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웹 공간

Search Result 1,100,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Development of a Configuration Manager for a Web-based Spatial OODBMS (웹기반 공간 OODBMS를 위한 형상 관리자의 개발)

  • 박인하;신명철;이강준;한기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a
    • /
    • pp.358-360
    • /
    • 1999
  • 최근 웹의 활성화로 인하여 인터넷이 대중화되면서 지리 정보 시스템 분야에서도 웹 기반의 공간 데이터의 검색 및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또한, 지리 정보 시스템에서 다루는 공간 데이터는 가변적이고 대용량이기 때문에 이러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공간 OODBMS의 사용이 적합하다. 이러한 웹 기반 공간 OODBMS를 사용하는 실제 응용프로그램에서 다중 사용자 환경에서의 협동 작업이 효율적으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개별적인 객체 중심의 버전 관리에 그치지 않고 일정 영역내의 연관된 버전화된 객체들의 집합인 복합 객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절실히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다중 사용자 환경에서 연관된 버전화된 집합인 복합 객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웹기반 공간 OODBMS를 위한 형상 관리자를 설계 및 구현한다. 이를 위해 형상 관리 기능을 지원하는 기존의 시스템인 Open OODB와 RCS, 그리고 SCM에서의 형상 관리 모델에 대해서 알아보고, 형상 관리자의 관리 모델과 자료 구조를 설명한 후 형상 관리자 설계시의 고려사항에 대해서 언급한다. 마지막으로, 형상 관리자의 구성 모듈과 형상 관리가 API에 대하여 기술한다.

  • PDF

Mashup Implementation for Spatial Feature Creation using Google Map API (Google Map API를 이용한 공간객체 저작 매쉬업 시험 구현)

  • Park, Yong-Jae;Lee, Gi-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73-75
    • /
    • 2008
  • 최근 소위 Web 2.0 개념을 채택하는 다양한 웹 서비스 시스템구축이 보편화되면서 웹 검색 기능을 이용하는 일반 사용자나 전문 사용자에게 사용자 친화적이고 보다 빠른 성능의 웹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되고 있다. 참여와 공유를 목적으로 하는 Web 2.0 패러다임을 Web Happing이나 Web GIS 어플리케이션과 연계하는 연구나 기술 개발 분야도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국내외적으로 실질적인 웹 컴퓨팅 기술과 연계되는 개방형 매핑 API를 이용한 매쉬업 어플리케이션 개발의 필요성과 산업적 수요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하여 Google Map API를 이용한 공간정보 저작 매쉬업(Mashup) 어플리케이션을 시험 개발하고자 한다. 구현 결과로 별도의 Web GIS 웹 서버와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대한 권한이 없어도 웹 클라이언트상에서 일반 웹 사용자가 Google Mapping 서버를 이용하여 자신의 공간정보를 직접 제작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 PDF

Gyeonggi21 Search 2.0 : Regional Knowledge Retrieval System using Numerical Map and the Web (경기21서치 2.0 : 수치지도와 웹 공간을 융합한 지역지식 검색시스템)

  • Yun, Seoug-Kwan;Lee, Ryong;Kwon, Yo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45-50
    • /
    • 2008
  • 웹의 폭발적인 성장으로 다양한 형태의 지역관련 정보가 웹 공간에 포함되어 있으며, 기존의 지리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지 못한 실생활의 다양한 지역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사용자가 지역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현재의 키워드 기반의 웹 검색 엔진을 사용하여 얻은 다수의 검색 결과와 이를 맵과 관련시켜 정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특정지역에 대한 정확한 지리정보를 갖고 있는 수치지도와 방대한 지역정보를 갖고 있는 웹 공간을 융합하여 특정지역과 관련된 지역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인 "경기21서치 2.0"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에서는 웹을 통해 분석한 지역의 특징 및 지역 간의 의미적 관련성을 키워드를 통해 지역지식 네비게이터로 구성하고, 이를 수치지도에 기반한 맵 인터페이스와 연동하여 보다 효율적인 지역 웹 정보검색을 지원한다.

  • PDF

Developing a Hybrid Web-based GIS for Improving Access to Distributed Spatial Data and Spatial Modeling Tools (분산형 공간모델링을 구현하기 위한 하이브리드형 웹기반 GIS의 개발)

  • Jun, Byong-Woon;Park, Chan-Suk;Jo, Myung-He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3 no.2
    • /
    • pp.61-72
    • /
    • 2000
  • The maturation of the Web technology has reshaped the ways in which data are accessed, disseminated, and shared. Thanks to its popularity along with the advance of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four major changes have been further made in tradi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 in relation to access to data, distribution of data, access to GIS functionality, and visualization of multimedia data. Although access to and dissemination of spatial data over the Web has in recent years been addressed in the literature, little research effort has addressed the issue of access to and processing of GIS analysis functions over the Web. This research explores the potential use of Web-based GIS in improving accessibility to distributed spatial data and spatial modeling tools. A prototype Web-based GIS developed in this study focuses on Web-based location-allocation modeling for spatial decision support, and employs a hybrid approach that uses the Arc/Info software as a GIS server and CGM viewer as a client-side plug-in. This research shows that Web-based GIS is a useful vehicle in conducting spatial modeling in the particular user community. In addition, this study represents the possibility of Web-based GIS in developing open spatial decision supporting systems.

  • PDF

Ascertaining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a National Scholarly Web Space Based on Content Analysis (내용 분석을 통한 한국의 학술적 웹 공간 구조 분석)

  • Chung, Young-Mee;Yu, So-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6 no.3
    • /
    • pp.7-24
    • /
    • 2009
  • Since the Web is dynamic, it is necessary to analyze scholarly Web space with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for better understanding of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we analyzed contents of pages and links to ascertai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cholarly Web space in terms of network structure and communication behavior. The result shows that the structure of the original network with all the external links remained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at of the network with activated external links only. However, the purposes of linking vary among scholarly institutions. The centrality measures correlate more strongly with the clustering coefficient than with the constraint index implying the similar explanatory power of the two types of structural indices.

SWOSpark : Spatial Web Object Retrieval System based on Distributed Processing (SWOSpark : 분산 처리 기반 공간 웹 객체 검색 시스템)

  • Yang, Pyoung Woo;Nam, Kwang Woo
    • Journal of KIISE
    • /
    • v.45 no.1
    • /
    • pp.53-60
    • /
    • 2018
  • This study describes a spatial web object retrieval system using Spark, an in - memory based distributed processing system. Development of social networks has created massive amounts of spatial web objects, and retrieval and analysis of data is difficult by using exist spatial web object retrieval systems. Recently, development of distributed processing systems supports the ability to analyze and retrieve large amounts of data quickly. Therefore, a method is promoted to search a large-capacity spatial web object by using the distributed processing system. Data is processed in block units, and one of these blocks is converted to RDD and processed in Spark. Regarding the discussed method, we propose a system in which each RDD consists of spatial web object index for the included data, dividing the entire spatial region into non-overlapping spatial regions, and allocating one divided region to one RDD. We propose a system that can efficiently use the distributed processing system by dividing space and increasing efficiency of searching the divided space. Additionally by comparing QP-tree with R-tree, we confirm that the proposed system is better for searching the spatial web objects; QP-tree builds index with both spatial and words information while R-tree build index only with spatial information.

Applicability of Responsive Web of Geo-Spatial Web Services (공간정보 웹 서비스의 반응형 웹 적용성)

  • PARK, Han-Saem;LEE, Ki-W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8 no.3
    • /
    • pp.52-62
    • /
    • 2015
  • As a recent dominant web trend, mobile first strategy has been emphasized, and interests with respect to responsive web that provides effective methodology to various mobile devices and their display resolution are also increasing. However, it is an early adoption stage in web mapping for geo-spatial applications. This study is to present some practical examples of layouts using responsive web technologies linked to geo-spatial open platform. Suggestive consideration points for further application of responsive web to geo-spatial services are presented. On test implementing, HTML5, JavaScript, and CSS3 were used, and web mapping processing using OpenLayers was performed. It is expected that responsive web applications for contents derived from geo-spatial information or location data increase.

The Design of 3D Web Map Service Components (3차원 웹 맵 서비스 컴포넌트의 설계)

  • Choo, Dae-Soo;Choi, Hae-Ock;Lee, J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7-10
    • /
    • 2001
  • 웹의 특징인 조작의 간편함, 뛰어난 접근성 등으로 인해 웹을 통한 지리정보의 검색, 접근을 위한 웹 맵 서비스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지리정보 분야의 대표적인 컨소시움인 OGC 를 통해서 웹 맵 서비스를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가 정의됨에 따라 향후 웹을 통한 지리정보의 공유가 활발히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런데, 현재 정의된 웹 맵 서비스에는 3 차원 맵 서비스를 고려하고 있지 않다. 왜냐하면, 3 차원 데이터 모델에 따라 구축된 공간 데이터가 거의 없으며, 맵 출력을 위한 출력 요소 정의 언어인 SVG 또는 WebCGM 등이 3 차원 기하를 표현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는 OCG 의 웹 맵 서비스를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를 준수하면서, 최소한의 확장을 통해 3 차원 맵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웹 맵 서비스 컴포넌트를 제안한다. 3 차원 맵은 2 차원 공간 데이터와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하므로, 3 차원 공간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추가의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eo-Browser using Geo-spatial Processing Middleware based on Open Source (오픈 소스 기반 공간정보 처리 미들웨어를 이용한 Geo-Browser 설계 및 구현)

  • Park, Yong-Jae;Lee, Ki-Won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9.03a
    • /
    • pp.181-185
    • /
    • 2009
  • Web 2.0 패러다임이 공간정보 처리분야에서 정착되면서 국내외에서 웹 기반의 다양한 공간정보 콘텐츠 서비스가 개발되고 활용되고 있다. 또한 새로운 기술발전 추세에 따라 다양한 공간정보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사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 개발도 중요한 연구 주제로 간주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KML과 같이 제한적인 웹 표준 공간정보 자료 구조를 주로 다루는 클라이언트 기반의 Web 2.0 웹 컴퓨팅 기법을 보다 확장하여 미들웨어와 연동시키는 계층적 웹 서비스 구조를 설계하고 이를 기반으로 시험구현을 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 적용된 미들웨어는 공개 소스로 제공되는 Deegree를 적용하였으며 클라이언트 모듈 처리는 Google Maps API에서 제공되는 기만 클래스를 채택하였다. 공개 소스 및 공개 API을 적용한 웹 GIS 개발은 시스템 확장성이나 추가 개발에 대한 접근이 용이하므로 수요자의 요구 사항에 즉시 대응할 수 있다는 주요 장점이 있고 본 연구 결과에서도 이러한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인 Geo-Browser는 OQC의 다양한 GIS 국제 표준을 바로 지원하므로 사용자가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GIS 엔진이나 응용 프로그램과도 연동이 가능한 구조로 설계하였다.

  • PDF

Design of a Conceptual Geosemantic Web Service Framework supporting Textual Geospatial Information (비구조적 공간정보를 지원하는 개념적 지오시맨틱 웹 서비스 프레임워크의 설계)

  • Ha, Su-Wook;Nam, Kwang-Woo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9 no.4
    • /
    • pp.91-97
    • /
    • 2011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rchitecture for geosemantic services. With the rapid progress of web services,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and popularization of smart phone in recent years, a lot of applications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are being developed. Moreover the search portals empowered by semantic web technologies are enabling general users to access on-line resources more easily. However, several studies in GIS domain have pointed out the practical limitation of existing service patterns, which are limited only to linking heterogenous spatial databases, insufficient for several important use cases. Hence we draw functional elements of geosemantic services from GIS and semantic web standards, and present the use cases and a new architecture for geosemantic services. This approach could set a foundation to implement geoemantic ser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