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원발 부위 불명암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4초

후복막강섬유화증으로 오인된 원발 부위 불명암 1예 (Cancer of Unknown Primary Site Mimicking Retroperitoneal Fibrosis)

  • 박찬걸;유수진;유인설;김진현;심승철;여민경;강성욱
    •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 /
    • 제93권6호
    • /
    • pp.575-581
    • /
    • 2018
  • 저자들은 최초 복부 CT 소견상 후복막강섬유화증으로 오인되었으나 적극적인 조직 검사를 통하여 후복막강에만 국한된 원발 부위 불명 전이암으로 진단된 증례를 경험하였다. 최근 후복막강섬유화증의 진단에 있어서 PET-CT 등 영상 검사가 기술적으로 많은 발전을 이루었지만 후복막강섬유화증의 진단시 악성종양의 배제는 필수적이기 때문에 후복막강섬유화증의 확진은 반드시 조직학적인 검사에 기초하여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는 바이다.

제2열 새열 낭종으로 오인되었던 편도암의 낭성 경부 임파절 전이 1예 (A Case of Cystic Lymph Node Metastasis of Tonsil Cancer Mimicking 2nd Branchial Cleft Cyst)

  • 박승범;노민호;반원우;반명진;박재홍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86-90
    • /
    • 2015
  • Cystic lymph node metastasis of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HNSCC) which presumed to be mainly originated from oropharynx including Waldeyer's ring may present as a benign cystic mass on lateral neck such as branchial cleft cyst. Branchial cleft cyst is one of the most common lateral neck cystic mass which may result in regional infection or lymph adenopathy. Many of previously reported literatures showed the incidence of cystic lymph node metastasis from oropharynx including Waldeyer's ring. Preoperative imaging studies and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cannot provide the accurate results until excision of cystic mass for the diagnostic or therapeutic purpose. Recently, we experienced the rare case of cystic lymph node metastasis from ipsilateral tonsil, which mimicked infected 2nd branchial cleft cyst. Thus, we reported our experience with presentation of case and review of literatures.

  • PDF

두경부 원발부위 불명암에서 치료 후 발견된 비인두암 (Nasopharyngeal cancer found after treatment of unknown primary cancer in the head and neck)

  • 김은지;홍기환;홍용태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53-56
    • /
    • 2018
  • Despite adequate diagnostic work-up, unknown primary carcinoma(UPC) of the head and neck cannot be detected in approximately 2- 3% of patients.(1,2) There are several explanations for a cervical metastasis in the absence of a primary tumor. Here in, we report 2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nasopharyngeal cancer after treatment of unknown primary cancer of the neck. Both patients had radical neck dissections and chemoradiation therapy, but 1 patient showed nasopharyngeal cancers 4 years after treatment and the other patient at 9 months after treatment for the unknown primary cancer. Therefore, we report 2 cases of nasopharyngeal cancer, which were diagnosed after treatment of unknown head and neck primary site.

원발부위 불명암 환자의 한의치험 1례 (Treatment of Cancer of Unknown Primary Site Patient with Traditional Korean Medicine : A Case Report)

  • 김지혜;배겨레;박지혜;박소정;조종관;유화승
    • 대한암한의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5-25
    • /
    • 2016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possibility of treatment of Cancer of Unknown Primary Site (CUPS) patient with Traditional Korean Medicine based Samchilchoongcho-jung and Gunchilgyebok-Jung following chemotherapy. Methods : The patient is a female, who was diagnosed with CUPS, suffering from left flank pain, abdominal discomfort, nausea, vomiting and fatigue after chemotherapy.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acupuncture, pharmacoacupuncture, moxibution, herbal medicine and enema used with herbal decoction for 15 days. The clinical outcomes were measured by numeric rating scale(NRS). Results : After treatment, left flank pain had disappeared and nausea and vomiting was decreased from NRS 4 to NRS 1 respectively. Fatigue was also improved. Conclusion : This case study suggests that Traditional Korean Medicine is effective for treatment of CUPS patients and can improve the quality of life.

근원 불명 전이성 경부암의 방사선치료 (Radiotherapy of Metastatic Neck Nodes from an Unknown Primary Site)

  • 박인규;윤상모;김재철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5권2호
    • /
    • pp.105-111
    • /
    • 1997
  • 목적 : 근원 불명 전이성 경부암으로 방사선 단독치료, 수술 후 방사선치료, 또는 유도 화학요법 및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생존율, 국소 제어율, 치료 실패양상 및 생존율에 미치는 요인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6년 1월부터 1994년 9월까지 근원 불명 전이성 경부암으로 방사선치료를 받은 35례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환자의 연령은 41세에서 74세로 중간값은 58세였으며, 남자 26예, 여자 9예였다. 병기별 분포는 Nl 1예, N2 27예, N3 7예로 대부분이 N2에 속했다. 쇄골상부 임파절에만 전이가 있었던 환자는 7예였다. 조직학적으로는 편평 상피암 22예, 미분화 세포암 6예, 선암 4예였고, 나머지 3예에서는 조직학적 분류를 할 수 없었다 치료방법은, 방사선 단독치료 7예, 유도 화학요법 및 방사선치료 10예, 수술 후 방사선치료 18예였다. 방사선치료는 대부분의 경우에서 경부 임파절과 비인두, 구인두 하인두 부위를 포함하여 시행하였으며, 방사선 치료선량은 40-95.6Gy로 중간값이 600y였다. 유도 화학요법은 5-fluorouracll과 cisplatln으로 2회 시행하였다. 수술 방법은 17예에서 경부곽청수술, 1예에서는 단순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대상 환자의 추적기간은 2개원에서 95개월로 중간값은 15개월이었다. 결과 : 전체 환자의 4년 생존율은 $33.4\%$였고 중간 생존기간은 22개월이었으며 4년 무병생존율은 $33.9\%$였다. 조직학적 유형(선암 대 비선암, p=0.0005), N 병기(p=0.023), 침범된 임파절의 위치(p=0.021)가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인자였다. 방사선 단독치료군에서 2년생존율이 $14.3\%$, 유도 화학요법 및 방사선치료군에서 $35.8\%$, 수술후 방사선치료군에서 $37.5\%$로 치료방법에 따른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으나(p=0.05) 이는 N 병기의 분포 차이에 의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완전관해를 보인 29예 중 추적조사가 가능했던 25예에서의 치료 실패양상은 국소재발 7예, 원격전이 6예, 국소재발과 원격전이가 같이 있었던 경우가 1예로써 원격전이는 $28\%(7/25)$에서 관찰되었다. 추적기간 중 3예(3/35, $8.6\%$)에서 원발병소가 발견되었으며 원발 병소는 구강 1예, 비인두 1예, 하인두 1예였다. 결론 : N 병기, 침범된 임파절의 위치, 조직학적 유형이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였다. N2 이상인 경우는 원격전이로 인하여 수술 눈 방사선 치료의 병합요법으로도 예후가 불량하므로 적극적인 화학요법이 필요하다고 사료되었다.

  • PDF

경부 림프절 종대로 발현한 원발 부위 불명의 전이암 (Metastatic Carcinoma of an Unknown Primary Site Presented to the Neck)

  • 김태용;조요한;김진수;홍용상;이근욱;윤탁;송은기;나임일;신현춘;김동완;이재서;성명훈;허대석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81-188
    • /
    • 2004
  • Background: About 3% of all cancer patients suffer from cancer of unknown primary origin. Generally, carcinoma of unknown primary (CUP) carries a grave prognosis, but primary tumor presented to the neck is exception to this. The aims of study are to determine the role of chemotherapy and to find the prognostic factors in unknown primary tumor presented to the neck. Method and Material: Eighty-four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unknown primary tumor presented to the neck between January 1996 and June 2002. Among 84 patients, 43 patients (52%) received chemotherapy, radiation or surgery were performed in 20 patients (23%), 21 patients (25%) had no treatment. Results: The response rates to chemotherapy were 87.5% in CUP only localized to the neck and 44.0% in CUP systemically involved (p=0.012). A median follow-up duration was 6.4 years and overall median survival time was 9 months. The median overall survival time of patients treated with chemotherapy were 17 months and that of patients who received surgery or radiation were 20 months (p=0.3548). The important prognostic factors were performance status and the number of involved organ. Conclusion: The prognosis of patients with CUP presented to the neck is more favorable than that of patients with CUP of other localization. The effectiveness of chemotherapy for CUP only localized to the neck was similar to that of surgery or radiation. The important prognostic factors were performance status and the number of involved organ.

두경부암 환자에서 수술 및 방사선치료 후 갑상선 기능 저하 (Hypothyroidism Following Surgery and Radiation Therapy for Head and Neck Cancer)

  • 박인규;김재철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5권3호
    • /
    • pp.225-231
    • /
    • 1997
  • 목적 : 두경부암 환자에서 수술 및 수술 후 방사선치료가 갑상선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6년 9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두경부암 환자 중 추적 관찰이 가능했던 71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연령분포는 32세부터 73세였고, 중간값은 58세였으며, 여자 12예, 남자 59예였다. 원발 병소부위는 후두가 34예로 가장 많았고, 구강 12예, 구인두 1예, 하인두 13예, 상악동 2예, 타액선 3예, 근원 불명 전이성 경부암 6예였다. 전후두절 제술 및 경부곽청수술을 시행한 환자는 45예였고, 경부곽청수술만 시행한 환자는 26예였다. 모든 환자에 대하여 방사선치료 전 및 방사선치료 후에 정기적으로 임상검사 및 갑상선 기능검사 (T3, T4, free T4, TSH, antithyroglovulin antibody, antimicrosomal antibody)를 시행하였다. 방사선량은 40.6Gy에서 60Gy였고 중간값은 50Gy였으며 추적관찰 기간은 3개월에서 80개월이었다. 결과 : 갑상선 기능 이상의 빈도는 $56.3\%(40/71)$였다. 31예 $(43.7\%)$는 갑상선 기능이 정상이었고 7예 $(9.9\%)$는 임상적 갑상선 기능저하증이었으며 33예 $(46.5\%)$는 준임상적 갑상선 기능저하증이었다. 갑상선 기능항진증, 갑상선 결절, 악성종양은 발견되지 않았다. 경부곽청수술군보다 전후두절제술 및 경부곽청수술군에서 갑상선 기능 이상이 일찍 발생하였다(p<0.05). 방사선치료 후 갑상선 기능 이상의 발생 빈도에 영향을 준 위험인자는 전후두절제술 및 경부곽청수술과 방사선치료의 병용요법 (P=0.0000)이었다. 전후두절제술 및 경부곽청수술군 45예 중 36예 $(80\%)$에서 갑상선 기능 이상이 발생하였으며 경부곽청수술군 26예 중 4예 $(15.4\%)$에서만이 갑상선 기능이상이 발생하였다. 결론 : 두경부암 환자에서 수술 및 방사선치료 후 갑상선 기능 이상은 비교적 흔한 합병증이며, 갑상선 기능 이상의 발생 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전후두절제술 및 경부곽청수술과 방사선치료의 병용요법이었다. 갑상선 기능 이상을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기 위하여 방사선치료 전 및 방사선치료 후에 정기적인 갑상선 기능검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