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치 확인

Search Result 8,158,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Real-Time Location Identification of Indoor Rescuees at Accident Sites and Location-Based Rescue Response (사고 현장 실시간 실내 인명 위치확인 및 구조대응 연구)

  • Ko, Youngjoo;Shin, Yongbeom;Yoo, Sangwoo;Shin, Dongi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25 no.3
    • /
    • pp.46-52
    • /
    • 2021
  • In this study, the on-site location identification and response system was proposed by accurately check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rescue requesters in the buildings using the smartphone Wi-Fi AP. The location server was requested to measure the strength of the Wi-Fi AP at least 25 times at 8 different building location points. And the accuracy of the position and the error range were checked by analyzing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received positions. In addition, the response time was measured by changing the conditions of location information in three groups to compare the response time for saving lives with and without location information. The minimum and maximum error values for the eight cases were found to be at least 4.137 m and up to 14.037 m, respectively, with an average error of 9.525 m. Compared to the base transceiver station (BTS) based position error value of 263m, the range could be reduced by up to 93%.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was given, it took 10 minutes and 50 seconds to save lives; however, when there was no location information at all, rescue process took more than 45 minutes. From this research effort, it was analyzed that the acquisition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rescuees in the building using the smartphone Wi-Fi AP approach is effective in reducing the life-saving time for on-site responses.

Direction detection and autonomous mobile robot using LED lighting-based indoor location recognition system (LED 조명 기반 실내위치 인식 시스템을 이용한 이동로봇의 방향 검출 및 자율주행)

  • Bang, Jae Hyeok;Park, Su Man;Yi, Keon You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1298-1299
    • /
    • 2015
  • 이동 로봇의 자기 위치 인식 방법으로 GPS를 많이 이용하지만 건물 내부공간에서는 위성신호 수신 장애가 있기 때문에 GPS 사용이 어렵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다양한 형태의 실내 측위 기술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최근에는 WiFi를 이용한 방법이 일부 상용화 되고 있으나 정밀도가 3~5m라는 한계가 있으며, LED 조명을 이용한 방법은 실용화 단계에 이르지는 못했지만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당 연구실에서도 LED조명을 기반으로 한 실내위치 인식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지난 연구에서는 이를 이용한 이동로봇의 자율주행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난 연구에 덧붙여 두개의 수신부를 이용하여 로봇의 방향인식오류 개선 및 이동 로봇의 자율주행을 보여주고자 한다. 제시된 시스템은 이동로봇, 조명제어장치 그리고 컴퓨터로 구성된다. 이동로봇은 상용화된 마이크로 마우스에 탑재된 조명신호 수신장치를 통하여 자신의 위치와 방향을 감지하며, 컴퓨터와의 Wi-Fi 통신으로 자신의 위치를 컴퓨터에 전송하거나 위치 명령을 수신한다. 컴퓨터에서는 수신 받은 이동로봇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화면에 표시하며, 이동로봇에 전달할 위치명령을 사용자가 입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이동경로를 설정한 후 이동로봇으로 명령을 보내면 로봇은 자신의 위치와 목적지를 비교하며 자율주행을 하게 된다. 실험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 지난연구의 방향인식의 문제점이 해결되어 제시된 시스템으로 실내공간에서도 이동로봇의 자율주행이 원만히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Static Rock Penetrometer for Locating Rock Stratum During Construction of Drilled Shafts (암반에 근입된 현장타설말뚝 시공시 선단부 강도확인을 위한 정적암반관입기 개발연구)

  • Nam, Moon-S.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26 no.9
    • /
    • pp.71-74
    • /
    • 2010
  • During construction of deep foundation in soft rock under varying soil properties, it is essential to locate the rock stratum, especially when drilling with slurry. When slurry is used for drilling, the bottom of the borehole cannot be seen, thereafter soil cuttings cannot be differentiated from soft rock cuttings. A new static rock penetrometer, known as Rock Penetrometer was developed during this study. It could be a simple mechanical device that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a Kelly bar which is used to attach drilling tools such as augers and core barrels while drilling. After its calibration in the laboratory, the performance of the static rock penetrometer was verified in the several field test sites.

Development of a Server-independent System to Identify and Communicate Fire Information and Location Tracking of Evacuees (화재정보 확인과 대피자 위치추적을 위한 서버 독립형 시스템 개발)

  • Lee, Chijoo;Lee, Taekwa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21 no.6
    • /
    • pp.677-687
    • /
    • 2021
  • If a fire breaks out in a building, occupants can evacuate more rapidly if they are able to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fire, the exits, and themselves. This study derives the requirements of system development, such as distance non-limitation, a non-additional device, a non-centralized server system, and low power for an emergency, to identify information about the fire and the location of evacuees. The objective is to receive and transmit information and reduce the time and effort of the database for location tracking. Accordingly, this study develops a server-independent system that collects information related to a building fire and an evacuee's location and provides information to the evacuee on their mobile device. The system is composed of a transmitting unit to disseminate fire location information and a mobile device application to determine the locations of the fire and the evacuee. The developed system can contribute to reducing the damage to humans because evacuees can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fire, exits, and themselves regardless of the impaired server system by fire, the interruption of power source, and the evacuee's location. Furthermore, this study proposes a theoretical basis for reducing the effort required for database construction of the k-nearest neighbor fingerprint.

An Estimation Method of Node Position in Wireless Sensor Network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노드 위치 추정)

  • Rhim, Chul-Woo;Kim, Young-Rag;Kang, Byung-Wook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CI
    • /
    • v.46 no.3
    • /
    • pp.123-129
    • /
    • 2009
  • It is important to locate nodes in the research of wireless sensor network.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hat estimates the positions of nodes by using adjacent node information and signal strength in wireless sensor network. With this method, we can find positions of nodes easily because we use Information that nodes have. And we can make a map for all the nodes because we can measure a relative position for an node whose position is not known based on anchor nodes whose positions are already known. In addition, we can confirm whether nodes are placed appropriately. We confirmed that we can locate positions of unknown nodes with small error through verifying the proposed method.

Location Information Verification System for Emergency (응급구조를 위한 정밀 위치 정보 확인 시스템)

  • Yoo, Hyo-Jeong;Joo, Seon-Ho;Ha, Ji-Yeon;Hong, Jang-Eui;Yoo, Kwan Hee;Aziz, Nasridinov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10a
    • /
    • pp.123-124
    • /
    • 2016
  • 본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자가 응급상황에 처했을 때 사용자의 정확한 위치 정보를 응급 구조 센터에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함에 목적을 둔다. 사고의 경우 실외 뿐만 아니라 실내에서 많은 사고가 발생하는데, 일반적으로 위치 정보를 획득에 사용되는 GPS 의 경우는 실내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구조를 지연시키는 문제를 야기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들을 방지하기 위해 GPS와 와이파이, 블루투스를 각각 이용한 삼각 측량법을 통해 실내의 위치정보를 측정하고 더 나아가 압력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3차원적으로도 탐색한다. 실험 결과, GPS를 이용하는 것보다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것이 더 정확한 실내 정보를 탐색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압력계를 통해 고도를 측정함으로써 건물 내부에서 사용자의 수직적 위치를 측정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위도 경도의 정확한 정보와 함께 고도에 대한 예측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실내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골든 타임을 확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Experiment of the side weirs location for the effect of water level reduction in case of the cooperation with side weir and gate (제방 양안의 강변저류지와 수문의 공조운영 시 수위저감효과 확보를 위한 횡월류부의 위치 검토)

  • Seong, Hoje;Park, Sung Won;Rhee, Dong S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446-446
    • /
    • 2016
  • 최근 이상기후와 집중호우가 잦아지면서 홍수량이 증가하고 홍수로 인한 국내 인명 및 재산 피해가 점차 커지고 있다. 홍수피해를 줄이고자 하천정비사업을 통해 홍수 발생 시 초기 홍수량을 일부 분담하여 하도 내 수위를 저감시킬 수 있는 하천시설로서 강변저류지를 도입하였다. 강변저류지는 하도 내 존재하고 있는 수문 시설과 함께 운영되고 있으며 두 시설의 운영 최적화를 위해서 공조운영 사항에 대해 고려할 필요가 있다. 국내 화순 홍수조절지와 담양 홍수조절지의 경우 수문 상류부 하전 제방 양안에 2개소의 강변저류지가 설치되어 있다. 선행연구를 통해 강변저류지 유무에 따른 수위저감효과를 확인하였으며 1개소의 강변저류지와 수문 공조운영 시 최적의 수위 저감효과가 발생하는 횡월류부 위치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강변저류지 유입부인 2개소의 횡월류부 위치 변화에 따른 수위저감효과를 검토하였다. 횡월류부 1개소의 최적 위치를 좌안의 횡월류부 위치로 선정하고 우안의 횡월류부 위치와 수로폭에 대한 무차원 변수를 실험조건으로 하였다. 동일한 수문 운영조건에서 총 3가지 조건의 유량으로 우안 횡월류부 위치 변화에 따른 수위 저감효과를 분석하고 2개소 횡월류부에 대한 최적 위치를 확인하였다.

  • PDF

Mobile Station Location Using GPS/TDOA (GPS/TDOA 혼합을 이용한 무선 측위 알고리즘)

  • Son, Hyung-Chul;Kim, Wuk;Lee, Hyung-Keun;Jee, Gyu-In;Lee, Jang-Gyu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2.07d
    • /
    • pp.2099-2101
    • /
    • 2002
  • GPS 단독에 의한 이동국의 위치 결정 방법은 도심이나 실내와 같이 위성 가시성이 결여된 환경에서 위치해를 생성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반면 TOA나 TDOA에 의한 방법에 의하여 이동국의 위치결정을 시도할 경우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의 밀집한 건물 등에 의하여 NLOS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GPS와 TDOA의 상호보완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위성 가시성과 NLOS의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GPS/TDOA 혼합 무선 측위 알고리즘과 NLOS 오차완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이동 통신망에서 획득된 실측 측정치를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위치 결정 영역이 확대되고 위치 정확도가 크게 향상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Localization of Multiple Mobile Nodes based on Node Centric Method in Sensor Network (센서네트워크에서 노드중심의 다중 이동 노드 위치 인식 기법)

  • Lee, Joa-Hyoung;Lim, Hwa-Jung;Tscha, Yeo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11a
    • /
    • pp.1050-1053
    • /
    • 2007
  • 여러 이동노드들이 한 지역에서 동시에 위치인식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 비콘 노드들이 발생시키는 비콘이나 초음파 등이 충돌을 일으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 노드들이 위치확인 작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 RTS메시지와 CTS메시지를 이용하여 충돌을 회피하도록 하는 MNC기법을 제안한다. MNC에서는 다른 노드가 위치확인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NTS를 전송하여 노드 간에 작업이 충돌되지 않도록 한다. 이동노드가 비콘노드들에 작업순서를 결정하여 STS메시지로 통보하여 비콘노드간에 충돌을 방지한다.

Localization of Multiple Mobile Nodes based on Infra Centric Method (인프라 기반 다중 이동 노드 위치 인식 기법)

  • Lim, Hwa-Jung;Lee, Joa-Hyoung;Tscha, Yeo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11a
    • /
    • pp.1054-1057
    • /
    • 2007
  • 여러 이동노드들이 한 지역에서 동시에 위치인식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 노드들이 발생시키는 비콘이나 초음파 등이 충돌을 일으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 노드들이 위치확인 작업을 수행하고자하는 경우에 RTS메시지와 CTS메시지를 이용하여 충돌을 회피하도록 하는 MIC기법을 제안한다. 다른 노드가 위치확인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NTS를 전송하여 노드 간에 작업이 충돌되지 않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