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우진각지붕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9초

제주도 촌락 가옥의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Rural Housing in Jeju Island)

  • 이전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369-382
    • /
    • 2016
  • 본 연구는 제주도 촌락 가옥의 유형과 특성을 고찰하는 연구이다. 제주도 촌락 가옥의 유형을 지붕 형태, 지붕 재료, 외벽 재료를 중심으로 고찰하고, 경남 촌락 가옥의 유형과 비교하면서 그 특성을 논의한다. 이러한 촌락 가옥에 대한 연구는 오늘날의 촌락 경관을 이해하기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연구라고 본다. 제주도 촌락 가옥에서는 우진각지붕이나 우진각지붕/평지붕의 지붕 형태가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는 단순평지붕 맞배지붕 눈썹평지붕 등의 지붕 형태가 다수를 차지한다. 그리고 컬러강판, 인조슬레이트, 시멘트, 기와/시멘트, 슬레이트/시멘트 등의 지붕 재료 사용 빈도가 높다. 외벽 재료에서는 시멘트를 단일 재료로 사용한 가옥이 과반수를 차지하고, 그 다음으로 현무암석재/시멘트, 타일/시멘트, 타일, 사이딩 등을 사용한 가옥이 많다. 제주도 촌락 가옥은 지붕 형태와 외벽 재료의 특성이라는 측면에서 경남 촌락 가옥과 사뭇 다른 특성을 나타낸다. 제주도 촌락 가옥의 가장 두드러지는 특성으로는 우진각지붕 가옥이 매우 많다는 점, 팔작지붕 가옥이 매우 희귀하다는 점, 현무암석재를 외벽 재료로 사용한 가옥이 많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 PDF

지역별·시기별 농촌주택의 재료 및 구법 특징 변화 연구 (The changing characteristics of Material and Structure of Rural Housing in the aspect of Period and Region)

  • 배웅규;주대관;정동섭;윤용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6504-6513
    • /
    • 2013
  • 본 연구에서 농촌주택을 대상으로 농촌주택의 구법과 재료의 지역별 시기별 변화 특징 분석결과, 지붕형태는 팔작지붕/우진각지붕(1970)-평지붕(1980)-맞배지붕(1990), 지붕구조재료는 한식목조/간이한식목조-파라펫눈썹지붕/경사슬래브-양식목조-경량철골조, 지붕마감재료는 초가/한식기와-슬레이트-시멘트/강판-아스팔트슁글/샌드위치패널/몰탈방수, 벽체구조재는 한식목조/간이한식목조-시멘트조적조-RC조-경량철골조/양식목조, 벽체마감재료는 흘미장/회벽-치장벽돌쌓기/시멘트미장위 페인트마감-자연석치장/사이딩/타일, 담장재료는 전시기별로 돌담과 시멘트블록, 마당재료는 흙바닥, 콘크리트가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변화특징으로 주택구조, 지붕형태, 지붕구조재료, 벽체마감재료, 외부공간에서 담장재료와 마당재료는 북부지역, 중부지역, 남부지역별로 농촌주택 특징변화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지붕구조재료, 벽체구조재료는 지역별로 유사한 변화양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황룡사 치미와 사용처의 건축조건 연구 (A Study on the Chimi of Hwangnyongsa Temple and the Building Condition of Chimi Installed)

  • 김숙경
    • 건축역사연구
    • /
    • 제31권6호
    • /
    • pp.59-68
    • /
    • 2022
  • This paper is an architectural historical study on Chimi of Hwangnyongsa Temple. In this research, the shape and cross-section of the chimi are review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chimi is a form in which the head part facing the maru is omitted, and the upper and lower body are separated. The upper and lower bonds are assembled into a two types of joint throughout the side of the torso, and then bound with an iron strap. Because of the absence of ridge line in the front, and the narrow curved surface which makes the side plate close to the plane, the entire cross-section is triangular, and the rear plate maintains the shape of the chimi. The naerimmaru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chimi has a slope, so it is clear that the chimi was used on the woojingak-jibung(hipped-roof), and the wing part and back of the chimi are erected on the side roof. The height of the yongmaru and chunyeomaru is about the same and the roofing tiles of those are in contact. The roofing tiles of chunyemaru should be cut to fit the angle of the contacting part. The maru is 30 stories high of roofing tiles as a result of the on-board survey. Based on reference on the shape and timing of the production of chimi, the height of chimi, and the maru is believed to have been built before the Unified Silla Period and used in buildings with at least seven-kan frontage. Buildings corresponding to these construction conditions can be seen as Central hall and East hall in Hwangnyongsa temple.

울릉도 산지 촌락 가옥의 유형과 특성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Rural Housing in Ulleungdo Mountains)

  • 이전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441-454
    • /
    • 2016
  • 이 연구는 지붕 형태, 지붕 재료, 외벽 재료에 초점을 두고 울릉도 산지 촌락 가옥의 유형과 특성을 고찰하는 연구이다. 그리고 울릉도 산지의 촌락 가옥 유형을 제주도와 경남의 촌락 가옥 유형과 비교하면서 그 특성도 논의한다. 울릉도 산지 촌락 가옥의 지붕 형태를 보면, 팔작지붕(42.1%)이 가장 많이 나타나고, 그 다음으로는 맞배지붕(25.8%), 우진각지붕(11.8%), 단순평지붕(10.7%) 등이 많이 나타난다. 지붕 재료를 보면, 컬러강판(69.1%), 아스팔트싱글(11.8%), 시멘트(10.7%) 등이 많이 나타난다. 컬러강판을 지붕 재료로 사용한 가옥이 압도적으로 많고, 기와나 슬레이트를 지붕 재료로 사용한 가옥은 한 채도 없다. 그리고 외벽 재료에서는 시멘트(27.5%), 사이딩(21.3%), 함석(16.8%), 목재(6.7%) 등이 많이 나타난다. 지붕 형태와 지붕 재료의 결합 관계로 본 가옥 유형에서는 팔작지붕-컬러강판 가옥 유형(73채; 41.0%)이 가장 많이 나타나고, 지붕 형태를 중심으로 해서 지붕 재료와 외벽 재료의 결합 관계로 본 가옥 유형에서는 팔작지붕-컬러강판-시멘트 가옥 유형(32채; 18.0%)이 가장 많이 나타난다. 울릉도 산지 촌락 가옥의 지붕/외벽 재료로 함석을 사용하는 빈도가 높은 것, 기와나 슬레이트를 지붕 재료로 사용하지 않는 것, 적벽돌이나 석재를 외벽 재료로 사용하는 빈도가 낮은 것 등은 건축 자재의 운송비용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