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월-이

Search Result 23,325,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주5일제와 도서관, 현장의 목소리를 듣다

  • Park, Gyeong-A
    • KLA journal
    • /
    • v.45 no.4 s.347
    • /
    • pp.22-28
    • /
    • 2004
  • '주5일근무제(이하 '주5일제')와 도서관'이 왜 지금 이 시점에 우리 도서관계의 이슈가 되고 있는가. 왜냐하면 지난해 9월 근로기준법이 개정되면서 이제까지는 자율적으로 실시해오던 주5일제가 앞으로는 반드시 지켜야 할 제도가 되었으며, 그 시행 시점이 바로 2004년 7월이기 때문이다. 7월이라면 이제 얼마 남지 않았는데 도서관계의 논의는 과연 어느 단계에 와 있는 것일까. 우리 "도서관문화" 편집팀은 이번 4월호에서 "주5일제와 도서관"을 두고 우리 도서관계 현장에서 지난 몇 년간 무엇을 고민해왔으며 또한 그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 현재 어떤 대비책을 마련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번 시도가 도서관계의 주5일제 대비 방안 마련의 기초적인 자료가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 PDF

방사성폐기물 운반차량 개발과 활용전망

  • 성래경
    • Nuclear industry
    • /
    • v.16 no.3 s.157
    • /
    • pp.40-48
    • /
    • 1996
  • 한국전력공사 고리원자력본부는 방사성폐기물 드럼운반용 비개방형 차량을 국내 최초로 개발하여 최근 운영에 들어갔다. 고리원자력본부 기술지원실이 95년 1월부터 자체기술로 설계에 착수하여 95년 8월부터 12월까지 5개월 동안 8천7백만원의 예산을 들여 시제품을 제작, 이번에는 운영을 시작한 이 차량은 천정 크레인 또는 지게차 등으로 드럼 상$\cdot$하차 작업이 가능하도록 현장여건에 맞게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고리원자력본부는 이 차량을 운영하게 됨에 따라 방사성폐기물 드럼 소내운반시 발생할 수 있는 부지내 방사능오염 소지를 완전히 배제할 수 있게 되었으며, 타 원자력발전소에서도 이 차량을 도입할 예정이다.

  • PDF

Improvement of the Seed Production Method of the Pen Shell -The Occurrence of Larvae and the Early Growth of the Spat- (키조개 채묘의 개발연구 -부유유생의 출현과 부착치패의 초기성장-)

  • YOO Sung Kyoo;LIM Hyun Sig;RYU Ho Youmg;KANG Kyoung Ho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21 no.4
    • /
    • pp.206-216
    • /
    • 1988
  • In order to set up a predictive model for effective spat collection of pen shell, Atrina (Servatrina) pectinata, the survival rate and time required at each developmental stage of drifting larvae were surveyed during the period from June 8 to October 16 in 1986 at the Yongku inlet Chilchon Is., Chinhae Bay, the southern part of Korea. And also the experiments of spat collection were carried out In Yongku inlet during the period from July 6 to November 23 in 1987 and In Yoja Bay during the period from July 9 in 1987 to February 15 in 1588. The advent of D-shape larvae ca. $135\times144um $ long had three peaks in that area: August 1, 12 and 25. Umbo shape larvae ca. $300\times317um$ and full grown larvae ca. $455\times450um$ long also sowed three peaks: August 9, August 22 and September 4 for the former, and August 23, September 3 and September 16 for the latter. Nine to ten days was required for D-shape larvae to develop to umbo shape larvae. The instantaneous survival rate was 0.94 with a total survival rate if $54\%$ at this intermorphological stage. The required time of umbo to full grown larvae varied from twelve to fourteen days with a instantaneous survival rate of 0.88 and total survival rate of $19\%$. Twenty-two to twenty-three days was required for each group of the D-shape larvae to reach a fullgrown stage, and their total survival rate was $10\%$ during this developmental period. The number of the spat attached to the spat collector is 0.16 inds. per $m^2$ vertical spat collector in Yongku inlet and 0.48 inds. per $m^2$ horizontal spat collector in Yoja Bay. The average shell length of spat attached was $0.51({\pm}0.15)\;mm$ on September $27,\;38.52({\pm}6.98)\;mm$ on November 21 in 1987 and $49.00({\pm}10.77)mm$ on February 15 in 1988.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vapotranspiration data in Muan Flux tower (무안 증발산량 관측소 운영 결과 비교 분석)

  • Oh, Sung Ryul;Son, Kyung hwan;Choi, kyu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44-244
    • /
    • 2017
  • 2015년 국토교통부(영산강홍수통제소)에서는 물 순환 과정의 규명에 이용되는 증발산량 자료의 제공을 목적으로 무안지역에 플럭스 타워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무안 플럭스 타워는 에디공분산 방법을 이용하여 증발산량 자료를 관측하는 방식으로, 본 연구에서는 무안 관측소에서 생산된 자료의 정상성 검토를 위하여 2015년과 2016년 운영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무안관측소의 2015년도 연 증발산량은 615.8mm(연 강수량 대비 56.0%)로 나타났으며, 2016년도 연 증발산량은 721.5mm(연 강수량 대비 49.5%)로 나타났다. 연 증발산량은 전년대비 약 100mm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강수량 대비 비율은 6.5%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015년 대비 2016년 무강우일수는 6일 증가 하였으나, 실제 순복사에너지는 $18,320w/m^2$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이 차이는 2개년 평균치의 약 2% 내외 수준으로 예년대비 순복사에너지는 거의 비슷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복합적 요인에 의해 정량적 크기가 결정되는 증발산량의 특성상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나, 2016년의 경우 전년대비 증가한 강우의 영향이 지배적이였던 것으로 검토되었다(2015강수량 : 1,099mm, 2016강수량 : 1,457mm). 월별 증발산량 비교 분석결과 정량적인 차이는 존재했으나 전년과 마찬가지로 1월부터 증발산량이 증가하여 8월에 최대 증발산량을 보인 후 감소하는 형태를 나타냈으며, 5월과 6월이 증발산량이 역전되는 양상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는 남부지역 모내기 시기인 5월경 관개용수(Irrigation water) 공급에 따른 유입원의 증가와 함께 5월 대비 6월(장마철) 흐린날(Cloudy condition) 증가에 따른 상대적인 순복사에너지(5월: 약20만$w/m^2$, 6월: 약17만$w/m^2$)의 감소가 주 원인이였던 것으로 검토되었다. 이를 통해 볼 때 무안 증발산량 자료는 추가적인 경년변화 연구가 필요하겠으나, 국가통계자료로써 유의미한 자료로 판단되며, 향후 증발산량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및 관측망의 확대를 통해 국가 이수관련 정책수립에 유용한 자료로 이용 될 수 있을것으로 판단된다.

  • PDF

Relation between the Heat Budget and the Cold Water in the Yellow Sea in Winter (동계의 열수지 황해냉수와의 관계)

  • Han, Young-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 /
    • v.14 no.1
    • /
    • pp.1-14
    • /
    • 1978
  • To study the fluctuation of cold water in the East China Sea in summer heat budget of the Yellow Sea in winter was analysed based on the oceanographic and meteorological data compiled from 1951 to 1974. The maintain value of insolation was observed in December($160{\sim}190ly/day$), while the maximum in February ($250{\sim}260ly/day$). The range of the annual variation was found to be less than 50 ly/day. The value of the radiation term ($Q_s-Q_r-Q_h$) was remarkably small (mean 20 ly/day) in winter. It was negative value in December and January, and a positive value in February. The minimum total heat exchange from the sea ($Q_({h+c}$) was found value (471 ly/day) in February 1962, and the maximum (882 ly/day) in January 1963. The annual total heat exchange was minimum (588 ly/day) in 1962, and maximum (716 ly/day) in 1968. If the average deviation of mean water temperature at 50m depth layer were assumed to be the horizontal index ($C_h$) of colder water, $C_h$ is $C_h=\frac{{\Sigma}\limit_i\;A_i\;T_i}{{\Sigma}\limit_i\;A_i}$ where $A_i$ denotes the area of isothermal region and $T_i$ the value of deviation from mean sea water temperature. The vertical index ($C_v$) of cold water can be expressed similarly. Consequently the total index (C) of cold water equals to the sum of the two components, i.e. $C=C_h$$C_v$. Taking the deviation of mean sea surface temperature(T'w) in the third ten-day of Novembers in the Yellow Sea as the value of the initial condition, the following expressions are deduced : $C-T'w=32.06 - 0.049$ $\;Q_T$ $C_h-T'w/2=12.20-0.019\;Q_T$ $C_v-T'w/2=18.07-0.027\;Q_T$ where $Q_T$ denotes the total heat exchange of the sea.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these regression equations were found to be greater than 0.9. Heat budget was 588 ly/day in winter, and minimum water temperature of cold water was $18^{\circ}C$ in summer of 1962. The isotherm of $23^{\circ}C$ extended narrowly to southward up to $29^{\circ}N$ in summer. However, heat budget was 716 ly/day, and minimum water temperature of cold water was $12^{\circ}C$ in summer of 1968. The isotherm of $23^{\circ}C$ extended widely to southward up to $28^{\circ}30'N$ in summer. As a result of the present study, it may be concluded that the fluctuation of cold water of the East China Sea in summer can be predicted by the calculation of heat budget of the Yellow Sea in winter.

  • PDF

Comparison of yearly Water Surface Evaporation in The Yongdam Dam Experimental Basin (용담댐시험유역에서의 연도별 수면증발량 비교)

  • Kim, Yong Kuk;Yoon, Tae Seong;Cho, Hyoung Jin;Lee, Hyun 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97-397
    • /
    • 2017
  • 수면증발량은 수자원 계획 및 활용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하지만, 현재 수면증발량관측 지점은 용담댐, 안동댐뿐이다. 이중 장기간 관측 자료가 축적된 용담댐 지점을 대상으로 연도별 수면증발량 관측 자료를 비교 검토 하고자한다. 용담댐에 부착되어 있는 수면증발량계는 0.03 mm 분해능을 가지는 부력식 수위계(BYL-EV250, 대한민국)를 사용하고 있으며, 2014 년도 2 월부터 17 년 현재까지 관측을 하고 있다. 관측 자료로 보았을 때, '14년도 가장 많은 증발량이 발생된 달은 9월(102.63 mm/month), 적은 달은 2월(22.99 mm/month) 이였으며, '15, '16년는 각각 100.91 mm/month, 114.38 mm/month로 8월이 높고, 29.11 mm/month, 25.83 mm/month로 2월이 가장 적었다. 아래 표는 14~16년도 월평균 일 증발량 및 총 수면증발량을 나타낸 것이다. 월별 일평균 증발량을 비교한 결과 0.92~3.08 mm/day로 나타났으며, 5월부터 10월까지 많은 량(약 2.9 mm/day)이 증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 월평균 일 증발량은 9 월이 3.08 mm/day 로 증발량이 많고, 2 월이 0.92 mm/day로 적은 증발량의 관측이 되었다. 총 수면증발량은 8 월이 92.73 mm/month 으로 증발량이 가장 높았으며, 2 월이 25.97 mm/month 로 가장 적은 증발량이 관측되었다. 저수지 수면에서의 증발은 풍속, 수온, 대기온도, 일사량 등에 영향을 많이 받음에 따라 수온이 가장 낮은 2월에 증발량이 가장 적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부산 동남부 지역의 해수침입 범위 연구

  • 심병완;정상용;이민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2.04a
    • /
    • pp.143-147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산 동남부 해안지역의 대수층에서 염수화에 미치는 조건들을 파악하고 해수침투 범위를 추정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Tidal damping method와 SUTRA 모델링을 실시하고 대수층의 특성 및 염수화가능성을 파악하였으며, 모델링 결과의 타당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전기비저항 탐사를 실시하였다. Tidal damping method에 의한 시간지연과 조석효율효과를 계산하여 대수층의 저류계수를 산출한 결과 시간지연 현상에 의한 방법이 적합하게 나타났다. SUTRA 모델링 결과, 건기인 5월에는 종분산 지수가 2.5m 일 때 500ppm의 TDS 등치선을 기준으로 해안에서 약 510m 내륙까지 해수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우기인 7월에는 강수로부터 다량의 지하수 함양에 의한 지하수위 상승을 고려하여, 평균수리경사를 0.008로 설정한 조건에서는 500ppm의 TDS 등치선을 기준으로 해안에서 약 410m 내륙까지 해수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난다. 5월과 7월의 전기비저항 탐사결과를 비교하면 7월의 전기비저항 분포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 이유는 6, 7월의 강수에 의한 지하수의 유입이 증가하여 침투된 염수의 농도가 다소 낮아졌기 때문이다.

  • PDF

겨울철 딸기재배 "키$\cdot$포인트"

  • 김경제
    • The Bimonthly Magazine for Agrochemicals and Plant Protection
    • /
    • v.6 no.12
    • /
    • pp.83-89
    • /
    • 1985
  • 겨울동안 딸기재배의 작형은 딸기가 휴면기간이 매우 짧으면서 꽃눈분화가 조속히 이루어지는 품종을 선택하여 재배하는데 일반적으로 촉성, 반촉성 및 억제재배 등이 있으며 촉성재배는 비닐이나 섬피 등 보온을 실시하여 11월$\~$1월부터 2$\~$3월에 걸쳐서 수확을 목적으로 재배하는 작형이다. 반촉성재배는 촉성재배보다 보온을 늦게 시작하여 촉성재배의 수확말기인 3$\~$4월에 수확하여 출하하는 재배형이다. 억제재배에서와 같이 보통육묘를 실시해서 월동시킨 다음 봄에 생육이 시작하기 전인 2월 하순경에 모를 굴취하여 0$^{\circ}C$내외의 환경하에 장기간 저장하여 강제휴면을 시켰다가 8$\~$9월에 정식한 후 10$\~$11월경에 수확하는 작형이다. 이들 기본작형을 변형시켜 다시 세분화된 재배형으로 나눌 수도 있다. 본란에서는 현재 수익성이 높고 비교적 안전한 딸기 반촉성재배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 PDF

91년도 2/4분기 건설허가 동향분석

  • 한국주택협회
    • 주택과사람들
    • /
    • s.16
    • /
    • pp.28-31
    • /
    • 1991
  • 1. 2/4분기중 전국의 건축허가면적은 전년동기에 비하여 6.4$\%$가 감소하여, 1/4분기에 전년동기대비 12.3$\%$증가한 것에 비해 현저한 감소현상을 나타낸 바, 이는 건축허가제한 강화조치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건축허가면적은 1월과 2월에 전년동기대비 각각 28.9$\%$, 18.4$\%$의 증가를 나타내었으나, 3월들어 1.1$\%$가 감소하면서 감소세로 돌아선 이후, 4월, 5월, 6월에 각각 0.2$\%$, 16.4$\%$, 0.6$\%$의 감소를 나타내면서 지속적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6월의 경우 감소추세가 둔화된 사유는 ''90.5.15 건축허가제한조치에 따라 ''90년의 허가면적 자체가 대폭 감소한 데 기인한다. 2. 2/4분기중 허가면적을 용도별로 보면 주거용 건축이 5.6$\%$ 감소하였으며, 상업용은 17.1$\%$의 감소를 보였으나, 공업용은 제조업 분야의 시설투자활성화 영향으로 13.6$\%$의 증가율을 나타내고 있다. 3. 이와 같은 허가면적의 감소추세는 허가제한 강화조치에 따라 하반기에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 PDF

ITU-T 제4차 NGN FG 회의

  • 이재섭
    • TTA Journal
    • /
    • s.97
    • /
    • pp.172-177
    • /
    • 2005
  • 지난 2004년 ITU-T내의 연구그룹 중에서 가장 바쁘게 지낸 그룹이 있다면 그중에 첫째로 NGN Focus Group을 삼을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지난 2004년이 ITU-T의 한 연구회기를 마무리 짓는 시간이었던 점과, 이 Focus Group이 2004년 4월 주요 산업체 및 사업자들의 요구로 전격적으로 만들어진 NGN 관련 표준화 그룹이라는 점에서 빚어낸 결과라 할 수 있다. 2004년 6월 첫 번째 회의를 시작으로 7월 2차, 9월 3차 회의에 이르기까지 4개월 동안 3차례에 걸친 회의를 치렀다. 이어서 지난 2004년 11월 30일부터 12월 3일까지 스위스 제네바에서는 NGN Focus Group의 회의가 있었다. 금번 회의는 4번째 맞는 Focus Group 회의로서 2004년의 활동을 마무리하는 한편, 지난 WTSA 2004를 통해서 결정된 NGN Study Group(SG13) 및 SG와의 관계 정립을 위한 매우 중요한 회의가 되었다. 본 원고의 내용은 각 Working Group의 주요 결과는 금번 회의에 참가한 국내 대표단들의 참가 보고서를 기반으로 그 내용을 정리한 것임을 밝혀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