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원위부

검색결과 239건 처리시간 0.027초

Stanford A형 급성 대동맥박리증의 외과적 치료 -내막 파열점 위치에 따른 임상경과의 차이- (Surgical Therapy of Stanford Type A Acute Aortic Dissection -Dose intimal tear within replaced aortic segment make any difference in its clinical characteristics-)

  • 조광조;우종수;성시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2호
    • /
    • pp.125-132
    • /
    • 2001
  • 배경 및 목적: Stand A형 급성대동맥박리증의 박리 시발점이 수술치환부위 내에 있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의 임상적 차이점을 분석하여 치료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방법: 1991년 3월부터 1999년 7월까지 본원에서 급성상행대동맥박리증으로 진단되어 상행대동맥치환술을 받은 4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병력기록을 근거로 수술 소견 상 찢어진 부위를 발견한 환자 27명을 1군, 발견 못한 나머지 13명을 2군으로 나누고 환자의 술 전 상태와 수술소견 및 술후 경과의 임상적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결과: 1군에서 술전에 저혈압, 대동맥판막부전, 심허혈, 신부전 등이 더 많이 발생되었다. 수술 소견 상 대동맥근부 이상은 1군에서 많았다. 가성 내강 내 혈종은 2군에서 더 많이 관찰되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술후에 2군에서는 신부전이 더 많이 발생하였고 술후 출혈로 인한 재수술은 1군에서 더 많았다. 조기 수술사망은 1군에 6명으로 사망률은 22.2%이었고 2군에는 사망 례는 없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상행대동맥에서 내막 파열이 발견된 1군에서는 2군에 비해 술전 상태가 불량하였고 대동맥판막 병변으로 수술이 복잡해져 사망률이 높다고 생각된다. 반면 원위부 하행대동맥에서 박리가 진행되어 상행대동맥으로 이어진 2군에서는 1군에 비해 순환 장애로 인해 술후에 신부전이 더 많이 발생되었다. 결론적으로 상행대동맥내막에 파열점이 없었던 군에서 수술 예후는 상행대동맥내막에 파열점이 있는 군보다 더 좋았다.

  • PDF

혈류 유동이 뇌동맥류 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Blood Flow on the Formation of Cerebral Aneurysms)

  • 오지순;이계한;변홍식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567-573
    • /
    • 2000
  • 뇌동맥류는 뇌혈관의 일부가 풍선처럼 부풀어나는 혈관계 질환이며 뇌동맥류의 파열은 사망이나 심각한 후유 장애를 야기한다. 뇌동맥류의 다양한 발생 원인 중 혈관 내부의 혈류의 유동이 중요한 인자로 의심된다. 뇌동맥류의 형성에 미치는 혈류역학적 인자를 규명하기 위해 내경동맥에서 발생한 환자의 내경 동맥류 CT 사진을 이용하여 내경동맥류 모델을 제작하고, 모델 내부의 혈류유동장을 입자영상속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동맥류가 발생한 내경동맥류 모델에서는 동맥류 원위부 목(distal neck)쪽과 반대쪽 내경동맥 벽에서 전단응력이 높게 나타났다. 동맥류 발생에 미치는 혈류역학적 인자를 규명하기 위해 동맥류를 제거한 내경모델을 제작하여 맥동유동에서 내부 유동장을 측정하였다. 심실수축기 동안 휘어진 내경동맥의 바깥쪽 벽에서 혈류의 혈관벽 부딪힘이 관찰되었으며 심실이완기 초반에도 이는 계속 유지되었다. 내경 동맥 내부의 부차적 유동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동맥류 발생 위치에서 혈관 축과 수직인 평면의 유동장이 측정되었다. 혈관 단면에서는 휘어진 혈관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시계방향의 와류가 형성되었으며, 이로 인해 혈관벽 바깥쪽과 시계방향으로 90도 정도 지역에서 전단응력이 높게 나타났다. 혈류 유동 특성과 동맥류 발생위치를 비교해 보면, 혈류의 혈관벽 부딪힘이 관찰되는 위치와 부차적 유동에 의해 전단응력이 크게 나타난 지역은 동맥류의 발생위치와 일치하였다. 따라서 혈류의 혈관벽 부딪힘과 부차적 유동에 의한 전단력이 동맥류 발생의 혈류역학적 요인으로 의심된다.

  • PDF

전 흉부 대동맥 동시 치환술 -1례 보고- (One-stage Replacement of the Total Thoracic Aorta)

  • 김관민;김성철;박표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6호
    • /
    • pp.595-598
    • /
    • 1999
  • 원위부 대동맥궁류가 과도하게 커서 elephant trunk 술식을 적용하기 어려운 경우나 하행 대동맥류가 파열된 경우와 같은 합병증이 동반된, 전 흉부 대동맥을 침범하는 광범위 대동맥류에 있어서는 단계적 수술이 불가능하다. 저자들은 상행 대동맥에서부터 하행 대동맥까지의 대동맥을 동시에 치환하는 수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하였다. 환자는 65세 남자로서 하행 대동맥류의 파열을 동반한 전 흉부 대동맥류를 갖고 있었다. 수술은 횡행 개흉 흉골 절개술을 통하여 접근하여 초 저체온 완전 체외순환 정지 및 역행성 뇌관류하에 시행하였다. 환자는 순조롭게 회복하였으며 신경학적 합병증 없이 퇴원하였다.

  • PDF

폐 전이를 일으킨 재발성 거대세포종 - 증례 보고 - (Metastasising Recurrent Giant Cell Tumor - A Case Report -)

  • 김태승;박준식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73-79
    • /
    • 2001
  • 슬관절을 중심으로 대퇴골 원위부, 경골 근위부에 호발하는 거대세포종은 양성 종양임에도 불구하고 그 생물학적 양상이 때로는 매우 공격적이어서 심한 골파괴를 초래하여 치료적 측면에서 관절의 연골면을 보존하는 문제에 봉착하게 된다. 또한, 소파술과 단순한 골이식술을 시행한 경우 재발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간혹 폐전이에 대한 보고도 있는바 양성으로서의 거대세포종이 항상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본 교실에서는 25세 남자 환자에서 대퇴골 원위부에 발생한 양성의 거대세포종을 골소파술과 methylmethacrylate 충전을 시행하였으나, 수술 후 2년 후에 재발과 더불어 폐 전이를 일으킨 예에 대해서 문헌 고찰과 함께 증례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유경 족배 도서형 피판을 이용한 족부 및 하지 원위부 재건술 (Reconstruction of the Heel and Distal Leg Using Pedicled Dorsalis Pedis Island Flap)

  • 이준모;유창은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12권2호
    • /
    • pp.112-118
    • /
    • 2003
  • Purpose : Soft tissue defect and exposed tendons and bones with concomitant infection in the foot and lower leg have to be covered with vascularized flap as the one stage treatment. Authors have performed 6 cases of pedicled dorsalis pedis island flaps under the loupes magnification and evaluated the benefits. Materials and methods : From 1994 through 2003, we have performed 6 pedicled dorsalis pedis island flaps for reconstruction of soft tissue defects in the foot and lower leg. The causes were trauma in 3 cases, skin necrosis and secondary infection after Achilles tendon repair in 2 cases and acute osteomyelitis in 1 case. Average age was 38 years and 5 cases were male and 1 female. The results of the procedure was evaluated by survival of the island flap, comfort in putting on shoes and walking, comfort in the donor site, comfort in the recipient site and range of motion of the ankle joint. Results : All pedicled dorsalis pedis island flaps survived except 1. Three cases felt discomfort in the dorsum of foot as the donor site and 1 case of the Achilles tendon ruptured and repaired showed limited dorsiflexion of ankle joint. Conclusion : Nonmicrosurgical pedicled dorsalis pedis island flaps under the loupes magnification are one of the useful treatment methods because procedure is rapid, survival is confident and overall reconstructive results are good.

  • PDF

대동맥궁 대동맥류에서 Hybrid 술식의 적용 - 2예 보고 - (Hybrid Procedure for Aortic Arch Aneurysm: Arch Vessels Debranching andThoracic Endovascular Aortic Repair? -2 case Reports-)

  • 김석;권오춘;이섭;조준우;배지훈;박기성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5호
    • /
    • pp.529-533
    • /
    • 2010
  • 대동맥궁 대동맥류에 대한 전통적인 수술 치료는 장시간의 심폐기 사용으로 인해 특히 고위험 환자군에서 술 후 합병증의 발생 및 사망률이 높다. 저자들은 원위부 대동맥궁 대동맥류가 있는 고위험 환자에서 Hybrid 술식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광학식측정장치를 이용한 금속정 내고정 수술의 원위부 나사체결을 위한 로보틱 유도 시스템 (Robotic Guidance of Distal Screwing for Intramedullary Nailing Using Optical Tracking System)

  • ;김우영;고성영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411-418
    • /
    • 2017
  • During the intramedullary nailing procedure, surgeons feel difficulty in manipulation of the X-ray device to align it to axes of nailing holes and suffer from the large radiation exposure from the X-ray device. These problems are caused by the fact the surgeon cannot see the hole's location directly and should use the X-ray device to find the hole's location and direction. In this paper, we proposed the robotic guidance of the distal screwing using an optical tracking system. To track the location of the hole for the distal screwing, the reference marker is attached to the proximal end of an intramedullary nail. To guide the drill's direction robustly, the 6-degree-of-freedom robotic arm is used. The robotic arm is controlled so as to align the drill guiding tool attached the robotic arm with the obtained the hole's location. For the safety, the robot's linear and angular velocities are restricted to the predefined values. The experimental results using the artificial bones showed that the position error and the orientation error were 0.91 mm and $1.64^{\circ}$, respectively. The proposed method is simple and easy to implement, thus it is expected to be adopted easily while reducing the radiation exposure significantly.

견갑골 관절와의 골내 결절종: 증례 보고 (Intraosseous Ganglion of the Scapular Glenoid: A Case Report)

  • 신규호;조용진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7-40
    • /
    • 2012
  • 골내 결절종은 양성 낭종으로서 주로 관절 근처의 연골하골에 위치하며 점액성으로 변화된 섬유성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골내 결절종은 다양한 골격 부위에서 보고되고 있으며 경골 및 대퇴부의 원위부 등에서는 비교적 흔하게 발견되지만, 견갑골의 관절와에 위치한 골내 결절종 증례는 매우 드물며, 문헌 조사상 국외에서 14개 증례만 찾아볼 수 있다. 이에 본 교실에서는 견갑골의 관절와 골내 결절종에 대한 2예를 경험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근,원위부 기관 식도루를 가진 식도 폐쇄증 - 1예 보고 - (Esophageal Atresia with Double Tracheoesophageal Fistula - A Case Report -)

  • 남소현;김대연;김성철;김인구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14권1호
    • /
    • pp.88-93
    • /
    • 2008
  • Esophageal atresia with double tracheoesophageal fistula is a very rare anomaly and is difficulty to diagnose preoperatively. We treated a full term baby with esophageal atresia with double tracheoesophageal fistula. At the first operation, only the distal tracheoesophageal fistula was identified and ligated. When the upper esophageal pouch was opened, intermittent air leakages in sequence with positive bagging were noticed. However, intraoperative bronchoscopy did not identify a fistula in the proximal pouch, and the operation was completed with end to end anastomosis of the esophagus. On the $7^{th}$ postoperative day, esophagography showed another tracheoesophageal fistula proximal to the esophageal anastomosis. A wire was placed in the fistula preoperatively under bronchoscopy. At the 2nd operation through the same thoracotomy incision the proximal fistula was identified and ligated. On the $12^{th}$ postoperative day, esophagography showed neither stricture nor leakage.

  • PDF

요관과 방광의 일차성 국소 유전분증의 자기공명영상: 증례 보고 (MR Images of Primary Localized Amyloidosis of the Ureter and Bladder: A Case Report)

  • 노봉완;김미영;서창해;김윤정;박원희;김루시아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3권1호
    • /
    • pp.93-96
    • /
    • 2009
  • 요관과 방광에 발생한 일차성 국소 유전분증은 매우 드문 질환이며, 전산화단층촬영과 요도방광경 소견상 악성 종양이나 염증성 병변들과 구분하기 어렵다. 저자들은 일차성 국소 유전분증으로 편측 원위부 요관이 비후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하며, T2강조영상에서 저신호강도와 조영증강 T1강조 영상에서 벽의 조영증강형태가 요관 유전분증의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소견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