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위기.위험 커뮤니케이션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9초

국가적 위기·위험상황에서 대중(大衆) 위기커뮤니케이션과 심정(心情) 영향력 및 행동의도간의 구조적 관계 (A study of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ublic crisis communication and Heart & Fellings influence and behavioral intention in crisis risk situations)

  • 이정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239-251
    • /
    • 2022
  • 본 연구는 국가적 위기·위험 상황에서 대중(大衆) 위기 커뮤니케이션과 심정 영향력 및 행동의도 간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와 실증연구로 진행된 결과를 바탕으로 위기·위협 유형, 위기·위협 반응, 심정(위기·위험 책임성, 전략적 위기·위험 반성적 반응), 행동의도의 나타난 결과를 바탕으로 관광목적지로서 관광지에 방문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관광목적지에서의 위기·위험 커뮤니케이션과 한국인의 고유한 정서 중 하나인 심정(心情)인 (위기·위험책임성, 전략적 반응, 위기·위험 반성적 반응) 간의 관계는 물론 결과변수인 행동의도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제시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각각의 연구개념에 대해 이론연구를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도출 후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가설 3개를 설정하였으며 가설 결과에 따라서 유의미한 결과를 확인하였고 기위험 상황이 발생하면 정부, 사업체, 지역사회가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대처하는 문제가 위기·위험의 문제를 상쇄시킬 수 있는 기회로 삼을 것이다.

메르스 관련 위험정보 탐색과 처리가 메르스 예방행동에 미치는 영향 위험정보 탐색처리 모형의 확장과 SNS 이용 정도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Risk Information Seeking and Processing on MERS Preventive Behaviors and Moderating Roles of SNS Use during 2015 MERS Outbreak in Korea)

  • 서미혜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78권
    • /
    • pp.116-140
    • /
    • 2016
  • 본 연구는 2015년 메르스 위기 중 두 차례에 걸쳐 동일한 응답자들을 대상으로 수집한 온라인 패널 서베이 자료를 이용해 개인의 위기관련 정보탐색 처리에 미치는 요인과 위험정보 탐색처리가 위험 방지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또한 메르스 위기 상황에서 SNS를 통해 가족, 친구, 지인과 활발한 소통이 메르스 위기관련 정보의 탐색, 처리 그리고 방지행동에 어떤 조절 영향을 미치는지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위기정보 탐색처리 모델은 한국의 메르스 위기상황에서 그 타당성이 검증되었으며, 특히 메르스 관련 정보의 적극적 탐색과 체계적 처리가 이후 메르스 방지 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함께, SNS 이용량에 따라 나뉜 두 집단에서 메르스 관련 정보의 탐색과 처리에 미치는 요인과 그 결과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SNS 이용에 따른 조절효과는 주로 부정적 감정과 사회적 동기요인을 중심으로 드러났고, 연구결과는 메르스 위기 중 SNS의 이용이 불필요한 공포를 조장한다는 우려와는 달리 위기의 지각이 부정적 감정으로 이어지는 관계를 완화시켜주고, 나아가 사회적 동기요인을 자극하고 메르스에 대한 체계적 정보처리를 강화시키는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 PDF

위험보도의 위기구축 기제 프레임 분석: 식품안전 보도를 중심으로 (Frame Analysis on Risk Reporting: Food Safety Reports from 1989 to 2005)

  • 박성희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5권
    • /
    • pp.181-210
    • /
    • 2006
  • 본 연구는 식품 안전을 둘러싼 위험 상황을 보도하는 언론의 보도 프레임을 추출, 언론이 위험 상황을 위기의 사회 현실로 구축해가는 양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1989년 삼양라면 우지파동에서 2005년 김치 기생충 알 검출 사건에 이르는 11개 식품안전 사고를 보도한 언론보도 내용을 대상으로 미디어 프레임을 분석, 각 프레임을 이루는 장치를 통해 언론이 위기를 구축해가는 양상을 추적했다. 분석에 사용된 프레임은 책임소재, 갈등, 인간적측면의 부각, 경제적 결과, 도덕성 등 다섯 가지 프레임이었으며, 연구 결과 이들 프레임에는 위기 확산, 책임 소재, 갈등 부각 등의 현저성이 두드러졌다. 특히 각 프레임을 구성하는 행위자는 가해자와 피해자라는 이분법적 대비 구조를 나타냈다. 기사에 등장하는 행위의 주체인 식품업자, 정부 및 해당관청, 소비자, 전문가 등은 이러한 갈등, 혹은 대비 구조의 프레임 안에서 때론 가해자로, 때로는 피해자로 틀짓기 되며 위험의 상황을 확산, 증폭 시키면서 소비자들의 혼란을 야기하고 위기의 사회현실을 구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 원자력 분야 정책추진체계 연구 - 고리원전추가건설사례로 본 위험거버넌스 구축 측면에서 - (A Study on System for Policy Promotion of Korean Nuclear Power - Risk Governance with Additional Construction of Nuclear Power Plants -)

  • 이상윤;윤홍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81-94
    • /
    • 2015
  • 본 연구는 급속한 현대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리스크 등과 같은 위험증가에 대해 한국에 있어 이러한 불확실성에 대응하는 바람직한 위험거버넌스 구축방안을 찾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리원전추가건설에 관한 과학기술전문가집단과 일반대중 곧 찬성 측인 고리원전 측과 반대 측인 고리원전 지역주민들의 상호소통 문제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고, 현재의 한국 원자력 분야에 있어서의 관련 정책추진체계를 고찰한다. 이러한 결과 원자력기술에 관한 위험성 커뮤니케이션에서의 교섭시점에서의 상호소통을 강화하는 거버넌스 구축이 도출되었고, 향후 한국형 원전건설의 정책적 지향점이 탐색되었다.

부정적 언론보도에 대한 베이커리 소비자의 심리적 위험지각과 브랜드태도 연구 (A Research on the psychological risk recognition and Brand Attitude of Bakery Consumers on Negative Media Report)

  • 정순화;한경수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13-529
    • /
    • 2015
  • This study performed corroborative analysis by establishing hypothesis so as to corroboratively define the effect on brand attitude of psychological risk recognition in the case where consumers reading negative media news related to bakery recognize crisis communication on the basis of which point. According to corroborative analysis, the role of psychological crisis perception as parameter is confirmed in the causal relation between crisis communication recognition and brand attitude. Such result of study confirms that the positive change in crisis communication recognition reduces psychological risk perception to bakery products and such psychological risk perception eventually become factor which affects brand attitude over products. Such result of study suggests that when reading negative media news on bakery, the influence on consumer's evaluation of news on the basis of certain point and the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causal relation between psychological risk perception and brand attitude has scientific ground. In the aspect, the main result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clue that when comparing precedent study between crisis communication recognition and brand attitude, psychological risk perception is realized with brand attitude as media by verifying the parameter role of psychological risk perce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