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험시설물

Search Result 351,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Derivation of External Flood Hazard Curves for SOC Facilities under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따른 SOC시설물의 외부침수 재해도 곡선 산정)

  • Kim, Beom Jin;Kim, Hyun Il;Han, Kun Yeun;Heo, Jun Haeng;Shin, Ju 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6-16
    • /
    • 2018
  • 최근 국가시설물에서는 집중호우 등으로 인한 대상 부지 내의 홍수 발생 시 주요시설물에 기능 마비가 발생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는 대규모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외부침수에 대비할 수 있는 위험도 분석이 필요하다. 대상 부지에서의 외부침수의 원인으로서는 LIP(Local Intensive Precipitation)에 의한 홍수 발생조건, 인근에 댐, 제방 등이 위치한 경우 이들 시설물의 붕괴에 따른 홍수류의 원전 유입, 지진해일/폭풍해일에 의한 바다로부터의 홍수 유입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따라서 대상 부지 및 그 SOC시설물의 안전도를 높은 수준에서 관리하기 위해서는 극한홍수가 유입될 때 침수심, 침수유속, 침수시간, 침수강도 등의 재해도를 분석하여야하고, 이들 SOC시설물의 취약도 평가를 실시하고 재해도와 취약도를 결합한 연계분석을 통하여 위험도를 재평가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대해서 LIP(극한강우) 조건을 빈도별 분석하였고, 기후변화에 의한 가능최대강우량(PMP)의 재포락을 실시하고, 이를 확률강우조건과 비교 검토하였다. 대상부지에서의 RCP4.5와 RCP8.5 조건하에서 발생빈도-지속시간-극한강우량과의 상관도를 제시하였다. 지형분석의 고도화 및 수문분석을 통한 LIP를 이용한 극한 홍수량의 산정을 실시하였고, 수리분석에 의한 극한홍수조건의 침수해석을 실시하였다. 침수해석을 통한 수리변량(침수심, 침수강도, 침수지속시간 등)을 산정하였고, 침수해석결과에 주요지점별 발생빈도-지속시간-침수위의 관계를 재해도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집중호우 조건하에서 국가 주요시설물에서의 침수심, 침수강도 등에 대한 새로운 재해도 곡선을 산정함으로써 중요한 SOC시설물의 내수 설계, 홍수 방지기능 설계, 홍수 방지 대책 및 절차의 고도화 및 홍수 저감 기능 평가에 기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Plan of Facility Importance, Risk, and Damage Estimation Inventory Construction for Assisting Disaster Response Decision-Making (재난대응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시설물 중요도·위험도·피해액 산정 인벤토리 구축 방안 연구)

  • CHOI, Soo-Young;GANG, Su-Myung;JO, Yun-Won;OH, Eun-Ho;PARK, Jae-Woo;KIM, Gil-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9 no.1
    • /
    • pp.167-179
    • /
    • 2016
  • The safety of SOC facilities is constantly under threat by the globally increasing abnormal climate. Responding to disasters requires prompt decision-making such as suggesting evacuation paths. For doing so, spatio-temporal information with convergence of disaster information and SOC facility information must be utilized. Such information is being collected separately by the government or related organizations, but not collectively. The collective control of the separately collected disaster information and the generation of SOC facility safety and damage information are required for prompt disaster response. Also, as disaster information requires spatio-temporal convergence in its nature, the construction of an inventory that integrates related information and assists disaster response decision-making is required. A plan to construct a facility importance, risk, and damage estimation inventory for assisting prompt disaster response decision-making is suggested in this study. Through this study, the disaster and SOC facility-related data, which are being managed separately, can be collected and standardized. The integrated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estimation of facility importance, risk, and damage can be provided. The suggested system is expected to be used as a decision-making tool for proactive disaster response.

Risk Assessment of Strong Wind over Industrial Facilities in Shipyards (조선소 시설물의 강풍 위험 평가)

  • Lee, Sung-Su;Kim, Hak-Sun;Lee, Young-Kyu;Shim, Kyu-Cheou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9 no.4
    • /
    • pp.21-28
    • /
    • 2009
  • Most of domestic shipyards are located at coastal regions which are affected by typhoons nearly every year. For effectiveness of shipbuilding, shipyards contain many facilities which are light-weighted and affected dominantly by wind. In the present paper, we analyze various wind fields over a shipyard including surrounding topology and structures to evaluate the structural safety of the facilities posed in the strong wind. Extreme wind speed for a study region was estimated by typhoon Monte Carlo simulation and then used for inlet wind speed for CFD analysis for wind load on the facilities. Considering geometrical wind effects, we assess the surface pressure of the elements as the pressure factor, the ratio of surface pressure to dynamic pressure. The results show that the simulated wind speed is greater than the design wind speed for the some facilities because of the shipyard's geometry. It also shows that surrounding topography in coastal area is needed to be considered and adjustment for design wind speed at wind load standard application is necessary for mooring ship and industry facilities.

The Risk Assessment of the Fire Occurrence According to Urban Facilities in Jinju-si (진주시 도시시설물별 화재발생 위험도 평가)

  • Bae, Gyu Han;Won, Tae Hong;Yoo, Hwan Hee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4 no.1
    • /
    • pp.43-50
    • /
    • 2016
  • Urbanization in Korea has increased significantly and subsequently, various facilities have been concentrated in urban areas at high speed in accordance with a growing urban population. Accordingly, damages have occurred due to a variety of disasters. In particular, fire damage among the social disasters caused the most severe damage in urban areas along with traffic accidents. 44,432 cases of fire occurred in 2015 in Korea. Due to these accidents, 253 were killed and property damage of 4,50 billion won was generated. However, despite the efforts to reduce a variety of damage, fire danger still remains high. In this regard, this study collected fire data, generated from 2007 to 2014 through the Jinju Fire Department and the National Fire Data System(NFDS) and calculated fire risk by analyzing the clustering of fire cases and facilities in Jinju-si based on the current DB of facilities, offered by the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As a result, the risk ratings of fire occurrence were classified as four stages under the standards of the US Society of Fire Protection Engineers(SEPE). Business facilities, entertainment facilities, and automobile facilities were classified as the highest A grade, detached houses, Apartment houses, education facilities, sales facilities, accommodation, set of facilities, medical facilities, industrial facilities, and life service facilities were classified as U grade, and other facilities were classified as EU grade. Finally, hazardous production facilities were classified as BEU grade, the lowest grade. In addition, in the case of setting the standard with loss of life, the highest risk facility was the hazardous production facilities, while in the case of setting the standard with property damage, a set of facilities and industrial facilities showed the highest risk. In this regard,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effectively utilized to establish the fire reduction measures against facilities, distributed in urban space by calculating risk grades regarding the generation frequency, casualties, and property damage,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fire, occurred in the city, according to the facilities.

Vulnerability Assessment and Risk Analysis for Watershed (도시하천 유역의 취약성 평가 및 위험도 분석)

  • Lee, Hoo Sang;Lee, Jea Joon;Heo, Jun He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69-469
    • /
    • 2015
  • 산업혁명 이후 인간사회의 산업화 및 도시화의 가속으로 지구온난화는 기후변화를 야기해 왔으며, 이로 인한 각종 부정적인 영향과 심각성은 날로 커져가고 있는 현실이다. IPCC(Intergoverment Panel on Climate Change)는 기후변화의 주범인 온실가스를 감축할 지라도 기후의 탄성 때문에 앞으로 수세기 이상 계속 진행될 것으로 전망하였으며, 기후변화 영향의 근원적 방지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결국 수자원 관리 측면에서도 기후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각종 적응전략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IPCC, 2007). 또한, 극한강수의 발현비율이 도시 및 비도시 지역의 구분 없이 과거 30년에 비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수공구조물의 치수안전도 저하에 큰 영향을 준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하천, 유역 홍수저감 시설물과 댐 등 대형 수공구조물에 대한 안전성 평가를 주기적으로 수행해 왔으나 단순히 모니터링을 통하여 현재의 안전기준의 부합 여부만을 판단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장래 증가하는 홍수피해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극한강우 및 극한홍수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시설물 설계기준별 홍수 위험도와 취약성을 평가하고, 극한홍수 방어기준을 재설정하여 현재 설계기준을 제고할 필요가 있으며, 시설물별 안전도 평가와 위험도 저감계획 및 경제성 평가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실행프레임워크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림천 유역에 대하여 최적화된 도시유출모형을 통하여 기후변화가 도시유역에 미치는 유출영향을 분석하였으며, MCS(Monte Carlo Simulation)을 통한 극치수문사상의 적용 및 유출분석을 통한 하천제방의 취약성 평가와 위험도 분석을 실시하여 도시하천의 기후변화 영향을 정량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또한 기후변화에 따른 도시하천의 수문특성 변화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발생할 수 있는 극치 수문사상의 값을 반영한 설계기준 강화 수방시설 계획 등의 연구에 활용하며, 여러 가지 수문학적 불확실성에 의하여 가변 가능한 도시하천 유역의 취약성 평가 및 위험도 분석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수공구조물 설계 및 수방전략 수립에 활용하고자 한다.

  • PDF

GIS-based Debris Flow Risk Assessment (GIS 기반 토석류 위험도 평가)

  • Lee, Hanna;Kim, Giho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3 no.1
    • /
    • pp.139-147
    • /
    • 2023
  • As heavy precipitation rates have increased due to climate change, the risk of landslides has also become greater. Studies in the field of disaster risk assessment predominantly focus on evaluating intrinsic importance represented by the use or role of facilities. This work, however, focused on evaluating risks according to the external conditions of facilities, which were presented via debris flow simulation. A random walk model (RWM) was partially improved and used for the debris flow simulation. The existing RWM algorithm contained the problem of the simulation results being overly concentrated on the maximum slope line. To improve the model, the center cell height was adjusted and the inertia application method was modified. Facility information was collected from a digital topographic map layer. The risk level of each object was evaluated by combining the simulation result and the digital topographic map layer. A risk assessment technique suitable for the polygon and polyline layers was applied, respectively. Finally, by combining the evaluated risk with the attribute table of the layer, a system was prepared that could create a list of objects expected to be damaged, derive various statistics, and express the risk of each facility on a map. In short, we used an easy-to-understand simulation algorithm and proposed a technique to express detailed risk information on a map. This work will aid in the user-friendly development of a debris flow risk assessment system.

A Study of Improvement of Living Conditions Using Module-Type Sensor (모듈형 센서를 이용한 주거환경 개선 연구)

  • Cha, Jin-m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4.10a
    • /
    • pp.851-853
    • /
    • 2014
  • 현대 사회는 모든 분야에서 다양한 분야들의 기술들이 융합되는 사회이며, 이로 인해 각종 환경적 위험 요소 등이 존재한다. 그중 한가지는 유해 가스에 의한 피해이다. 산업이 발전하고, 편의 시설등이 늘어나면서 다양한 시설들이 설치되고 있다. 하지만 이와 함께 시설물들이 가지는 위험도 또한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센서를 이용한 위험요소 탐지와 환경측정 자료를 기반으로 일상 생활에 접할 수 있는 위험요소를 파악하고 개선하고자 하였다. 진행은 유해성분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이용한 시스템을 구성하고, 자료 분석을 통한 개선사항를 도출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 PDF

Application of GIS in Typhoon Risk Assessment (태풍 피해 예측을 위한 지리정보시스템의 활용)

  • Lee, Seung-Su;Jang, Eun-Mi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7.10a
    • /
    • pp.185-191
    • /
    • 2007
  • 최근 10년간 발생한 자연재해 중 태풍의 피해는 전체의 60%를 넘을 정도로 풍수해의 피해는 막대하며, 지속적 산업화와 개발로 인해 피해 규모 역시 매년1조원 이상을 상회하고 있어, 자연재해에 대한 피해 경감 노력이 매우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최근 풍수해의 피해 사전에 예측함으로써 예방 및 대비는 물론 재해 발생에 따른 응급 대응 및 복구의 효율성을 제고하고자하는 과학적 방법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태풍에 의한 피해 예측은 위험도(Hazard)의 추정, 피해 대상 자료의 구축(Inventory) 및 피해대상의 취약도(Fragility)의 세 가지 요소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위험도는 자연재해의 특성인 강우, 풍속 등을 물리적으로 모델링함으로써 추정할 수 있으며, 피해 대상 자료는 공공 및 사유 시설물을 총 망라함으로써 피해의 사회, 경제적인 피해 규모 예측에 활용된다. 각각의 피해 대상이 위험도에 따라 갖는 취약도는 최종 피해 및 손실 규모의 평가 자료로 이용된다. 이때 위험도의 추정 및 피해 대상 자료의 구축을 위한 핵심적인 방법론으로서 지리정보시스템의 활용이 크게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태풍 피해 예측을 위한 자연재해 위험성 평가 방법론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인 자연 지형, 지표의 특성 및 활용도, 피해 대상인 인공 시설물 등의 자료항목을 분류하고 태풍 피해 예측 기술의 핵심 요소로서의 지리정보시스템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Implementation of Facility Movement Recognition Accuracy Analysis and Utilization Service using Drone Image (드론 영상 활용 시설물 이동 인식 정확도 분석 및 활용 서비스 구현)

  • Kim, Gwang-Seok;Oh, Ah-Ra;Choi, Yun-So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25 no.5
    • /
    • pp.88-96
    • /
    • 2021
  • Advanced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y is being used in various ways for the safety of the energy industry. At the center of safety measures, drones play various roles on behalf of humans. Drones are playing a role in reaching places that are difficult to reach due to large-scale facilities and space restrictions that are difficult for humans to inspect. In this study, the accuracy and completeness of movement of dangerous facilities were tested using drone image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movement recognition accuracy was 100%, the average data analysis accuracy was 95.8699%, and the average completeness was 100%.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a future-oriented facility risk analysis system combined with ICT technology was implemented and presented. Additional experiments with diversified conditions are required in the future, and ICT convergence analysis system implementation is requi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