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월동개체

검색결과 147건 처리시간 0.032초

월동 전후 물장군(Lethocerus deyrollei: 물장군과, 노린재목) 개체군의 형태적 특징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between New-born and Over-wintered Populations of the Giant Water Bug (Lethocerus deyrollei: Belostomatidae, Hemiptera))

  • 김선이;윤태중;김동건;조신일;배연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11-115
    • /
    • 2008
  • 본 실험은 월동 전후 물장군 개체군의 형태적 차이를 구명하고자 경기도 교동도에서 채집된 월동 전후 관계가 명확한 성충 개체들(월동 전후 개체군)과 실험실에서 사육으로 얻은 성충 개체들(사육개체군)을 대조군으로 이용하여 일반적인 외부형태를 비교 관찰하였다. 관찰의 결과, 월동 전후 개체군간의 외부구조에 있어서의 근본적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앞다리 밑마디의 연결 부위에 위치한 앞가슴 배면의 가장자리와 앞다리 넓적마디의 종아리마디 연결 부위는 월동 후 개체군에서 크게 마모되어 있었다. 또한 월동 전 개체군에서는 가운데 다리 발톱 길이가 2번째 발목마디의 1/2이상이었으나, 월동 후 개체군에서는 1/2미만이었다. 반날개(hemelytra)로 되어 있는 물장군 앞날개 막질부분의 가장자리는 월동 후 개체군에서 크게 찢겨 마모되었고, 날개와 마찰이 일어나는 배마디 등면 중 5번째 배마디 표면의 털의 수가 월동 후 개체군에서 현저히 감소하였다.

기후요인에 의한 철원지역 두루미류 월동개체수 변화 - MODIS 위성영상을 이용한 눈 덮임 범위와 지속기간의 영향 - (Wintering Population Change of the Cranes according to the Climatic Factors in Cheorwon, Korea: Effect of the Snow Cover Range and Period by Using MODIS Satellite Data)

  • 유승화;이기섭;정화영;김화정;허위행;김진한;박종화
    • 생태와환경
    • /
    • 제48권3호
    • /
    • pp.176-18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기후요인에 의하여 두루미류의 월동개체군 규모가 달라질 것으로 가설을 세웠다. 그중 가장 추운 시기인 1월의 기후변수에 의하여 월동개체수가 달라질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특히, 재두루미의 경우 두루미와는 달리 철원지역 이외에 눈 덮임의 영향이 적은 대체 월동지(일본의 이즈미)가 있다. 따라서 철원지역 눈 덮임의 정도에 따라 연도별로 개체군의 증감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이에 일반적으로 분석되는 기상청의 기후자료와 함께 MODIS 위성영상을 이용한 눈 덮임 범위 자료를 활용하여 요인을 분석하였다. 철원지역 두루미류의 개체수 자료는 2002년부터 2014년까지의 1월 개체수를 활용하였다. 철원지역의 기온은 2002년부터 2007~2008년도 월동기까지 증가하다가 감소하며 2011~2012년도 월동기에 가장 낮은 온도를 보였다. 이와 함께 온량지수도 유사한 증감의 경향을 보였다. 신적설량은 2002년 이후 낮게 유지되었으나 2010~2011, 2011~2012년 크게 증가한 형태를 보였다. 눈 덮임의 범위는 2002년부터 2005~2006년까지 급속히 감소하였다가, 2009~ 2010, 2010~2011년 월동기에 급격히 증가한 양상을 보였다. 재두루미의 월동개체수는 다른 기후요인에 비하여 1월의 눈 덮임 범위가 넓을수록 감소하였으며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하지만 두루미의 개체수는 일반적 기후요인뿐만 아니라 눈 덮임 관련 요인에 대해서도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두루미의 개체군 변동은 기후요인에 변화하지 않고 다른 서식지 선택요인 (안정적 잠자리, 취식지 넓이 등)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재두루미의 월동개체수는 다중 회기분석에서 눈 덮임 범위 및 기간의 로그값과 유의미한 회귀관계가 성립하였다. 따라서 재두루미의 월동개체수는 월동기 눈 덮임의 범위에 영향을 받으며 이는 눈 덮임에 의해 먹이원인 낙곡을 찾기 힘들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재두루미의 개체수 변화는 다른 월동지로 이동한 것으로 보이며, 눈 덮임의 영향이 적은 월동지인 일본의 이즈미시로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즈미 월동지의 재두루미 개체수와 철원의 개체수는 음의 상관관계를 가져 서로 연관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Orchargrass 품종의 월동성 비교 (Comparison of Winter Hardiness in Orchardgrass Varieties)

  • 이주삼;강만석;한학석;한성윤;김기준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18-225
    • /
    • 1992
  • 대관령지역에서 orehardgrass 17개 품종을 공시하 여 월동성지수와 상대경수출현율당 개체중에 의한 월동성의 품종간 차이를 비교함과 동시에 월동성검 정에 유효한 형질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1. 월동전 유식물체의 초세는 l번초의 개체중과 상대경수출현융당 개체중과는 유의한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2. I번초의 개체중은 개체당경수,I경중,포장생존율, 출수율 및 출수경중과는 유의한 정상관이 인정되었다 3. I번초의 개체중은 월동성지수와는 5%수준, 상대 경수출현율당 개체중과는 1%수준의 유의한 정상관이 인정되었다. 4 .월동성지수는 포장생존율과 상대경수출현융당 개체중은 1경중 및 출수경중과 각각 1%수준의 정상 관이 인정되었다. 5 월동성 지수에 의하여 2품종군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월동성지수가 100이상인 품종에는 Hallmark, lna, Rancho, Amba, Filippa, Sparta, Hokuto, Kitam midori, Okamidori, Wasemidori, Shinyo, Potomac 그리고 Summer-green의 13개 품종이 포함되었고, 월동성지수가 100미만의 품종에는 Able, Juno, Napier 그리고 Jesper의 4개 품종이 포함되었다. 6. 상대경수출현융당 개체중에 의해서도 2 품종군 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상대경수출현율당 개체중이 l 1.0이 상의 품종에 는 Amba, Okamidori, Wasemidori 그리고 Summer-green의 4개 품종이 포함되었고, 100미만의 품종에는 Able, Hallmark, lna, Juno,Napier, Rancho, Filippa, Jesper, Sparta, Hokuto, K Kitamidori, Shinyo 그리고 Potomac의 13개 품종이 포함되였다 상대경수출현율당 개체중이 1.0이상으로 월동성이 높은 품종은 Amba, Okamidori, Wasemidori, Sum¬m$\varepsilon$r-gr$\varepsilon$en 의 4개 품종이었으며 이 들 품종들의 월 동 성지수는 100이상을 나타내였다. 7 .상대경수출현율당 개체중은 대관령지역(해발 8 800m)에서 월동성을 나타내는 유효한 생태적인 형질 이라고 생각되었다.

  • PDF

경사방향이 목초의 월동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lope Exposure on Winter Hardiness of Grasses)

  • 이주삼;천소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93-98
    • /
    • 1994
  • 경사방향의 차이가 Orchardgrass가 우점된 산지초지에서 목초의 월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 원동전 식물체의 초세는 1번초의 생육과 포장생존율 및 월동성에 미치는 영향이 컸다고 생각된다. 2. 상대경수출현율당 개체중(DW/RTAR)은 초세와 유의한 부의 상관을 나타낸 반면에, 월동전 개체당 경수, 1번초의 개체당 경수, 개체중, 포장생존율 및 상대경수출현율과는 유의한 정상관을 나타내었다. 3. 월동성은 서>북북서>동남동>남남서 사면의 순으로 높았다.

  • PDF

담배나방 월동번데기의 지역간 발육특성 비교 (Survival and Development of Overwintering Pupae of the Oriental Tobacco Budworm, Helicoverpa assulta, from Different Locality)

  • 한만위;이준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27-135
    • /
    • 1998
  • 담배나방의 월동생태를 규명하기 위하여 휴면 유기시기에 지역별로 유충을 채집하여 휴면용을 얻은후 수원과 진주등에 묻고 월동용의 생존욜과 발육기간을 조사하였다. 휴면용의 월동 중 생존육은 5%미만으로 매우 낮은 반면, 인공사육용기에 담아서 흙에 묻었을 경우 60%이상의 높은 생존율을 나타냈다. $25^{\circ}C$ 항온조건에서 발육기간은 지역이나 시험연도 또는 보관환경에 따라 20.4일에서는 43.9일로 개체간 변이가 컸다. 월동양상은 30일 이내에 우화하는 개체들과 30일이상 걸리는 개체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30일 이상인 개체의 비율은 중부지방이 남부지방보다 높았다. 반면 중부지방에서 채칩한 개체를 남부지역인 진주 야외조건에 보관할 경우 그 비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천연기념물 제 243-1호 독수리(Aegypius monachus)의 월동실태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Wintering of Aegypius monachus, No. 243-1 Natural Monument Bird)

  • 진선덕;유재평;백인환;한성우;김성만;한갑수;강태한;김인규;유승화;이기섭;김수호;김태좌;김성현;최종수;홍길표;조해진;빙기창;강정훈;박치영;김우열;오홍식;백운기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2권1호
    • /
    • pp.62-70
    • /
    • 2009
  • 2008년 1월 11일부터 12일까지 전국 독수리 주요 도래지 및 관찰기록이 있었던 17개 지역을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본 조사에서 관찰된 독수리 월동 개체수는 총 1,912개체로 과거 독수리월동조사와 비교 시 가장 많은 개체수를 기록했다. 독수리는 경기도와 강원도 지역인 중부지방에 1,500개체(78.45%), 경북, 경남, 전남, 제주 등의 남부지방에 412개체(21.55%)가 월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독수리의 월동 개체군은 장단반도 777개체, 철원 지역 488개체, 산청군 193개체 등 3개 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다. 과거조사와 비교하면 2006년 이후 20~30% 정도가 남부지방으로 분산되고 있다. 이는 먹이주기 행사를 중단한 이후 독수리개체군이 다소 남부지방으로 분산된 것으로 보이나 여전히 특정 지역에 집중되는 결과를 보인다.

밀양에서 월동 애멸구 (Laodelphax striatellus)의 개체군 생태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Bonomics of Overwintering Small Brown Planthopper, Laodelphax striatellus Falen, in Milyang)

  • 배순도;송유한;박경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21-327
    • /
    • 1995
  • 밀양에서 월동하는 애멸구 개체군의 월동생태에 관한 정확한 자료를 얻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월동 애멸구의 영구성 비율은 12월상순에 4령충(약 60%)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3령충(약 30%), 5령충(약 6%), 2령충(약 3.4%), 성충 및 1령충 순서였다. 이러한 월동 애멸구의 영구성 비율과 순서는 채집시기에 따라 변화였으며, 그 결과 3월상순에는 5령충(47-50%)이 가장 많았고, 다음은 4령충(44-46%)이었으며, 4월상순에는 성충이 약 75-81%를 차지하였다. 월동 애멸구의 발육상황을 수치로 나타낸 평균령기는 월동기간동안 계속하여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채집년도간 평균령기의 차이는 연도간 월동기간중의 온도차이에 따른 월동 애멸구 영구성 비율의 차이에 따른 결과였다. 애멸구의 체중도 월동기간동안 계속하여 증가하였다. 월동기간동안 애멸구으 채집밀도는 보리밭보다 휴반에서 월등하게 높았다. 월동기간동안 애멸구 약충기생봉에 의한 기생률은 평균 약 21%였다.

  • PDF

낙동강하류 교량간격에 따른 큰고니(Cygnus cygnus) 월동개체수 차이 연구 (Relationship between Population of Wintering Whopper Swan (Cygnus cygnus) and Bridge Spacing in the Lower Nakdong River, Korea)

  • 홍석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91-197
    • /
    • 2020
  • 본 연구는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는 큰고니의 국내 최대 월동지인 낙동강하구일대 중 낙동강하류부를 대상으로 교량구간별 큰고니 월동개체의 서식처 선호도 차이를 살펴보고자 진행하였다. 2018~2019년 월동기 동안 6개 시계열로 구분하여 조사를 진행하여 분석한 결과 낙동강하류에서 최대 500여 마리의 큰고니가 월동하고 있었다. 하천을 가로지르는 교량을 기준으로 총 7개 구간을 설정하여 조사한 결과 큰고니는 교량과 교량사이가 2km 이내로 협소한 5개 구간에서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고 4km이상의 2개 구간에서만 안정적 개체군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특징은 인위적 간섭이 상대적으로 적어 큰고니의 주 서식지가 되고 있는 낙동강 하구로부터의 거리와는 관련이 없었다. 멸종위기종인 큰고니 월동에 있어 안정적 경계공간 확보는 중요한 요소로 판단되었다. 이에 멸종위기종인 큰고니 서식을 위해서는 교량과 교량 사이가 최소 4km 이상 이격되어야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교량건설과 같은 하천생태계의 단절로 직결되는 개발 또는 복원에 있어 하나의 참고가 될 것이다.

Tall Fescue 품종의 환경적응성 IV. 상대경수 출현율당 개체중에 의한 월동성의 평가 (Environmental Adaptation of Tall Fescue Varieties in Mountainous Pastures IV. Evaluation of winter hardiness by DW / RTAR)

  • 이주삼;한성윤;조익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51-256
    • /
    • 1993
  • 대관령지역의 영년초지에서 재배되는 Tall fescue 품종의 월동성을 상대경수출현율당 개체중으로 평가하였다. 1 상대경수출현율당 개체중에 의하여 Tall fescue 품종을 2품종군으로 분류하였다. 즉 상대경수출현율당 개체중이 2.0이상에는 Forager와 Fuego의 2품종이, 그리고 2.0 미만에는 Barcel, Barvetia, Demeter. Enforcer, Johnstone, Safe 그리고 Stef의 7품종이 포함되었다. 2. 상대경수출현율당 개체중과 1번초의 개체중은 출수관련 형질들과 유의한 정상관이 인정되었다. 3. 상대경수출현율당 개체중은 가을철 최종예취시기의 개체중과 1번초의 개체중과 유의한 정상관이 인정되었다. 4. 상대경수출현율당 개체중이 많은 품종에서 1번초의 개체중이 많았다. 따라서 상대경수출현율당 개체중은 대관령지역에서 Tall fescue 품종의 월동성을 평가하는 유효한 형질이라고 생각되었다.

  • PDF

원주천의 월동수조류 군집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 연구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 Population of the Wintering Waterbirds in Wonju-Stream)

  • 박영욱;이황구;원경호;최준길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09-422
    • /
    • 2017
  • 월동수조류의 군집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원주천을 6구간으로 나누어 조류의 군집 및 하천의 크기, 기온, 수질, 저서성무척추동물, 어류를 조사하였다. 원주천에서 수조류의 군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하천의 구조 및 기온, 수질이었다. 하천의 구조 중 월동수조류의 군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저수로의 폭과 흐르는 물의 넓이인 유폭으로 그 넓이가 넓을수록 월동수조류의 종수와 개체수가 많았으며, 둔치의 폭이 넓어서 저수로의 폭과 유폭이 좁아질수록 개체수는 적었다. 월동기의 기온 변화는 하천의 결빙으로 이어지므로 수조류의 군집에 영향을 미쳤으며 결빙되지 않는 구간은 기온의 하강과 상승에 뚜렷한 증가와 감소를 보였다. 수질조사 항목 중 pH, 수온, COD, BOD, T-N, T-P, 총대장균의 수치는 하류로 갈수록 증가하여 월동수조류의 개체수 증가와 높은 상관성을 보였는데 하류에 위치한 하수처리장의 영향으로 S6의 수질검사 항목의 수치가 높게 나타났으며 월동수조류의 개체수 또한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하수처리장 배출수는 수질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는데 T-N을 비롯하여 여러 항목 수치의 증가는 하천의 영양화를 촉진시키고 이로 인해 유기물질의 축적과 수서생물의 증식을 가져옴으로 이를 먹이원으로 하는 월동수조류의 증가 원인이 될 수 있을 것으로도 여겨진다.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과 어류의 군집은 원주천 모든 구간에서 대체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월동수조류의 군집과의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