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원예요법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4초

원예요법이 병동형 호스피스환자의 우울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Horticulture Therapy on Depression and Stress in Patient of Hospice Unit)

  • 권윤희;송미옥;김정남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4394-4402
    • /
    • 2011
  • 본 연구는 원예요법이 병동형 호스피스환자의 우울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09년 4월 29일부터 7월 26일까지 D시의 D병원에 입원된 호스피스 환자를 대상으로 실험군 30명, 대조군 30명을 각각 선정하여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험처치인 원예요법 프로그램은 실내 외 원예활동으로 구성되었으며, 주 6회 3주간 매일 30분씩 제공하였다. 연구결과는 우울과 혈청 코티졸 검사를 통한 스트레스를 측정하였다. 원예요법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우울 변화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원예요법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스트레스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혈청 코티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원예요법은 호스피스환자의 우울과 스트레스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완화적 중재로 사료된다.

오감자극 원예요법이 우울증환자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심박동변이(HRV)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Five Sensory Horticulture Therapy on Perceived Stress and Heart Rate Variability in Adults with depression)

  • 맹현자;강문희;오현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517-523
    • /
    • 2019
  • 본 연구는 지역사회 정신건강복지센터에 등록된 우울증환자를 대상으로 오감자극 원예요법을 제공하고 스트레스와 심박동변이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C 지역 소재 1개 정신건강복지센터에 등록된 성인 우울증환자 26명(실험군=13명, 대조군=13명)이다. 실험군은 8주 1회 총 8회기의 오감자극 원예요법에 참여하였고 대조군은 프로그램 종료 후 원하는 대상자에게 원예요법을 1회 제공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서술통계, t-test, Mann-Whitney U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프로그램 참여 후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지각된 스트레스(t = 3.11, p = .005)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심박동변이 중 Low Frequency(t = -3.39, p = .002), Standard Deviation Normal to Normal(t = -2.48, p = .025)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오감자극 원예요법이 우울증환자의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병동형 호스피스 환자를 위한 원예요법의 개발 및 수면의 질과 면역기능에 미치는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s of Horticulture Therapy on Quality of Sleep and Immune Function in Patients in Hospice Units)

  • 김정남;송미옥;권윤희
    • 임상간호연구
    • /
    • 제16권3호
    • /
    • pp.39-50
    • /
    • 2010
  • Purpose: The study was done to examine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horticulture therapy on quality of sleep and immune function in patients in hospice units.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hospice patients in D hospital in D city. Thirty hospice patien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hirty to the control group.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29 to July 26, 2009. The horticulture therapy program consisted of indoor and outdoor horticultural activities. The horticulture therapy was conducted for 30 minutes, 6 times a week for 3 weeks (a total 18 times). Measures were quality of sleep, and immune function by serum T-cell, NK-cell count.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and t-test with SPSS/WIN 13.0 version. Results: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ing horticulture therapy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hanges in the quality of slee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hanges in the immune function (serum T cell and serum NK cell)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horticulture therapy developed for hospice patients is an effective, palliative intervention program to improve the quality of sleep and immune function of hospice patients.

간호중재로서의 원예요법에 관한 고찰 (Study Review of Horticultural Therapy As a Nursing Intervention)

  • 김부영;김정선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409-419
    • /
    • 2001
  • The reference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nursing importance which was based a theoretical background related to horticultural therapy and to examine the possibility which horticultural therapy was applicable as a nursing intervention through analysis on a preceding study. The research subjects related to the areas of horticultural therapy which related as a nursing intervention, were psychological, physical, environmental, and psycho-social aspects. It is judged that the horticultural therapy is effective in treating depression, emotional disruption or anxiety. It seems to be also effective in increasing the muscular tension and, thereby, expanding the scope of joint movements. Such theories show that horticultural therapy may be a good alternative nursing means. Plants act to create a pleasant interior atmosphere by generating anion, controll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purifying the air, and therefore, the horticultural therapy may be applied to clinic or environmental therapy. When horticultural therapy is used as a nursing intervention, patients' sociopsychological needs may be fulfilled. It has been found that horticultural therapy is instrumental in treating perceptive or emotional disruption, depression, loss of self-respect, disrupted everyday activities and social behaviors. In particular, horticultural therapy seems to be effective in managing chronic patients' crisis or improving life quality. Intervention method applied on a preceding study was activity therapy and scene therapy in the horticultural therapy The above findings suggest that the pro-environmental horticultural therapy is useful as a new paradigm of nursing or holistic nursing conducive to improvement of health. So, it is desirable to prove its effects by applying it in the clinic. In order to apply horticultural therapy as a nursing intervention, it will be necessary to educate nurses on principles and methods of horticultural therapy and encourage them to apply it in nursing and clinics. Moreover, it may well be necessary to develop landscape therapy as nursing intervention as well as a variety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befitting the clinic conditions. On the other hand, we need to provide for some scientific ground for horticultural therapy through continued studies. In this regard, this study which focuses on patients' health improvement through change of environment. may well provide for a framework for such studies.

  • PDF

원예요법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자아존중감, 우울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Cognitive Function, Self-esteem, Depression and ADL of Elderly with Dementia)

  • 박정숙;이현지;김미은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9-82
    • /
    • 200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cognitive function, self-esteem, depress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elderly with dementia. Method: The research design was an one group pre and post-test study desig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 elderly with dementia in K elderly institution in Daegu. Instruments used in this research were MMSE-K(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orean Version) developed by Kwon & Park, SES(Self-Esteem Scale) developed by Rosenberg. SDS(Self-Rating Depression Scale) developed by Zung and BADL(Bathel Activity Daily Living) developed by Bethel. One-hour horticultural therapy was offered to the study participants weekly for 12 week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self-esteem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horticultural therapy. However, in terms of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ADL,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after the horticultural therapy among these elderly. Conclusion: In this research. there were no obvious change i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ADL after the horticultural therapy among participants. Al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escriptive statistics showed some difference in scores on these variables after the intervention. So, it is suggested to conduct a further research with larger samples and pre and post-test design with control group.

  • PDF

원예요법프로그램이 여성 암생존자의 상태불안과 피로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on State-Anxiety, Fatigue and Quality of Life among Women Cancer Survivors)

  • 오경옥;강문희;정관숙
    • 종양간호연구
    • /
    • 제12권2호
    • /
    • pp.125-131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on state-anxiety, fatigue and quality of life (QoL) of among women cancer survivors. Methods: Quasi-experimental study was used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Data were collected from February to June, 2009. Participants consisted of 40 women cancer survivors in community.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once a week for 18 weeks. Data were analyzed with SPSS/WIN 18.0 program using ${\chi}^2$-test and t-test.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state-anxiety and QoL.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at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was effective in decreasing state-anxiety and improving QoL among women cancer survivors.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에게 적용한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스트레스, 우울, 혈당, 혈중 지질 등에 미치는 효과: 무작위 대조군 연구 (The Effects of Horticulture Activity Caring Program on Stress, Depression, Blood Glucose, Lipids for Major Company White-Collar Worker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차현수;이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231-242
    • /
    • 2018
  • 이 연구는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에게 적용한 원예활동 프로그램의 정신적, 생리적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시행되었다. 53명의 사무직 근로자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참여 대상자들은 2그룹(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무작위 할당되었다. 무작위 할당은 Microsoft사의 Excel 2010 program RAND 함수를 이용하여 시행되었다. 8주 실험 동안 실험군에게 1회기 당 90분씩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대조군에게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실험 전과 실험 8주 후에 모든 대상자들의 변수들(스트레스, 우울, 혈당, 총콜레스테롤, HDL-C, LDL-C)을 측정하였다. 실험 전부터 실험 완료 후까지 변수들의 변화가 계산되었다. 자료는 2014년 7월부터 9월까지 수집되었다. SPSS 21.0이 통계 분석에 이용되었다.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우울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졌다(z=-4.57, p< .000). 결론은 원예활동 프로그램은 우울을 향상시키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진다는 것이다.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사무직 근로자의 정신 건강 증진을 위한 보완대체요법으로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오감 자극 노인성 치매 예방 프로그램 (A Five-Senses Stimulation Program for preventing Senile Dementia Diseases)

  • 정민영;박천규;손명동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0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594-600
    • /
    • 2010
  • 노인 인구의 급격한 증가와 더불어 노인성질환도 증가함에 따라 일상적인 생활을 하지 못하는 노인에 대한 요양과 치료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실시로 어느 정도 효과를 거두고 있지만 치매 예방을 통한 유병률 감소는 사회적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중요성이 간과되고 있다. 특히 요양시설이나 복지기관 현장에서는 경증 치매 및 치매 예방에 대한 프로그램은 전무하거나 일시적이고 단편적인 기법만을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치매에 관심이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복지 전문가가 현장에서 비교적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손운동법(촉각), 회상요법(시각), 치료레크리에이션(미각), 음악요법(청각), 원예치료(후각) 등 오감을 자극하는 기법들을 적절히 조화시켜 체계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치매 예방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 PDF

다수성 매실 품종 '옥주' (Breeding of a New Japanese Apricot (Prunus mume Siebold et Zucc.) Cultivar 'Okjoo' with High Yields)

  • 김윤경;강삼석;최장전;조광식;원경호;이한찬;최진호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6호
    • /
    • pp.912-916
    • /
    • 2014
  • 매실(Prunus mume Siebold et Zucc.)은 장미과에 속하는 과수로 한국에서는 전통적으로 기침이나 소화불량의 민간 요법 과실로써 사랑받아 왔다. 1993년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배시험장에서 '옥영'과 '임주'를 교배하여 그 중 과실이 크고 과형이 좋으며 풍산성인 '옥주' 품종을 2006년에 선발, 육성하여 새로운 품종으로 등록하였다(등록번호: 4556호, 2013.6.18). '옥주' 품종의 만개기는 '옥영'보다 4일, '임주'보다 2일 빠르며 꽃잎색은 분홍색이고 꽃가루는 없다. PCR을 이용한 자가불화합인자 분석결과, 옥주의 자가불화합성 인자는 $S_3S_6$이었다. '옥주'의 성숙기는 6월 하순으로 과실은 원형이며 봉합선이 얕다. 평균과중 18.5g이며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7.66^{\circ}Brix$, 산 함량은 4.81%, 과피색은 녹색이지만 햇빛을 많이 받는 쪽의 과실 일부가 적색을 띄기도 한다. 또한, 검은별무늬병과 세균성구멍병의 발생이 비교적 적고, 수량성이 높아 재배농가들이 새로운 품종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클 것으로 생각된다.

양도락을 이용한 사봉혈과 배수혈의 사혈요법 효과 연구 (Study on the Effect of Bloodletting on Back-Shu Points and Sabonghyeul with Ryodoraku)

  • 구진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173-181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위장관 및 순환기 질환에 대한 치료법인 배수혈 습식부항과 사봉혈 점자출혈을 통하여 나타나는 양도락 상의 변화를 분석하여 경락의 존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위장관 및 순환기 질환으로 배수혈 습식부항과 사봉혈 점자출혈 치료를 받은 30명 환자의 기록지를 선별하였다. 환자는 먼저 안정된 상태에서 양도락 검사를 받았다. 그리고 침대에서 안정을 취한 후 사봉혈 자락 시술을 받고, 엎드린 자세를 취한 후 배수혈 부위에 습식부항 치료를 받았다. 이후 부항 부위를 깨끗하게 알콜 소독한 후 다시 양도락 검사를 시행하였다. 본 시술은 우측 F5 (담), H4 (소장), H6 (대장) 부위와 좌측 H5 (삼초) 부위의 전류값과 각 장부의 양도점의 평균 전류와의 차이에 있어서 유의성 있는 감소를 나타내었다(p<.05, p<.05, p<.001, p<.05). F3 (신) 부위에서의 좌측과 우측의 전류값의 격차에 유의성 있는 증가를 나타내었다(p<.005). 배수혈 습식부항과 사봉혈 자락요법은 임상에서 소화기와 순환기 증상을 완화시켰으며 양도락 검진 상에서도 F5 (담), H4 (소장), H6 (대장), F3 (신), H5 (삼초) 양도점에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이것은 임상 증상과 양도락 진단의 동일성을 보여주는 것으로써 경락체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