 나타냈다. 퇴적물 중의 유기염소계화합물의 농도수준은 우리나라 주요 만 (부산만, 영일만, 울산만, 경기만)에서 조사된 퇴적물 중의 농도와 비교할 때 낮은 수준이며, 저서생물에 독성학적 위해를 일으킬 수 있는 수준에 미치지 못한다. 이매패류 중의 유기염소계화합물의 농도는 총 PCBs (4.42-19.ng/g), 총 BBTs (7.54-22.6ng/g), CHLs (0.49-2.0ng/g), HCHs (0.82-7.32ng/g)의 범위를 나타었다. PCBs의 경우 산업시설 및 도시 주변에서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전반적으로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 해수 중의 PCBs 농도는 제철소 인근에서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해수의 용존상에서는 입자상에서와 달리 DDTs보다 HCHs가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로 검출되었다. 이는 두 상에 분배되는 이들 화합물의 성향에 따르는 것으로 파악된다.

  • PDF

The Residues of Organochloltine Pesticides in each Tissues of Meats (육류중 장기의 유기염소계 잔류농약)

  • 류병호;하미숙;이종철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1 no.2
    • /
    • pp.163-169
    • /
    • 1986
  • 소, 돼지, 닭 및 염소의 근육, 지방조직 및 내장부위에서 11가지 유기염소계 잔류농약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육류시료 모두에서 검출된 유기염소계의 잔류량은 $\alpha$-BHC, $eta$-BHC, pp'-DDE, Heptachlor epoxide, ${\gamma}$-BHC순으로 검출되었고, Heptachlor, pp'-DDE 및 pp'-DDD는 극미량 내지는 흔적 정도 검출되었고 Drins류는 검출되지 않았다. 2. Total BHC 잔류량의 범위는 소의 경우 0.389ppb~1.111ppb로 평균 0.713ppb였고, 돼지는 0.139ppb~0.150ppb로 평균 0.631ppb였으며 닭은 0.312ppb~0.80ppb로서 평균 0.517ppb였다. 그리고 염소의 경우에는 0.238ppb~1.134ppb로써 평균 0.586ppb의 수준이었다. 3. 육류별 잔류량은 소, 돼지, 염소, 닭의 순서이고 부위별 잔류량은 지방조직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근육, 그외 부위별 잔류량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 PDF

Degradation of Organochlorinated Pollutants by Microorganism -Degradation of PCBs and Organochlorine Pesticides, and Degradasion Products- (미생물에 의한 난분해성 유기염소계 오염물질의 분해 -각종 PCBs 및 유기염소계 농약의 분해와 분해산물-)

  • Kim, Chan-Jo;Oh, Man-Jin;Lee, Jong-Soo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30 no.1
    • /
    • pp.40-45
    • /
    • 1987
  • Degradation of polychlorinated biphenyls(PCBs) and organochlorine pesticides by Alcaligenes aquamarinus has been studied and also degradation product of PCB-42 was investigated by TLC and GC. The less chlorinated members of PCBs such as Aroclor 1016 was degraded readily by the strain and rates of the microbial degradation of several organochlorine pesticides were found to decrease in the order of p,p'-DDT, r-BHC and Thiolix. Approximately 40 percent of PCB-42 was degraded when incubated with non-autoclaved soil for 25 days at $25^{\circ}C$. The yellow compound from PCB-42 was tentatively identified as p-chlorobenzoic acid.

  • PDF

Extraction Efficiencies of Organochlorine Pesticides Spiked in Fish Tissues by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초임계이산화탄소에 의한 어류조직 중 유기염소계 농약의 추출수율)

  • Lim, Sang-Bin;Jwa, Mi-Kyung;Kang, Soon-Bae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8 no.3
    • /
    • pp.475-481
    • /
    • 1996
  • A simple, fast, inexpensive method hal been developed to extract organochlorine pesticide spiked in fish tissues by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Following static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SFE), pesticides are collected by rapidly depressurizing the carbon dioxide effluent through a 0.79 mm i.d. metering valve into a capped screw-top tube. Percent recovers of standard organochlorine pesticides mixture (SOPM) increased with the decrease of the extraction temperature at 103 bar. Maximum average percent recovery of SOPM was 98% at $40^{\circ}C/172\;bar$ Average recoveries of SOPM spiked in Pacific cod, flatfish and common squid were 85,74,and 83% respectively at $40^{\circ}C/172\;bar$ Application of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ctraction offers and attractive alternative to the use of organic solvents for extraction of organochlorine pesticides from fish tissues.

  • PDF

Removal of Halogenated Organic Compounds in Wastewater by Pervaporation (투과증발법을 이용한 폐수중의 미량 유기염소계 화합물의 제저)

  • 오부근;하성룡;하상태;이영무
    • Membrane Journal
    • /
    • v.4 no.1
    • /
    • pp.57-62
    • /
    • 1994
  • This study uses pervaporation process to separate small amount of organic trichloroethylene, chloroform and perchloroethylene from contaminated water, since chlorinated hydrocarbones are known to be cancer suspecting compounds. For the separation of small amount of halogenated organic compound dissolved in wastewater, pervaporation membranes should be polymers that possess affinity with orgnic compounds and hydrophobicity. We used polyisobutylene, polyetheramide and polydimethylsiloxane membranes. The degree of affinity between organics and polymers were measured by contact angle method. We had good separation results that separation factor ranged from 34 to 19100 and permeate flux was$19.7~140g/m^2hr$.

  • PDF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Organo-phosphorus and Organo-chlorinated Pesticides in Soil and Lawn Samples of Golf Courses (골프장 토양 및 잔디 시료 중 유기인 및 유기염소계 농약의 동시 분석)

  • Seo, Yong-Ch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27 no.12
    • /
    • pp.1257-1262
    • /
    • 2005
  • Organo-chlorinated pesticides have been seldom measured in Korea because their use was banned for more than two decades. Nevertheless, the environmental persistency of these pesticides requires regular monitoring. Only organo-phosphorus pesticides are currently being monitored in Korea.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organo-chlorinated and organo-phosphorus pesticides was attempted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er detector. Pressurized fluid extraction(PFE) was used in sample preparation. PFE showed equivalent extraction efficiency to traditional soxhlet extraction with less solvent use and less sample preparation time. Average recovery of spiked pesticides to soil and lawn samples was 62% ranging 52 to 154%. Method detection levels(MDLs) for these pesticides ranged from 3.4 to 10.5 ${\mu}g/kg$. Endosulfan, fenitrothion, and diazinon were found in the samples from 5 different golf courses out of 9 courses.

붕어 및 황소개구리 체내의 유기염소계 농약류의 분석 및 분포 특성

  • 이선화;송희영;김영복;정기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101-102
    • /
    • 2004
  • 유기염소계 농약류 14종을 분석한 결과 황소개구리의 경우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붕어의 경우 11종의 분석대상물질이 검출되지 않았고, heptachlor epoxide B, trans-nonachlor, p,p´-DDE가 각각 3개 지점, 7개 지점, 5개 지점에서 검출되었다.

  • PDF

농약류 (1,2-dichlorobenzene, hexachlorocyclohexane)의 토양 흡착 특성 규명

  • 정현정;이민희;도원홍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9a
    • /
    • pp.338-341
    • /
    • 2003
  • 유기염소계 농약 중 대표적인 살충제 $\delta$-BHC(hexachlorocyclohexane)와 1, 2-DCB (1, 2-dichlorobenzene)에 대한 논, 밭 토양 및 풍화 토에 흡착 배치실험을 통하여 토양 특성과 유기오염물간의 흡착 관계를 규명하였다. 13개의 토양시료에 대하여 pH, CEC, 유기물 함량, 비표면적, 입도분석, 원소조성분석을 통하여 토양의 물리ㆍ화학적 특징이 토양 흡착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유기염소계 농약의 흡착량을 Freundlich isotherm으로 나타내어 흡착분배계수(K$_{d}$)를 산출하였다. $\delta$-BHC는 유기물 함량이 높은 soil-4$_{d}$에서 가장 높은 $K_{d}$ 값을 보였으며, 1,2-DCB의 경우 CEC, 비표면적이 가장 낮은 soil-5에서 낮은 $K_{d}$ 값을 보여 토양 내 유기물 함량과 비표면적이 유기오염물 흡착량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