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워크폰

Search Result 628,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Technical Trends of Optical Components for WDM-PON (WDM-PON 광부품 기술동향)

  • Jeong, J.S.;Kwon, O.K.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7 no.1
    • /
    • pp.86-92
    • /
    • 2012
  • 스마트폰, IPTV, 클라우딩 서비스 등의 새로운 서비스 등장으로 유발된 데이터 통신량의 폭주는 초고속/대용량 차세대 액세스 네크워크 구현을 필요로 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차세대 액세스 네트워크 방식에서 가장 유력한 후보인 WDM-PON 구현을 위한 주요 광부품인 AWG, 비주입형 광송신기 광원, 주입형 광송신기 광원에 대한 발전 현황을 기술하였다. 광부품 기술의 발전 방향은 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저가화, 대단위 포설을 대비한 소형화, 네트워크의 소비 전력 폭주를 대처하는 저전력화 등으로 요약된다.

  • PDF

Data Processing Framework Design based on Smart Phon by Bluetooth (스마트폰 기반 블루투스 데이터 처리 프레임워크 설계)

  • Nam, Yong-Su;Kim, Tae-Yong;Lee, Hoon-J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0.07a
    • /
    • pp.235-236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블루투스 노드와 블루투스 AP(Access Point)를 이용하여 영화관, 기차역, 은행, 관공서 등의 다양한 장소의 키오스크 서버(Kiosk Server)에 모바일 기기로 원격으로 접속한다. 이때 모바일 단말기기는 사용자의 입력과 출력만을 담당하고 키오스크 서버는 전달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Profile의 프레임워크를 설계 한다.

  • PDF

애드훅 네트워크의 용량 증대 기법 및 구현 이슈 동향

  • Hong, Bi;Im, Yeo-Hui;Choe, Wan;Kim, Seok-Gi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0 no.8
    • /
    • pp.83-88
    • /
    • 2013
  • 현재 이용되고 있는 셀룰러 이동통신에서는 여러명의 사용자의 트래픽을 동시에 처리하는 것은 자원의 직교적인 분할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많아질 경우 각 사용자의 개별 용량이 매우 작아지는 결과를 낳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스마트폰등의 무선 모바일기기의 활성화와 함께 더욱 심화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기법으로 각광 받고 있는 애드훅 네트워크에서의 계층적 협력 통신 기술을 바탕으로 관련 기법에 대해서 알아본다.

Implementation of G-Robot Framework using Fusion Technology (융복합기술을 활용한 G-Robot 프레임워크 구현)

  • Park, Young-Sik;Kim, Do-Hyun;Kwon, Sung-Gab;Yang, Yeong-Yil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11 no.4
    • /
    • pp.332-337
    • /
    • 2010
  • In this paper, we propose G-Robot framework implemented with the fusion technology called RITS(Robot Technology & Information Technology System) for robot control and remote monitoring using the mobile phone. In our implemented system, the mobile phone mounted on the robot controls the robot and sends the images to the mobile phone of the user. We can monitor surrounding area of the robot with mobile phone and control the movement of the robot by sending the data between mobile-phones. Also, if the predefined situation occurs to the robot, the mobile phone on the robot sends the data to the mobile-phone of the user. From the experimental result, we can conclude that it's possible to control the robot and monitor surrounding area of the robot in real time in the region where the 3G(Generation) communication is possible. In addition, we can control the robot using the bluetooth instead of the mobile phone communication if the robot is in visual range.

Indoor Gas Monitoring System Using Smart Phone Application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실내 가스 모니터링 시스템)

  • Choi, Sung-Yeol;Choi, Jang-Sik;Kim, Sang-Choon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12 no.1
    • /
    • pp.49-54
    • /
    • 2012
  • Special applications designed for smart phone, so called "Apps" are rapidly emerging as unique and effective sources of environmental monitoring tools. Using the advantage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this paper propose an application that provides Indoor Gas Monitoring System. In this paper, use four wireless gas sensor modules to acquire sensors data wirelessly coupled with the advantages of existing portable smart device based on Android platform to display the real-time data from the sensor modules. Additionally, this paper adapts a simple gas classification algorithm to inform in-door Gas for users real-time based.

a Design of EDMS for the Smart Work based on the Integration of IT infrastructure (통합 IT 인프라에 기반한 스마트워크 EDMS 설계)

  • Lee, Sun-Woo;Kim, Jong-Soo;Kim, Tai-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12.05a
    • /
    • pp.396-397
    • /
    • 2012
  • 스마트폰의 출현과 더불어 무선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하여 기존에 데스크탑 컴퓨터에서 진행되어오던 많은 업무들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대체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데스크탑 컴퓨터와 스마트폰에 있는 기업의 지적 산출물인 다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 문서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업 구성원들이 만들어내는 다양한 형태의 문서들을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설계하는 방법을 보인다.

  • PDF

Efficient Approaches to Web Contents for Smart Phones (스마트폰을 위한 웹콘텐츠의 효율적 접근 방법에 관한 연구)

  • Kim, Seung-Lee;Yang, J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d
    • /
    • pp.248-253
    • /
    • 2010
  • 스마트폰은 특정공간에 존재해야지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는 데스크탑 컴퓨터의 한계를 극복하였다.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매우 쉽게 얻어 낼 수 있게 되었고, 자신과 관계된 사회구성원과 항상 연결될 수 있게 되었다. 반면 웹 서비스나 웹콘텐츠에서의 데이터의 수정, 변화는 불가피해졌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에 웹 컨텐츠를 어떻게 가져 오는것이 성능면에서, 효율적인면에서, 프로그래머의 편이성면에서 유용할 것인지 연구하고자 한다.

  • PDF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ling System Using Smartphone and ZigBee Networks (스마트폰과 ZigBee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Choi, Hwi-Min;Kim, Gi-Hoon;Hwang, So-Young;Yu, Don-Hui;Joo, Jae-Heu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1.10a
    • /
    • pp.124-125
    • /
    • 2011
  • 최근, 모바일 분야의 급성장으로 고성능 스마트폰의 보급과 함께 이들을 단말기로 활용할 수 있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또한, ZigBee 기술은 저전력 무선 네트워킹에 기반하여 다양한 기기들을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이들의 모니터링 및 제어가 가능하게 하였다. 본 논문은 스마트폰과 ZigBee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An Development of Security System based on The Home Gateway (홈 게이트웨이 기반 보안 시스템 개발)

  • Cho, Soo-Hyung;Lee, Sang-H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b
    • /
    • pp.299-302
    • /
    • 2010
  • 보안 시스템에 사용되는 많은 감시 카메라들이 RS-485 통신 방식을 통해 제어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RS-485 연결을 센서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한 무선 연결로 대체할 수 있다면 선으로 연결할 필요가 없어 설치가 쉬워지고 카메라의 배치 또한 자유로워 질 것이다. 본 논문은 RS-485 연결을 대체할 수 있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감시 카메라 제어 시스템에 대한 개발로 홈게이트웨이와 무선 센서 노드, 스마트폰 감시 카메라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개발 및 구현에 대해 설명한다. 홈 게이트웨이는 유 무선 인터넷 뿐만 아니라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지원하도록 설계되었으며 MicaZ 기반의 센서 노드는 RS-485 인터페이스로 카메라와 연결된다. 넓은 지역에 분산된 보안 카메라들을 제어하기 위해 멀티-홉 또한 지원하도록 구현되었다. 보안 시스템의 감시 카메라들은 스마트폰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어 된다. 실제 환경에 배치하여 실험한 결과, 스마트폰에서의 카메라 제어에 대해 실제 카메라가 매우 빠르게 반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CoAP Protocol Based on Resource Directory for Hyper Connectivity IoT in Mobile Environments (초연결 사물 네트워크를 위한 모바일 환경에서 자원 디렉토리 기반의 CoAP 프로토콜에 관한 연구)

  • Hang, Lei;Jin, Wenquan;Kim, Do-Hyeun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5.10a
    • /
    • pp.566-568
    • /
    • 2015
  • 최근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CoRE(Constrained RESTful Environment) 워킹그룹에서 IoT 프로토콜로 CoAP(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을 표준으로 채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환경에서 CoAP 프로토콜을 이용한 자원 디렉토리 기반의 IoT 노드와 스마트폰 연결 구조를 제시한다. 스마트폰과 IoT(Internet of Things) 노드 사이에 자원 디렉토리를 두고, 이를 통해 스마트폰은 IoT 노드를 검색하고 상황 정보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