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험지역

Search Result 2,940, Processing Time 0.049 seconds

Categorize Debris Flow Hazard Zones in Urban Areas: The Case of Seoul (도시지역 토사재해 위험지역의 유형화: 서울시를 사례로)

  • Park, Changyeol;Shin, Sang You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6 no.5
    • /
    • pp.915-926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debris flow hazard zones in urbanized areas using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es and to suggest customized management strategies to each areal type. Using field survey data set in Seoul, 49 sample debris hazard zones are selected. Clustering and discriminant analyses show that debris flow hazard zones are classified into two types. Surrounding land use and land slope are major factors influencing to the categoriza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real type, more customized management strategies for debris flow hazard are necessary. Particularly, in addition to traditional structural measures, non-structural measures including land use and development control for downstream built-up areas should be emphasized in urbanized areas to mitigate human and property damages from debris flow hazard more fundamentally.

Analysis of Korea Soil erosion yields and Soil loss hazard zone (한국토양유실량 및 토양유실위험지역 분석)

  • Kim, Joo-Hun;Kim, Kyeong-Tak;Lee, Hyo-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688-692
    • /
    • 2009
  • 본 연구는 전국 토양유실분포도와 토양유실위험 등급도를 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토양유실분포도는 RUSLE를 이용하였고, 강우-유출 침식성인자(R)는 기상청의 59개 기상관측소의 1977년부터 2006년까지(30년간)의 강우량 자료를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빈도분석은 FARD를 이용하였고, 전국 R인자를 빈도별로 산정하였다. 토양유실량 분석결과 토지피복별로 초지, 나지 밭의 크기 순서로 토양유실이 발생하고, 우리나라 전체 평균은 약 17.2 ton/ha 정도의 토양유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5년빈도 강우특성에서 전체 토양유실량은 15,000여 톤의 토양유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토지피복 구분에서는 논, 산림, 밭작물 재배지역에서 많은 토양유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토양침유실 위험 등급도 작성은 토양유실위험 등급을 5개 등급으로 구분하여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토양유실위험 2등급인 보통지역이 전체 토양유실량 위험지역의 78.2%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심각한 토양유실 위험지역은 분석지역 전체 중에서 약 1.1%인 $1,038km^2$정도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토지피복별로 심각한 토양유실 위험지역은 나지, 초지, 밭작물 재배지역의 순으로 각각 $93.5km^2$, $168.1km^2$, $327.4km^2$ 정도가 심각한 등급의 토양유실 위험 지역으로 분석되었다.

  • PDF

The Selection of Flood Risk Area for Real-Time Flood Risk Mapping (실시간 홍수위험지도 제작을 위한 홍수위험지역 선정)

  • Park, Jun Hyung;Keum, Ho Jun;Kim, Beom Jin;Han, Kun Y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46-346
    • /
    • 2015
  • 홍수로 인한 인명 및 재산의 피해는 자연재해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홍수의 심각성과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홍수 재해와 관련된 경제적 손실을 감소할 필요성에 대해 국제적인 우려가 늘어나고 있다. 홍수로 인해 야기되는 재해는 적절한 예방 대책을 통해 저감시킬 수 있는데 그 중 홍수위험지역을 예측하는 것은 홍수를 완화시킬 중요한 해결책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미국과 유럽 등에서는 홍수위험지역을 예측하여 실시간으로 국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해주어 위험성을 미리 인식시키고 대비할 수 있도록 국가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아직 국내에서는 홍수통제소 등의 국가기관에서 주요 국가하천에서의 홍수위만을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있어 홍수위험지도의 제작 및 제공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실시간 홍수위험지도를 제작하기 위한 연구는 지속되어 왔으나 범람구역의 설정 및 복잡한 수리해석 등의 어려움을 동반하여 적용을 위한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1차원 모형인 FLDWAV 모형을 이용하여 실시간 홍수위험지도 제작을 위한 기초 자료 제공으로 홍수위험지역을 선정해보았다. 국내 홍수예 경보시스템에서 사용하는 FLDWAV 모형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홍수위를 산정하여 홍수위험지역을 선정할 수 있었으며, 그 결과도 홍수흔적도와 상당히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빠르고 정확한 홍수위험지역 선정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정확한 수리계산이 필요한 지역이나 홍수보험의 가입이 필요한 지역의 선정 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Prediction of Landslide Hazard Areas Considering of Root Cohesion and Crown Density (뿌리점착력과 수관밀도를 적용한 토사재해 위험지역 예측)

  • Choi, Won-Il;Choi, Eun-Hwa;Suh, Jin-Won;Jeon, Seong-Kon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7 no.6
    • /
    • pp.13-21
    • /
    • 2016
  • Since the landslide hazard areas prediction was analyzed by slope-angle and soil properties, regional characteristics is not taken. Therefore, in order to make more rational predic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Tree roots have been known to increase soil cohesion in landslide hazard areas and to vary the degrees depending on the tree type. In addition, a reasonable prediction of landslide hazard areas can be made by considering crown density based on crown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area of interest. In this study, using the roots cohesion considering the crown density of the trees, which is in the landslides risk areas around Mt. Gwehwa in Sejong City, the landslides risk areas were predicted and compared with predicted results obtained by not considering root cohesion.

Effects of Risk Perception on Risk Attitude and Risk Acceptance of Nuclear Power Plants (원전주변 지역주민의 위험지각이 위험태도와 위험수용에 미치는 영향)

  • Song, Hae-Ryong;Kim, Won-J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2 no.6
    • /
    • pp.238-248
    • /
    • 2012
  • This research examined the effect of risk perception on risk attitude and risk acceptance of nuclear power plants. For this study, we carried out a survey targeting local residents living in Gyeong-ju..And we examined how risk perception of nuclear power plants have influences the risk attitude and risk acceptance including distrust on government's polices and perceived benefit. First, The findings showed that risk perception of nuclear power plants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attitude. Second, risk attitude of nuclear power plants influenced negatively on risk acceptance. Third, distrust on government's polices influenced negatively on risk acceptance. Fourth, perceived benefit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acceptance.

Comparison of Sediment Disaster Risk Depending on Bedrock using LSMAP (LSMAP을 활용한 기반암별 토사재해 위험도 비교)

  • Choi, Won-il;Choi, Eun-hwa;Jeon, Seong-kon
    •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 /
    • v.16 no.3
    • /
    • pp.51-62
    • /
    • 2017
  •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of the 76 areas subject to preliminary concentrated management on sediment disaster in the downtown area, 9 areas were selected as research areas. They were classified into three stratified rock areas (Gyeongsan City, Goheung-gun and Daegu Metropolitan City), three igneous rock areas (Daejeon City,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and Wonju City) and three metamorphic rock areas (Namyangju City, Uiwang City and Inje Distric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drock in the research areas. As for the 9 areas, analyses were conducted based on tests required to calculate soil characteristics, a predictive model for root adhesive power, loading of trees and on-the-spot research. As for a rainfall scenario (rainfall intensity), the probability of rainfall was applied as offered by APEC Climate Center (APCC) in Busan. As for the prediction of landslide risks in the 9 areas, TRIGRS and LSMAP were applied. As a result of TRIGRIS prediction, the risk rate was recorded 30.45% in stratified rock areas, 41.03% in igneous rock areas and 45.04% in metamorphic rock areas on average. As a result of LSMAP prediction based on root cohesion and the weight of trees according to crown density, it turned out to a 1.34% risk rate in the stratified rock areas, 2.76% in the igneous rock areas and 1.64% in the metamorphic rock areas. Analysis through LSMAP was considered to be relatively local predictive rather than analysis using TRIGRS.

Evaluating Impact of Disaster Pattern Change on Disaster Risk Sectors (재해환경변화에 따른 자연재해위험지구 영향평가)

  • Yoo, Ji-Young;Kim, Tae-Woong;Choi, Hyun-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376-380
    • /
    • 2012
  • 자연재해위험지구란 자연재해로부터 안전하지 못하여 국민의 생명과 재산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지역과 자연재해의 피해를 저감할 수 있는 시설을 포함한 주변지역으로서 자연재해대책법 제12조의 규정에 의하여 지정된 지구를 말한다. 자연재해대책법에 따라 시장 군수 구청장은 상습침수지역 산사태위험지역 등 지형적인 여건 등으로 인하여 재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지역에 대하여는 자연재해위험지구로 지정 고시한다. 2010년에 특별 재고시 되어진 재해위험지구 지정현황을 비롯하여 최근 지정해제 등 변경사항을 고려하여 총 683개(2011년 현재)의 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침수위험지구는 401개(전체의 59%), 붕괴위험지구는 128개(전체의 19%), 유실위험지구는 98개(전체의 14%), 취약방재위험지구는 28개(전체의 4%), 고립위험지구는 18개(전체의 3%), 해일위험지구는 10개(전체의 1%)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2010년 특별 재고시된 자연재해위험지구(침수위험지구)의 2011년도 현황을 바탕으로 기 지정된 재해위험지구에 대한 대규모 하천정비 및 기후변화에 따른 침수위험의 변화영향을 검토하였다. 이는 대규모 하천정비 및 기후변화에 따른 기존의 침수영향변화를 복합적으로 검토하여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수계 자연재해위험지구(침수위험지구)의 복합 영향의 범위를 분석하였다.

  • PDF

Searching a Navigation Path to Avoid Danger Area for Safe Driving (안전운전을 위해 위험지역을 회피하는 내비게이션 경로탐색)

  • Lee, Yong-Hu;Kim, Sang-Woo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50 no.8
    • /
    • pp.171-179
    • /
    • 2013
  • The primary function of navigation system is to provide route search and road guidance for safe driving for drivers. However, the existing route search system provides a simple service that looks up the shortest route using a safe driving DB without considering different road characteristics for the safety of the drivers. In order to maintain the safe driving, rather than searching the shortest path, a navigation system, in which the danger areas and/or the dangerous time zones have been considered, is required.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strategy of searching a navigation path to avoid danger areas for safe driving by using the A* algorithm. In the strategy, when evaluating the path-specific fitness of the navigation nodes, different heuristic weights were assigned to different types of risk areas. In particular, we considered three kinds of danger areas, such as accident-prone sections where accidents occur frequently, school zones, and intersection regions, as well as the time slots when the probability of danger is high. From computer simulation,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scheme can provide the way to avoid danger areas on the route searching and confirm the possibility of providing the actual service.

Assessment of Teleconnection based Long-Range Flood Risk Prediction during different El Ni?o phases: A Case Study of Gyeongnam (원격상관기반 엘니뇨 시기별 홍수위험 장기예측 평가: 경남지자체 대상)

  • Yoon, Sun-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91-91
    • /
    • 2016
  • 본 연구는 대규모 대기환경패턴 변화에 따른 극한 기후발생 및 극치 수문사상의 지역적 변동 특성을 분석하였고, 통계기법을 이용한 기후지수와 수문변량간의 원격상관관계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한반도 중 장기 수문변량 예측의 가능성을 진단하였다. 또한 경남 지자체를 대상으로 다양한 통계예측모형(AR, MA, ARMA, ARIMA, VAR)을 구축하여 그 예측능력을 평가하고 적용성을 검토하였고, 중 장기 통합홍수위험 평가를 위한 인덱스를 개발하였다. 서로 다른 엘니뇨 시기별 홍수 위험도 평가결과 전형적인 엘니뇨(Cold Tongue El Nino)해에는 남해안 일부 지역(거제시, 남해군)에서 위험도가 높게 산정되었으며, 경남 북부지역에서는 위험도가 매우 낮게 산정되었다. 중앙태평양 엘니뇨(Warm Pool El Nino) 해에는 경남 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홍수위험지수가 높게 나타나 중앙태평양 엘니뇨가 발달 시 경남지역의 홍수위험 발생 가능성 평년에 비하여 큰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라니냐(La Nina) 해에는 경남 서쪽일부 지역(남해군, 하동군, 산청군)에서 통합홍수위험지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나머지 지역에서는 홍수위험도가 작거나 중간 값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중 장기적 관점에서 수자원 예측 및 효율적인 물 관리와 안정적인 용수공급에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되며, 한반도 대상 특정 엘니뇨 해의 지자체별 홍수위험 취약성 평가에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 PDF

Exploring Regional Decline Risk Areas and Factors Using Topic Modeling and Cluster Analysis (토픽모델링과 군집분석을 통한 지방 소멸 위험지역과 요인의 탐색)

  • Ji-Min Kim;Heeryon C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05a
    • /
    • pp.349-350
    • /
    • 2023
  • 우리나라는 지속적인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해 지방 소멸 위험지역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지방 소멸과 관련된 다양한 요인을 '인구 소멸'이라는 키워드를 포함하는 신문 기사에 대한 토픽모델링을 통해 발견하고, 추출된 토픽과 관련된 공공 데이터를 수집하여 비슷한 특징을 가지는 지역을 묶는 군집분석을 수행한다. 그리고 지방소멸위험지수로 분류된 소멸 위험지역과 군집분석 결과를 비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