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위키백과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2초

위키백과를 이용한 질의응답 시스템의 구현 (Implementation of Question-Answering System using Wikipedia)

  • 박영민;서정연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12년도 제24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206-208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위키백과를 이용한 지식DB구축의 예로서 연예인 관련 정보들을 자동으로 추출한다. 우리는 위키백과의 연예인 문서로부터 생년월일, 학력, 본명 등 총 9가지 정보들을 추출하고 이를 지식DB로 구축한다. 또한 추출된 지식 DB를 이용하여 질의응답 시스템을 구현하여 유용함을 입증하였다. 질의응답 시스템은 어휘의미패턴 방법으로 질의를 분석하고, 템플릿 기반의 문장생성 방법으로 정답을 자연어문장으로 생성한다. 성능 평가결과 총 6471명의 연예인 정보들을 추출하였고 95%에 해당하는 질의분석 성능을 제공하였다.

  • PDF

문서 임베딩을 이용한 소셜 미디어 문장의 개체 연결 (Document Embedding for Entity Linking in Social Media)

  • 박영민;정소윤;이정엄;신동수;김선아;서정연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정보학회 2017년도 제29회 한글및한국어정보처리학술대회
    • /
    • pp.194-196
    • /
    • 2017
  • 기존의 단어 기반 접근법을 이용한 개체 연결은 단어의 변형, 신조어 등이 빈번하게 나타나는 비정형 문장에 대해서는 좋은 성능을 기대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문서 임베딩과 선형 변환을 이용하여 단어 기반 접근법의 단점을 해소하는 개체 연결을 제안한다. 문서 임베딩은 하나의 문서 전체를 벡터 공간에 표현하여 문서 간 의미적 유사도를 계산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또한 비교적 정형 문장인 위키백과 문장과 비정형 문장인 소셜 미디어 문장 사이에 선형 변환을 수행하여 두 문형 사이의 표현 격차를 해소하였다. 제안하는 개체 연결 방법은 대표적인 소셜 미디어인 트위터 환경 문장에서 단어 기반 접근법과 비교하여 높은 성능 향상을 보였다.

  • PDF

Large Language Model을 통한 대화 데이터셋 자동 생성 및 검색 성능 향상 (Conversation Dataset Generation and Improve Search Performance via Large Language Model)

  • 최형준;홍범석;최원석;한영섭;전병기;나승훈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23년도 제35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295-300
    • /
    • 2023
  • 대화 데이터와 같은 데이터는 사람이 수작업으로 작성해야 하기 때문에 데이터셋 구축에 시간과 비용이 크게 발생한다. 현재 대두되고 있는 Large Language Model은 이러한 대화 생성에서 보다 자연스러운 대화 생성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존재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LLM을 통해 사람이 만든 적은 양의 데이터셋을 Fine-tuning 하여 위키백과 문서로부터 데이터셋을 만들어내고, 이를 통해 문서 검색 모델의 성능을 향상시켰다. 그 결과 학습 데이터와 같은 문서집합에서 MRR 3.7%p, 위키백과 전체에서 MRR 4.5%p의 성능 향상을 확인했다.

  • PDF

문서 임베딩을 이용한 소셜 미디어 문장의 개체 연결 (Document Embedding for Entity Linking in Social Media)

  • 박영민;정소윤;이정엄;신동수;김선아;서정연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17년도 제29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194-196
    • /
    • 2017
  • 기존의 단어 기반 접근법을 이용한 개체 연결은 단어의 변형, 신조어 등이 빈번하게 나타나는 비정형 문장에 대해서는 좋은 성능을 기대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문서 임베딩과 선형 변환을 이용하여 단어 기반 접근법의 단점을 해소하는 개체 연결을 제안한다. 문서 임베딩은 하나의 문서 전체를 벡터 공간에 표현하여 문서 간 의미적 유사도를 계산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또한 비교적 정형 문장인 위키백과 문장과 비정형 문장인 소셜 미디어 문장 사이에 선형 변환을 수행하여 두 문형 사이의 표현 격차를 해소하였다. 제안하는 개체 연결 방법은 대표적인 소셜 미디어인 트위터 환경 문장에서 단어 기반 접근법과 비교하여 높은 성능 향상을 보였다.

  • PDF

위키백과로부터 기계학습 기반 한국어 지식베이스 구축 (Construction of Korean Knowledge Base Based on Machine Learning from Wikipedia)

  • 정석원;최맹식;김학수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2권8호
    • /
    • pp.1065-1070
    • /
    • 2015
  • 지식베이스는 자연어 처리 기반의 다양한 응용 시스템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영어권에서는 WordNet, YAGO, Cyc, BabelNet과 같은 지식베이스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키백과와 YAGO로부터 YAGO 형식의 한국어 지식베이스(이하 K-YAGO)를 자동 구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시스템은 YAGO와 위키백과 인포박스간의 간단한 매칭을 통해 초기 K-YAGO를 구축한 뒤, 기계학습을 이용하여 초기 K-YAGO를 확장한다. 실험 결과, 제안 시스템은 초기 K-YAGO 구축 실험에서 0.9642의 신뢰도를 보였고, K-YAGO 확장 실험에서 0.9468의 정확도와 0.7596의 매크로 F1 척도를 보였다.

한국어 언어 모델의 정치 편향성 검증 및 정량적 지표 제안 (Measurement of Political Polarization in Korean Language Model by Quantitative Indicator)

  • 김정욱;김경민;;임희석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22년도 제34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16-21
    • /
    • 2022
  • 사전학습 말뭉치는 위키백과 문서 뿐만 아니라 인터넷 커뮤니티의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는 언어적 관념 및 사회적 편향된 정보를 포함하므로 사전학습된 언어 모델과 파인튜닝한 언어 모델은 편향성을 내포한다. 이에 따라 언어 모델의 중립성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나, 아직까지 언어 인공지능 모델의 정치적 중립성에 대해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척도는 존재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언어 모델의 정치적 편향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제시하고 한국어 언어 모델에 대해 평가를 수행한다. 실험 결과, 위키피디아로 학습된 언어 모델이 가장 정치 중립적인 경향성을 나타내었고, 뉴스 댓글과 소셜 리뷰 데이터로 학습된 언어 모델의 경우 정치 보수적, 그리고 뉴스 기사를 기반으로 학습된 언어 모델에서 정치 진보적인 경향성을 나타냈다. 또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평가 방법의 안정성 검증은 각 언어 모델의 정치적 편향 평가 결과가 일관됨을 입증한다.

  • PDF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본 한국 위키피디아의 지식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Knowledge Formation Process of Wikipedia in Korea through Big Data Analysis)

  • 이정연;전수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71-195
    • /
    • 2020
  • 본 연구는 대표적인 온라인 협업커뮤니티인 한국 위키피디아의 초기 2002년부터 2019년까지의 편집로그 빅데이터를 해체하여 공동협업과정을 시계열적으로 분석하였다. 공개된 오픈데이터의 표준화된 XML 문서편집 기록을 활용해 Phython과 R을 이용하여 분석 요소를 추출하여 이를 활용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한국 위키피디아 편집자의 참여 방법, 데이터 내용의 특징, 문서 생성의 추이 등을 설명할 수 있었다. 소수 편집자들의 적극적 활동과 대다수 편집자들의 느슨한 참여도 밝혀졌으며, 온라인에서도 나타나는 사회 문화적 특징이 한국 위키피디아에서도 나타났다. 집단지성을 지속화시키기 위해서는 새롭고 다양한 외부자원이 필수인데 신규 진입자들이 공동편집 커뮤니티에 안착하기 위한 다각적인 고려가 필요하며, 관리자 그룹의 고착화를 탈피하여 순환구조를 통한 개방성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KorQuAD 2.0: 웹문서 기계독해를 위한 한국어 질의응답 데이터셋 (KorQuAD 2.0: Korean QA Dataset for Web Document Machine Comprehension)

  • 김영민;임승영;이현정;박소윤;김명지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19년도 제31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97-102
    • /
    • 2019
  • KorQuAD 2.0은 총 100,000+ 쌍으로 구성된 한국어 질의응답 데이터셋이다. 기존 질의응답 표준 데이터인 KorQuAD 1.0과의 차이점은 크게 세가지가 있는데 첫 번째는 주어지는 지문이 한두 문단이 아닌 위키백과 한 페이지 전체라는 점이다. 두 번째로 지문에 표와 리스트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HTML tag로 구조화된 문서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답변이 단어 혹은 구의 단위뿐 아니라 문단, 표, 리스트 전체를 포괄하는 긴 영역이 될 수 있다. Baseline 모델로 구글이 오픈소스로 공개한 BERT Multilingual을 활용하여 실험한 결과 F1 스코어 46.0%의 성능을 확인하였다. 이는 사람의 F1 점수 85.7%에 비해 매우 낮은 점수로, 본 데이터가 도전적인 과제임을 알 수 있다. 본 데이터의 공개를 통해 평문에 국한되어 있던 질의응답의 대상을 다양한 길이와 형식을 가진 real world task로 확장하고자 한다.

  • PDF

유의어 사전 기반 환경기술 검색 시스템 설계 (Design of environmental technology search system using synonym dictionary)

  • ;;구영현;유성준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0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582-586
    • /
    • 2020
  • 국가기후기술정보시스템은 국내 환경기술과 국외의 수요기술 정보를 제공하는 검색 시스템이다. 그러나 기존의 시스템은 유사한 뜻을 가진 단일 단어와 복수 단어들을 모두 식별하지 못하기에 유의어를 입력했을 경우 검색 결과가 다르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유의어 사전을 기반으로한 환경기술 검색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Word2vec 모델과 HDBSCAN(Hierarchical Density-Based Spatial Clustering of Application with Noise) 알고리즘을 이용해 유의어 사전을 구축한다. Word2vec 모델을 이용해 한국어와 영어 위키백과 코퍼스에 대해 형태소 분석을 진행한 후 단일 단어와 복수 단어를 포함한 단어를 추출하고 벡터화를 진행한다. 그 다음 HDBSCAN 알고리즘을 이용해 벡터화된 단어를 군집화 해주고 유의어를 추출한다. 기존의 Word2vec 모델이 모든 단어 간의 거리를 계산하고 유의어를 추출하는 과정과 대비하면 시간이 단축되는 역할을 한다. 추출한 유의어를 통합해 유의어 사전을 구축한다. 국가기후기술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국내외 기술정보, 기술정보 키워드와 구축한 유의어 사전을 Multi-filter를 제공하는 Elasticsearch에 적용해 최종적으로 유의어를 식별할 수 있는 환경기술 검색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웹문서를 이용한 단계별 한국어 미등록어 인식 모델 (Phase-based Model Using Web Documents for Korean Unknown Word Recognition)

  • 박소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1898-1904
    • /
    • 2009
  • 신문이나 블로그와 같은 실제 문서에서는 위키백과(Wikipedia)와 같은 기존에 없던 새로운 단어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정보 처리 기술은 시스템 개발 당시 확보한 자료를 바탕으로 사전을 구축하므로, 이러한 새로운 단어에 대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전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한국어 미등록어를 자동으로 인식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모델은 전문분석 기반 미등록명사 인식 단계, 웹 출현빈도 기반 미등록용언 인식 단계, 웹 출현빈도 기반 미등록명사 인식 단계로 구성된다. 제안하는 모델은 문서에서 여러 번 나타난 미등록어에 대해 전문분석을 통해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안하는 모델은 문서에 한번 나타난 미등록어에 대해서도 웹문서를 바탕으로 광범위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안하는 모델은 기본형이 어절에 그대로 나타나는 미등록명사뿐만 아니라 기본형이 변형하여 나타날 수 있는 미등록용언도 인식할 수 있다. 실험 결과 기존 미등록어 인식방법에 비해 제안하는 접근방법은 정확률 1.01%와 재현을 8.50%를 개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