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위생공간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28초

이슈&이슈 - 욕실은 지금 '진화 중'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통권243호
    • /
    • pp.40-49
    • /
    • 2010
  • 욕실은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생리 욕구를 해결하는 곳이며 건축물 등의 구조물에 설치되는 기계설비 중급 배수 및 위생 설비가 가장 집약적으로 들어가는 곳 중 하나이다. 욕실은 위생이라는 기능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공간이지만 인간의 자아 안정을 위한 정신적 측면도 함께 고려되는 복합적 기능을 가진 생활 필수공간이다. 최근들어 욕실 트렌드는 펜트하우스급에서나 꿈꾸던 고급 이미지를 벗어던지고, 친환경 웰빙 흐름에 맞춰 절수 제품과 위생 청결 강화 제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 본지는 점점 진화하고 있는 욕실 환경에 대해 알아 본다.

  • PDF

3세대 동거주호의 부분문화적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수납 및 위생공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artial Culture Space Planning of Three Generation Dwelling Unit -Storage Space and Sanitation Space-)

  • 김승근;김정진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5권3호
    • /
    • pp.22-33
    • /
    • 2003
  • I recognized necessity of the space planning to three-generation dwelling because of preservation of wholesome society sense of values of the younger generation indicated often to the point at issue by the change to nuclear family of present and by way to hand down thought of respect for the aged which is our traditional public morals. I wish to present basic data for storage space planning that resident's request and consciousness are reflected in such background. I investigated records in general concept, which is utilization pattern of storage space to achieve the function of these culture intermediation. The object of research is three-generation dwelling, such as 3L-K and 3L-DK as national residences that appear most generally in chongju city. The method of research was question investigation method to write utilization actual conditions and requirement of storage space directly. So I proposed suitable planning to resident's life style analyzing frequency, percentage and average distribution. When supply apartment house hereafter, it should be reflected wide selection by resident's characteristic and needed systematic storage space planning in consideration of user mainly. Also continuous and diversified researches that can improve quality of residence are required.

  • PDF

일본 장애아 보육시설의 물리적 환경 실태조사 - 보육공간과 위생공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Physical Environment of the Child Care Centers for the Children with Disability in Japan - Focus on Nursing Space and Sanitary Space -)

  • 주서령;이지예;김민경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0권6호
    • /
    • pp.77-88
    • /
    • 2009
  • The nursing space and sanitary space are main living spaces for children in the child care cen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in terms of planning by mainly focusing on the nursing space and sanitary space of the disabled child care center in Japan. Since Japan has cultural backgrounds similar to those of Korea while providing systematic child care centers according to the symptom and grade of disability, it is anticipated that this case study on the disabled child care center in Japan will help establish standards related to disabled child care centers in Korea. To conduct the study in a more efficient way, the case study was divided into the space planning of nursing spaces and sanitary spaces and the installation of sanitary tools and handrails in the disabled child care center. The findings of investigating into actual conditions were analyzed by comparing them with Japanese laws and literary and documentary records relevant to this study.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Korean child care centers, having constantly expanded their quantitative growth, will also improve the qualitative level of their atmospheres so that they may provide more proper conditions even for disabled children to get better used to child care centers in Korea.

한국인의 욕실사용 문화를 고려한 디자인 가이드라인 (The bathroom design guideline considering the usage pattern of Koreans)

  • 이호숭;김미영
    • 감성과학
    • /
    • 제13권2호
    • /
    • pp.347-358
    • /
    • 2010
  • 과거에는 단순한 생리처리 및 위생공간이었던 욕실에 대한 기능이 현대에 들어서는 생활의 활력을 충전하고, 자신만의 욕구와 실현의 공간으로써 활용되는 다기능 공간화 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의식주에 대한 소비자들의 새로운 욕구와 변화가 나타나면서 현재 '욕실' 공간에서의 행위와 요구사항을 파악할 필요성이 높아져 가고 있다. 많은 수의 한국인들은 욕실사용에 있어서 서양의 입식(立式) 샤워 방식 외에도 욕조 밖이나 대야 등에 물을 받아 사용하는 등의 욕실사용 행태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한국인의 독특한 욕실사용행태를 설계에 반영함으로써 한국인의 욕실문화가 고려된 욕실구조 도출이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는 욕실공간에 대한 사용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한국인의 욕실사용 정황과 사용 중에 느끼는 불편함과 종합적 감정 등을 조사하여 욕실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도출하며, 욕실 공간계획에 있어서 건강, 위생문제를 해결하는 공간이자, 현대인의 신체특징과 라이프스타일이 반영 가능한 기본적인 설계지침 도출을 연구목표로 하고 있다.

  • PDF

사슴결핵의 증례소개 및 예방대책

  • 진영화
    • 대한수의사회지
    • /
    • 제44권9호
    • /
    • pp.831-834
    • /
    • 2008
  • 사슴은 민화 십장생도의 소재중 하나로 신성하고 신비스럽게 여겨져 왔던 동물이었는데 근래에는 녹용 등 약재 수요가 급증하고 사슴고기의 소비도 늘어나 사슴들이 점점 순화되고 가축화되어 가고 있다. 그에 따라 좁은 공간에서 집단 사육되어 질병의 발생이 많아지게 되어 사슴사육시 경제적으로나 공중보건학적으로나 질병예방을 위한 위생적 사양관리가 요구된다. 최근에 국내 사육 사슴에서 인수공통전염병인 결핵이 검색되어 양록업의 위생적 사양관리와 질병예방에 도움이 되고자 그 증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 PDF

IPA 분석기법을 통한 공동주택의 무장애공간 인증기준 적합성 분석연구 (A Study on the Barrier-Free Space through IPA Method for the Elderly in Multi-family Housing)

  • 김주환;김원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87-194
    • /
    • 2020
  • 노인이 되면 시지각 인지장애 및 치매까지도 수반하게 되어 지지적 공간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안전 및 생명에의 위험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공간지지는 연령이나 성별, 신체·정신적 한계를 포용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유니버설 디자인개념에 기초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IPA기법을 이용하여 공동주택 거주 노인계층을 대상으로 현행 무장애 공간을 위한 편의시설 설치기준 적합성을 검증하는데 있다. 교차분석결과, 고령화가 진행될수록, 남성보다는 여성그룹의 무장애 공간 만족도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은 만족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위생시설의 일부인 세면대 항목으로 나타났으며 중요도 또한 계단 및 승강기가 가장 중요한 변수로 제시되었다. IPA 분석결과, 14가지 인증항목 중 가장 시급하게 개선되어야 할 BF인증지표는 세면대, 욕실, 샤워실 경보 및 피난시설로 도출되어 위생시설에 대한 보다 면밀한 시설계획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아두이노 센서를 이용한 케겔 운동 시스템 설계 (Kegel Exercise System Using an Arduino sensor)

  • 차제희;장종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98-201
    • /
    • 2015
  • 아두이노와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현대인의 관심사인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이 목적이다. 현재 한국에는 총 420만명의 요실금 환자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Information Technology와 Bio Technology의 융합을 통해 이러한 환자들이 쉽고 간단하며 가장 효과적인 골반저근운동(이하 케겔운동) 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요실금, 발기부전 등을 치료, 예방한다. 현재 시중에 판매되는 케겔 의료기기는 전기적 자극을 강제로 주어 운동을 해야 하는 시스템으로 하의를 탈의하고 폐쇄된 공간에서 Femcon Therapy를 주로 사용 하였으며 이는 시간제약, 공간제약, 위생적인 제약 등의 문제가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제약에서 벗어나 하의를 탈의하지 않고 공간과 위생의 제약에서 벗어나 BT와 IT를 융합한 케겔(Kegel) 의료기를 설계 하였다.

  • PDF

생활바지선 거주구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Study on Planning for Accommodation Area of Accommodation Barge)

  • 강영훈;이한석;도근영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38-339
    • /
    • 2011
  • 본 연구는 해양플랜트 지원선 중 작업자들에게 전용거주시설을 제공하는 생활바지선 거주구공간계획에 관한 연구이다. 생활바지선의 거주구는 '작업자영역', '서비스영역', '승무원영역', '업무영역'으로 공간을 분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10척의 생활바지선 일반배치도(GA)를 조사하여 거주공간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해양플랜트 거주구 설계시 가장 많이 참조되는 ABS, NORSOK 등 해외선급협회에서 제시하는 해양플랜트 거주구 공간설계지침을 분석하여 생활바지선에서 거주구 공간계획에 적용하기위한 설계지침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생활바지선 거주구 설계모델을 설정하고 모델을 대상으로 데크별 공간배치와 동선을 계획하였다. 마지막으로 거주구 설계모델의 객실, 식당, 주방, 휴게공간 그리고 위생시설 등 주요공간을 대상으로 공간계획을 실시하고 계획안을 제시하였다. 최근 국내 조선업계에서도 생활바지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나 거주구 공간설계기술의 부족으로 외국 설계업체에 의존하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우선 한국선급협회에서 본 연구결과를 기초 생활바지선 거주구 공간계획을 위한 설계지침을 시급히 만들어야만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