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위축 행동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초

초등학생 문제행동선별척도: 교사용(CPBS-E)의 개발과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lassroom Problem Behavior Scale - Elementary School Version(CPBS-E))

  • 송원영;장은진;최가영;최재광;조광순;원성두;한미령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6권3호
    • /
    • pp.433-451
    • /
    • 2019
  • 이 연구는 한국의 초등학교 내에서 발생하는 문제행동을 측정할 수 있는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를 개발하여 평가 및 개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문헌 개관과 초등교사 면담, 미국에서의 훈육실 의뢰 조건, 국내 학교들의 벌점체계, 그린마일리지, 정서행동특성검사 등을 참고하여 초등학생 문제행동선별척도: 교사용(Classroom Problem Behavior Scale-Elementary School) 문항 군집을 구성하였다. 국내 초등학교 교사 및 교과교사 총 6명에게 내용타당도 검증 후 수업 내 문제행동, 수업 외 문제행동에 대해 각각 4개, 3개의 요인을 상정하고, 이를 측정하는 63개의 예비문항을 제작하였다. 1차 검증에서 예비문항에 대하여 154명의 아동 자료를 수집하여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최종 23문항을 선정하였다. 2차 검증에서 교사가 평정한 초등학생 209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이 척도는 수업 내 문제행동으로 수업 준비 행동, 수업 방해 행동, 공격 행동, 위축 행동의 4요인에 14문항, 수업 외 문제행동으로 규칙 위반 행동, 공격 행동, 위축 행동의 3요인에 9문항, 총 23문항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장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대부분의 소척도에서 .80이상의 상관계수를 보이고 있어 시간적 안정성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각 하위요인별 내적 합치도 역시 .76~.94로 전반적으로 양호하였다. 수렴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 교사용'(Teacher's Report Form, TRF)과 교사용 교실 적응 관찰 점검표(Teacher Observation of Classroom Adaptation-Checklist, TOCA-C)와의 상관분석에서 중간수준 이상의 상관이 나타났고 외현화와 공격행동, 내재화와 위축 등 유사한 개념에서 더 높은 상관을 보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위해 실시한 구조방정식모형 검증에서도 양호한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문항의 구성과 검증 과정에서의 시사점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어머니의 성인애착과 양육태도에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에서의 차이 (Differences in Infant Problem Behaviors According to Adult Attachment and Parenting Attitudes of Mother)

  • 이승희;김상옥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75-86
    • /
    • 2019
  • 본 연구는 어머니의 성인애착, 유아의 문제행동 및 어머니의 양육태도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어머니의 성인애착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조절역할을 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3~5세 유아의 어머니 35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하였다. 연구결과, 어머니의 성인애착 중 회피가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의 위축에 미치는 영향을 자율적 양육태도가 조절하는 효과를 나타냈으며, 성인애착 중 불안이 문제행동의 위축에 미치는 영향을 자율적 양육태도와 통제적 양육태도가 조절하는 효과를 보였다. 또한, 자율적 양육태도는 성인애착의 불안이 유아의 불안/우울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애착이 유아의 문제행동 중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양육태도는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불안정한 성인애착을 보유한 어머니들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있어서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따라 유아의 문제행동의 형태가 달라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래지지가 청소년의 품행행동과 위축에 미치는 영향력 : 부정적 자동적 사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Peer Supports on Conduct Behavior and Withdrawal of Adolescence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Automatic Thoughts)

  • 이정숙;송화진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2권6호
    • /
    • pp.59-72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peer support on conduct behavior and withdrawal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automatic thought. The subjects included 461 students(boys 51%, girls 49%) from the 1st to 3rd grades of middle school in Seoul. Conduct behavior and withdrawal was measured by the Korean Youth Self Report and the Conners-Wells'-Adolescent Self Report Scales. Negative automatic thoughts were measured by the Korean Children Youth Automatic Thoughts Scale. Using Amos 20,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The finding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that peer support had an impact on conduct behavior and withdrawal. Peer support contributed to a reduction of negative automatic thoughts. Negative automatic thoughts had a mediating effect between peer support and withdrawal or conduct. We suggest that peer support affects conduct behavior and withdrawal through negative automatic thought. We also found gender differences; compared with girls, boys received less support from peers. They also had lower levels of negative automatic thoughts and withdrawal than girls. The further study should be considered to provide more correlation factors of peer support.

걸음마기 아동의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사회적 위축 및 공격성 간의 관계 (Relations among Toddlers' Temperament, Maternal Parenting, and Social Withdrawal and Aggression)

  • 박보경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1권6호
    • /
    • pp.67-81
    • /
    • 2013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 among toddlers' temperament, maternal parenting, and toddlers' social withdrawal and aggression. One hundred and two mothers of two-year-old children (49 boys and 53 girls) completed questionnaires and Q-sort.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es and regression analyses. First, toddlers' pleasure was negatively related to social withdrawal, while social fearfulness was positively related to social withdrawal. Also, toddlers' activity level and anger proneness were positively related to aggression. Second, the encouragement of independence in maternal parenting was negatively linked to toddlers' social withdrawal, and maternal rejection was positively linked to toddlers' aggression. Third, toddlers' pleasure and interest/persistence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mothers' encouragement of independence, and toddlers' activity level and anger pronenes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mothers' rejection. Finally, mothers' encouragement of independence acted as a mediator between toddlers' pleasure and social withdrawal. Also, toddlers' activity level and anger proneness influenced aggression through maternal rejec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oddlers' temperament and maternal parenting play crucial roles in the development of toddlers' maladaptive behaviors such as social withdrawal and aggression.

취학 전 시설보호 아동의 수용기간과 감각조절기능과의 관계 (The Relation Between Length of Institutionalization and Sensory Modulation for Preschooler)

  • 박미선;송지훈;현효진;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59-69
    • /
    • 2009
  • 목적: 본 연구는 전 학령기의 시설보호 아동을 대상으로 감각조절기능과 문제행동을 평가하여 수용기간에 따른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부산지역 4개의 시설보호 아동 62명과 창원지역의 일반아동 26명으로 3-7세의 미취학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신경학적 손상이 없고 청력이나 시력에 이상이 없는 아동으로 선정하였다. 감각조절능력은 단축 감각프로파일(SSP)을 사용하였고, 문제행동을 알아보기 위하여 아동행동체크리스트(CBCL)를 사용하였다. 결과 분석은 SPSS for windows 11.0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결과: 일반아동과 시설보호 아동의 감각조절능력을 비교하였을 때 움직임 민감성, 활력이 부족함과 허약함 항목에서 시설보호 아동의 점수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일반아동과 시설보호 아동의 문제행동을 비교하였을 때 위축행동, 공격행동 항목에서 시설보호 아동의 점수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수용기간에 따른 감각조절능력을 비교하였을 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문제행동을 비교하였을 때 위축 행동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시설보호 아동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각조절 능력 비교와 문제 행동 비교 중 각 기관의 점수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이 연구를 통하여 시설보호 아동들이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시설보호 아동에게 필요한 환경에 대하여 객관화된 자료를 제공해줄 수 있는 방법과 관련된 연구들이 나올 수 있기를 기대한다.

  • PDF

아동의 위축 및 공격성에 대한 관련변인들의 관계: 거부적 양육행동, 또래괴롭힘, 부정적 부모표상 및 부정적또래표상의 인과효과 (Variables Related to Children's Withdrawal and Aggression: Causal Effects of Rejection, Victimization, and Negative Representation by Parents and Peers)

  • 김귀연;김경연
    • 아동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247-266
    • /
    • 2005
  •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21 children selected from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s in Pusan. Factors associated with parents and peers varied by type of peer maladjustment(aggressive type and withdrawn type, compared with a control group). Particularly, the level of factors associated with peers varied from the control group by peer maladjusted types(aggressive types and, withdrawn types). Causal relationships of parents' rejection, victimization, negative representation by parents and by peers on child?s maladjustment varied by behavior types. Negative representation of peers had a direct effect only on withdrawal. On the other hand, negative representation of peers had no effect on aggression. Victimization had a first total effect on both withdrawal and aggression.

  • PDF

아동의 성, 기질, 어머니 양육행동과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이 사회적 위축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ild's Temperament, Mother's Parenting Behavior, and Child's Emotion Regulation on Child Agg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 박지숙;임승현;박성연
    • 아동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85-98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ath model of child's sex, temperament,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child's emotion regulation on child social behaviors. The subjects were 286 elementary school children. Data were gathered through questionnaires reported by mothers and teachers. Path analysis revealed that (1) mother's overprotective or coercive parenting behaviors effected neither child's emotion regulation nor social behaviors (2) child's sex and activity level effected child's aggression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child's emotion regulation (3) child's 'activity level' and 'avoidance' temperament effected child's social withdrawal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child' emotion regulation. Findings underscore the role of emotion regulation as a mediator in predicting child agg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 PDF

어머니의 신념 및 양육행동이 유아의 공격.위축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ternal Beliefs and Childrearing Behavior on the Preschoolers' Aggressive and Social Withdrawal Behavior)

  • 김미해;옥경희;천희영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85-100
    • /
    • 2003
  • Maternal beliefs about preschoolers' displays of agg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and the extent to which their strategies for dealing with these behaviors can be predicted from beliefs were examined. And the extent to which maternal childrearing behavior and preschoolers' social problematic behaviors can be predicted from beliefs. 202 mothers of 5-year-old(114 boys; 88 girls) were presented with descriptions of hypothetical incidents of peer-directed agg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Maternal belief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kinds of problematic behaviors. Thus most mothers attributed preschoolers' aggression to situational factors, social withdrawal to disposition. Mothers felt embarrassed about aggression and concerned about social withdrawal. The power assertive strategies were more used for dealing with aggression than social withdrawal. The choice of strategies for dealing with these behaviors and maternal childrearing behavior were related to maternal beliefs. Also preschoolers' social problematic behaviors were effected from maternal beliefs and childrearing behavior.

발달장애아동의 문제행동감소를 위한 집단놀이치료 효과에 대한 연구 -장애인 주간보호센터 이용자를 중심으로 (To Reduce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Group Play Therapy Case Study-Focusing on the Daytime Protection Center Users with Disabilities)

  • 신준옥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76-184
    • /
    • 2020
  • 본 연구는 집단놀이치료가 발달장애아동의 문제행동 감소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 위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특수학교에 재학 중이며 장애인 단기보호센터를 이용하는 장애아동 5명이다. 연구기간은 2018.1. 2. - 2. 28. 까지 겨울방학을 활용하여 매주 2회 40분씩 총 12회기를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는 문제행동 진단척도(K-CBCL)로 매 회기마다 행동변화를 질적으로 관찰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회기별 과정에서 장애아동들은 공격성, 위축, 우울, 불안 등이 유의미하게 감소하고 활동적이 모습이 증가하였다. 둘째, 집단놀이치료 개입 후 문제행동이 감소하고 외현화 문제보다 내재화 문제에서 더 많은 감소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집단놀이치료는 장애아동의 개별적인 특성에 따라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데 의미가 있으므로 실천현장에 적용하고자 한다.

아동중심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이 위축성향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불안, 또래상호작용 및 뇌파변화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hild-Centered Group Play Therapy Program on the Withdrawal of Children's Daily Stress, Anxiety, Peer-Interaction and EEG Variation)

  • 이유선;한유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49-267
    • /
    • 2015
  • 본 연구는 아동중심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이 위축성향을 보이는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불안, 또래상호작용 및 뇌파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유치원 교사에 의한 아동행동평가척도인 K-CBCL에서 임상범위에 해당되는 만 3세-5세의 위축유아 12명이었다. 이 유아들은 실험집단 6명, 통제집단 6명으로 나눈 뒤 실험집단 유아에게 주 2회 35분씩 총 12회기의 아동중심 집단놀이치료를 실시하였고, 통제집단 유아에게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아동중심 집단놀이치료의 전과 후를 비교하기 위해 프로그램 사전-사후에 일상적 스트레스척도, 불안척도, 또래 상호작용척도 및 뇌파검사를 한 후 결과처리를 위해 맨 휘트니(Mann-Whitney-U)검증과 윌콕슨(Wilcoxon)검증을 실시하였다. 아동중심 집단놀이치료 종료 후 실험집단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불안은 감소하였고 긍정적 또래상호작용과 뇌파의 정서지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통제집단 유아에게는 아무런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결과는 아동중심 집단놀이치료가 위축성향을 보이는 유아의 정서적인 어려움을 다루는데 효과적인 접근방법의 기초자료를 제공해 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