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위식도역류질환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5초

인후부 이물감 호소에 따른 위식도역류질환 환자의 임상적 특징 비교 (Comparison of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According to Globus Sensation)

  • 백소영;황미니;고휘형;김동윤;이하늘;정해인;하나연;김진성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87-294
    • /
    • 2019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according to globus sensation (GS). Methods: We reviewed the clinical records of 29 GERD patients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Digestive Diseases of Kyung Hee University Korean Medicine Hospital from March 1, 2018 to February 28, 2019.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globus sensation, and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in terms of heart rate variability (HRV) and the Ryodoraku results. Results: In comparing the GERD with GS group (GS group) and the GERD without GS group (non-GS group),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duration of symptom and several HRV parameters. The duration of the symptom in the GS group was significantly longer than that in the non-GS group. The non-GS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value of total power and high frequency than the GS group.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ress level between patients with GERD with GS and those without GS. When approaching patients with GERD without GS, their stress status should be considered.

위식도역류질환의 한약 치료에 대한 최신 임상 연구 동향 - 반하(半夏)를 중심으로 - (Recent Trends in Clinical Research on Herbal Medicine Based on Pinellia Ternata for Treatment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 장혜연;김영광;정서윤;김도형;김경옥;이영수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1119-1140
    • /
    • 2020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Chinese clinical studies of the treatment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with herbal medicine including Pinellia ternata. Methods: We searched the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CNKI) database for clinical studies on herbal treatments including Pinellia ternata for GERD, from January 1st, 2015 to September 30th, 2019. We evaluated the risk of bias using Cochrane's risk of bias to confirm the quality of the 37 selected documents. Results: The 37 papers included high-dose and middle-dose Pinellia ternata groups. The outcome measures included treatment effectiveness rate, symptom comparisons, and endoscopy effectiveness rates or scores. In both groups, most studie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treatment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meta-analysis revealed a higher treatment effectiveness rate and a lower recurrence rate in the treatment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Comparing the treatment effect between the two groups was difficult due to the low quality of most studies. However, the results suggest that herbal remedies including Pinellia ternata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GERD compared to control groups.

위식도역류질환에 대한 반하후박탕의 효과 :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Effects of Banhahubak-tang on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강시은;김경민;진명호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1-24
    • /
    • 2022
  • Objective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anhahubak-tang on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GERD) through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RCTs). Methods : RCTs using Banhahubak-tang on GERD was searched in databases such as EMBASE, PubMed, MEDLINE, CENTRAL, CNKI, KISS, RISS, ScienceON, and OASIS. RCTs published up to October 8th, 2021 were included. Meta-analysis was performed by synthesizing outcome data, including Total Effectiveness Rate (TER), Reflux Symptom Index(RSI), Reflux Finding Score(RFS), and Incidence of Adverse Reactions. RevMan 5.4 software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Cochrane collaboration bias risk assessment scale was used to evaluate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the included studies. Results : Ten RCTs met the inclusion criteria. The total effective rate was the most commonly used outcome measure. The meta-analysis revealed that the TER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N=2, RR:1.22, 95% CI:1.09 to 1.36, P=0.0004, I2=0%)(N=6, RR:1.22, 95% CI:1.14 to 1.32, P<0.00001, I2=0%)(N=8, RR:1.22, 95% CI: 1.14 to 1.30, P<0.00001, I2=0%). On the other hand, RSI(N=2, MD : -4.29, 95% CI: -4.71 to -3.86, I2=94%), RFS(N=2, MD : -3.28, 95% CI: -3.71 to -2.85, I2=96%), and Incidence of Adverse Reactions(N=5, RR: 0.32, 95% CI: 0.17 to 0.61, I2=0%)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 Treatment with Banhahubak-tang was found to be effective on GERD. However the results might be biased because of the poor quality and small sample size of the included RCTs.

중국 및 한국 Database에서의 위식도 역류질환에 대한 반하사심탕의 효과에 대한 최근 10년간의 연구경향 (A Study Trend for the Effects of Banxia-xiexin-tang Decoction (Banhasasim-tang) on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in Chinese and Korean Databases over the Last Ten Years)

  • 정유진;김윤정;홍상훈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62-413
    • /
    • 2020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recent clinical research trends on the efficiency of traditional herb medicine (THM) on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and to provide clinical evidence of herbal medicine, Banhasasin-tang or Banxiexin decoction by using a system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trials (RCTs). Methods: In this study,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were included that verified effects of traditional herbal medicine (THM), including a Banxia-xiexin-tang decoction, as a treatment for GERD. A study of the literature in Chinese and Korean databases was performed for papers published from January 1, 2010, to January 1, 2020. The selected literature was assessed by Cochrane's risk of bias (RoB). Results: A total of 90 RCTs met the inclusion criteria. Except for four RCT studies, all studies identified the effect of a Banxia-xiexin-tang decoction in the treatment of GERD. The effectiveness of treat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intervention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as shown through various evaluation indicators, including the reflux disease diagnostic questionnaire (RDQ). Adverse effects were reported in 22 articles (24.44%). Conclusions: Treatment with Banhasasin-tang, or a Banxia-xiexin-tang decoction,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treating GERD. However, due to the low quality of available studies, the significance of this conclusion is somewhat limited. This study could serve as a foundation for further clinical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diagnosis and treatment methods for GERD based on Korean medicine.

진단이 내려지지 않은 만성기침 환자에서 양자펌프억제제의 치료효과 (The Effect of a Proton-pump Inhibitor in Unexplained Chronic Cough Patients)

  • 양주연;이호연;김남희;김윤섭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1권2호
    • /
    • pp.137-142
    • /
    • 2006
  • 연구배경: 8주 이상 지속되는 만성 기침의 원인 중 하나인 위식도역류질환는 환자의 약 75%가 증상이 없으며, 진단을 위한 24시간 식도 pH감시가 침습적이고 검사가 어려워 진단 및 치료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만성 기침환자 중 후비루증후군 및 기관지 천식이 아닌 환자를 대상으로 양자펌프억제제를 투여하고 치료효과를 관찰하였다. 방법 및 대상: 기침증상이 8주 이상인 만성기침 환자 중 X-ray 소견상 이상이 없고 메타콜린 기관지유발시험상 음성이며, 후비루증후군 치료에 반응이 없었던 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8주 이상 양자펌프억제제를 투여하였으며 50%이상 기침이 감소한 경우를 부분 반응군, 기침이 거의 소실된 경우를 완전 반응군으로 분류하였다. 결 과: 대상자 40명중 29명만이 4주 이상 추적되었으며 이중 26명만이 8주까지 추적 관찰되었다. 29명중 남자가 9명, 여자가 20명이었으며 평균나이는 51세였다. 대상자들에서 기침 이외의 증상은 객담이 12%, 콧물이나 비폐색 등의 코 증상이 있는 환자는 10%, 속쓰림, 소화불량 등의 소화기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는 13.4%였다. 29명중 4주간 투여 후 증상의 호전이 없는 환자가 3명(10.3%), 50% 이상의 증상호전을 보이는 환자가 22명(75.9%), 그리고 증상이 거의 소실된 환자가 4명(13.8%)로 약 90%정도의 환자가 기침의 증상호전이 있었다. 8주 투여 후 호전이 없는 환자가 2명(7.4%), 50% 이상 증상호전이 있는 환자가 8명(29.6%), 증상이 거의 소실된 환자가 16명(63.0%)이었다. 결 론: 8주이상의 만성기침 환자에서 8주 이상 양자펌프억제제 투여 후 92.6%환자가 증상호전이 있었으며 이중 63%는 거의 소실되었다. 하지만 본 연구는 위약을 통한 대조군이 없는 관계로 그 결과의 해석에 어려움이 있다. 앞으로 좀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이중맹검시험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2세 미만의 만성 기침 환아에서 흉부 고해상 전산화 단층 촬영의 유용성 (Usefulness of Chest High-Resolution CT in Patients with Chronic Cough Below 2 Years of Age)

  • 김명현;김정희;임대현;손병관;이경희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3호
    • /
    • pp.339-345
    • /
    • 2002
  • 목 적 : 2세 미만 소아에서 만성 기침의 흔한 원인으로는 보통 모세 기관지염, 바이러스 폐렴, 기관지 천식, 폐쇄성 세기관지염, 위식도 역류증, 선천성 기관지 기형, 호흡기 이물, 심장 기형, 면역 결핍 질환 등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치료에도 불구하고 만성 기침과 지속적인 천명이 들리고 비교적 정상 흉부 X-선 소견을 보이는 환아들을 적지 않게 볼 수 있다. 이런 환아들의 병인을 알기 위한 흉부 전산화 단층 촬영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1999년 7월부터 2000년 6월까지 인하대학교병원 소아과에 만성 기침으로 입원하여 HRCT를 촬영한 2세 미만의 환아들 중 심장 혹은 폐의 선천성 기형, 위식도 역류증이 없고 중추 신경계에 장애가 없었던 24명(남아 15명, 여아 9명)을 대상으로 입원 기록과 단순 흉부 사진, 흉부 전산화 단층 촬영 결과를 조사하였다. 이 환아들의 나이는 1개월부터 18개월이었고, 흉부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시행할 때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평균 $4.7{\pm}3.8$개월이었다(Table 1). 기침이 3주 이상 지속될 경우를 만성 기침으로 정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아 24명의 방사선학적 결과는 단순 흉부 사진상 정상이 16명(66.7%), 비정상이 8명(33.3%)이었다. 정상 소견을 보인 16명 중 흉부 전산화 단층 촬영에서 비정상인 경우가 13명(81.3%)이며 그 중 의존성 위치의 폐 경화가 10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병변의 위치로는 양 폐의 상엽 후 분절과 하엽 상 분절이 대부분이었다. 그 외 비정상인 경우가 폐쇄성 세 기관지염 2명, 기관지폐 이형성증이 1명이었다. 모든 환아에서 흉부 고해상 전산화 단층 촬영 소견의 결과는 폐 경화가 17명으로 가장 많은 소견을 보였으며 그 중 의존성 위치에 폐 경화가 15명으로 대부분이었고, 모자이크 양상이 7명, 기관지 벽 비후가 6명, 정상 소견이 3명이었다. 이 소견들은 한가지 혹은 두, 세가지가 같이 나타날 경우가 많았다. 결 론: 3주 이상의 만성 기침이나 지속적 천명이 있는 환아에서, 특히 2세 미만의 정상 단순 흉부 사진을 보이는 환아들에서 그 원인을 평가하는데 흉부 고해상 전산화 단층 촬영이 임상적으로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되며, HRCT에서 양폐 상엽의 후 분절, 하엽의 상 분절에 생긴 경화의 원인을 알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리라고 생각한다.

위식도역류질환 한약제제 임상시험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관련 국내 가이드라인 분석 및 기존 한약임상시험과의 비교 (An Analysis of the Existing Guidelines and Clinical Trials for the Development of the Guidelines of Clinical Trials with Herbal Medicinal Products for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 한가진;임정태;김진성;이준희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90-108
    • /
    • 2016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learn wha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Guidelines of Clinical Trials with Herbal Medicinal Products for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by analyzing the existing guidelines and clinical trials.Methods: The development committee searched the existing guidelines for herbal medicinal products or GERD. Then, clinical trials related to GERD using herbal medicine were selected. The chosen trial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ir inclusion and exclusion of participants, intervention, comparators, outcome, and trial design. Then, we compar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regulations and guidelines of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to suggest the issues that we will have to consider when developing the Guidelines of Clinical Trials with Herbal Medicinal Products for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Results: As a result, few guidelines for GERD and clinical trials with herbal medicinal products were located in the national institution homepage. In addition, 8 articles were found using the following combination of search terms: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herbal medicine”, “herbal therapy”, “Korean Medicine”,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nd “TCM”. Even though all trials had their own unique research questions, all studies were performed using a randomization method. Most trials included participants with reflux esophagitis, but two trials targeted proton pump inhibitor-refractory GERD. The type of intervention varied, such as decoction, granules, and capsules. Additionally, individualized herbal medicines were used in two studies. Comparators were diverse, such as placebo, Western medicine, and electro-acupuncture. The most frequently used outcome for efficacy was the effectiveness rate. In addition, the outcome for evaluating quality of life, esophageal mucosa and pressure, esophageal acid reflux, and recurrence rates were used. Safety was investigated by recording adverse events and carrying out laboratory tests.Conclusions: We identified some issues by reviewing the existing guidelines and comparing them with clinical trials for GERD and herbal medicinal products. These results will be utilized for developing the Guidelines of Clinical Trials with Herbal Medicinal Products for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위식도역류질환 변증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평가 (A Study of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tandard Tools for the Pattern Identification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 조윤재;하나연;고석재;박재우;김진성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21
    • /
    • 2022
  • Purpose: The standard tool for the pattern identification is used for identifying patterns in patients using a questionnai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organize the standard tool for the pattern identification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developed in 2017 and to analyz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tandard tool for pattern identification by applying it to GERD patients. Methods: To reorganize the standard tool for the pattern identification of GERD developed in the previous study, we searched the literature in the main databases, OASIS (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ing Integrated System) and CNKI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We added the search results to the data used in the previous study and went through the reorganizing courses, such as evaluating the validity of the translation, the Delphi technique, and a small survey. After reorganization, the patients who visited the Kyunghee University Korean Medicine Center for GERD symptoms were provided the questionnaire, including the reorganized standard tool for pattern identification. We analyzed the survey results to evaluate their reliability and validity. Results: Fifty patient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Reliability analysis results showed a pattern identification match rate of 86%, Cronbach's α coefficient of 0.834, and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of 0.907. The Mann - Whitney U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were implemented to check the relations between the survey questions and pattern identification results; the Pearson correlation, compared with other scales, showed a moderate score. Conclusion: We reorganized the standard tool for the pattern identification of GERD to be updated on current issues and so that it is easily used. The analysis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howed that the reorganized standard tool had high reliability and moderate validity.

새로운 분류법에 따른 소아 위장관 우유 알레르기 질환에 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Observations of Gastrointestinal Cow Milk Allergy in Children According to a New Classification)

  • 황진복;최선윤;권태찬;오훈규;감신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7권1호
    • /
    • pp.40-47
    • /
    • 2004
  • 목 적: 효율적인 진단과 치료 및 적절한 의학적 교류를 목적으로 소아 위장관 알레르기 질환의 새로운 분류법이 발표되었다(J Pediatr Gastroenterol Nutr 2000;30:S87-94). 그러나 명칭과 분류의 변경으로 이미 알려진 질환들이 새로운 질환으로 보고되기도 하는데, 저자들은 새로운 분류법에 따른 소아 위장관 알레르기 질환의 질병군에 관하여 알아보고, 국내에서 이미 보고된 관련 문헌을 함께 고찰하여 의학적 교류에 혼선을 최소화 하고자 한다. 방 법: 2003년 3월부터 7월까지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를 방문하여, 우유 유발 및 제거시험, 내시경을 이용한 조직생검 등을 이용하여 소아 GI-CMA로 진단된 37례(남 19, 여 18)를 대상으로 후향성 조사하였다. 새로운 분류에는 포함되지 않았으나 위식도역류 관련 알레르기를 추가하였다. 국내 문헌은 소아과학회지, 소아소화기영양학회지, 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지를 근거로 고찰하였다. 결 과: 1) 대상 환아의 연령은 2주~15개월, 평균 $5.4{\pm}4.8$개월이었다. 2) 출생체중은 전례에서 10~90백분위수를 차지하였으며, 25~75백분위수가 25례(68%)를 차지하였다. 내원 당시 체중은 3백분위수 이하가 18례(49%)이었다. 3) 증상발현에서 진단까지 걸린 시간은 2주~12개월, 평균 $2.4{\pm}3.3$개월이었다. 4) IgE 군인 IgE 매개형 우유알레르기(IGE) 6례(16%), IgE와 Non-IgE 혼합군인 호산구성 위장관염(EOS) 2례(5%), Non-IgE군인 전형적 우유 단백질 유발 장관염(CMPIE-T) 7례(19%), 비전형적 우유 단백질 유발 장관염(CMPIE-AT) 5례(14%), 알레르기성 대장염(AC) 12례(32%)이었다. 위식도역류증 관련 우유 알레르기(GERA)는 5례(14%)이었다. CMPIE-T 전례에서 소장 조직생검상 장병증이 관찰되었다. 5) 진단 당시 연령은 IGE $4.3{\pm}0.8$개월, EOS 생후 2주와 14개월, CMPIE-T $3.8{\pm}4.6$개월, CMPIE-AT $10.4{\pm}3.8$개월, AC $3.4{\pm}3.9$개월, GERA $7.8{\pm}5.7$개월로 질환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6) 내원 당시 3백분위수 이하를 보인 경우가 IGE 17%, EOS 0%, CMPIE-T 86%, CMPIE-AT 60%, AC 25%, GERA 100%로 질환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7) 국내 문헌을 고찰하여 소아 위장관 우유 알레르기 질환은 만성설사, 난치성설사, 우유 불내성, 우유 알레르기, 위장관 알레르기, 우유 과민성 장병증, 호산구성 위장관염, 알레르기성 대장염 등의 용어로 보고되었다. 결 론: 새로운 분류법에 따른 소아 위장관 우유 알레르기 질환은 연령, 임상 증상, 위장관 침범 부위에 따라 특징적인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임상적으로 드물지 않다. 국내의 문헌을 통하여 다양한 용어로 각 유형의 알레르기 질환들은 연구 보고되어 왔다.

  • PDF

정신질환자들에 동반된 기능성 위장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정신사회적 요인에 관한 연구 (Psychosocial Factors Influence the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 among Psychiatric Patients)

  • 강등현;장승호;류한승;최석채;노승호;백영석;이혜진;이상열
    • 정신신체의학
    • /
    • 제26권1호
    • /
    • pp.1-8
    • /
    • 2018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위장질환(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 이하 FGID)이 동반된 정신질환자들의 정신사회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일 대학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외래를 방문한 환자를 대상으로 Rome III questionnaire - Korean version에 따라 FGID를 선별하여 14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인구학적 요인을 조사하였으며, 정신사회적 요인을 평가하기 위해 Hospital Anxiety Depression Scal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15, 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Korean,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를 사용하였다. 통계분석은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과 교차분석(chi-square test)을 사용하였다. 결 과 FGID에 따른 집단간 비교에서 학력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chi}^2=10.139$, p=0.017). FGID 집단에 따른 정신질환의 차이에서는 과민성 대장증후군(Irritable bowel syndrome, 이하 IBS)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chi}^2=11.408$, p=0.022) IBS 집단은 불안(t=-3.106, p=0.002), 우울증상(t=-2.105, p=0.037), 신체증상(t=-3.565, p<0.001), 특성분노(t=-3.683, p<0.001), 분노-억제(t=-2.463, p=0.015), 분노-표출(t=-2.355, p=0.020)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기능성 소화불량(Functional dyspepsia) 집단에서는 불안(t=-4.893, p<0.001), 우울증상(t=-3.459, p<0.001), 신체증상(t=-7.906, p<0.001), 특성분노(t=-4.148, p<0.001), 상태분노(t=-2.181, p=0.031), 분노-억제(t=-2.684, p=0.008), 분노-표출(t=-3.005, p=0.003)지표가 유의하게 높았다. 비미란성 위식도 역류증(Nonerosive reflux disease) 집단에서는 불안(t=-4.286, p<0.001), 우울증상(t=-3.402, p<0.001), 신체증상(t=-7.162, p<0.001), 특성분노(t=-2.994, p=0.003), 상태분노(t=-2.259, p=0.025), 분노-억제(t=-2.772, p=0.006), 분노-표출(t=-2.958, p=0.004)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정신질환자에서 FGID의 유병률이 매우 높고, 다양한 정신사회적 변인들이 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정신의학적 접근은 FGID 환자를 더 잘 이해하고 치료하는데 있어서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