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우주 관측

Search Result 1,211,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CubeSat Application for Space Astronomy

  • Jin, Ho;Seon, Jongho;lee, Seongwhan;lee, Jung-Kyu;Lee, Hyojeong;Shin, Jehyuck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2 no.1
    • /
    • pp.40.2-40.2
    • /
    • 2017
  • 인공위성을 이용한 우주망원경 및 우주탐사장비는 천문학 및 우주과학 연구에 매우 중요한 관측 장비로서 지상에서 불가능한 다양한 파장대에서 관측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우주망원경의 경우 개발기간과 비용 또한 상대적으로 매우 큰 규모를 가지고 있다. 또한 장시간의 관측을 위한 관측위성의 운영 신뢰도 확보와 결과 활용을 위해 많은 연구 인력이 투입되는 거대 연구개발 사업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초소형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여러 우주관측 및 실험이 수행되고 있다. 큐브위성으로 명명되어 있는 초소형 인공위성은 크기와 전력의 제한은 있지만 상대적으로 단기간의 개발일정과 저비용으로 전 세계적으로 폭발적인 성장을 하고 있는 관측기술이다. 경희대학교에서는 CINEMA라는 2개의 큐브위성을 개발 운영하였고, SIGMA 라는 큐브위성을 개발하여 발사를 기다리고 있다. 또한 향 후 광학관측을 위한 초소형 인공위성을 기획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천문우주용으로 제작되는 위성이외에도 다양한 기술검증용 위성이 10여기 이상 제작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초소형인공위성의 동향과 향 후 천문우주 관측에 활용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논의 하였다.

  • PDF

암흑성운 Baenars 5의 H$_2$CO 2mm 와 6cm의 관측

  • 이용복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1993.04a
    • /
    • pp.12-12
    • /
    • 1993
  • 암혹성운 B5 영역의 중심 부분을 분자흡수선 BSCO의 6cm와 방출선인 2mmE 관측하였다. 관측은 독일의 Bonn에 있는 전파망원경과 미국의 Arizona주의 Kit Peak에 있는 전파망원정을 사용하였다. 본 관측 결과에서 얻어진 antenna temperature (Ta)의 분포를 mappin 하였다. 이 두 종류의 판측을 상호 비교한 결과 최대 황도의 위치가 서로일치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6cm의 관측결과는 star count 방법에 의하여 결정된 extionction map에 나타나는 중심지역과 거의 일치하나, 2mm 관측은 B5 내에 있는 적외선광인 IRS 1의 위치와 일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른 분자선 관측 결과와 비교하므로써 H2CO의 관측 결과를 분석하였다.

  • PDF

근접 식쌍성들의 극심시각 관측 I

  • 이충욱;박성수;윤요나;김천휘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03.10a
    • /
    • pp.76-76
    • /
    • 2003
  • 근접 식쌍성들의 극심시각의 체계적인 측광관측을 위하여 충북대학교 41동 옥상에 반자동 소형망원경 관측시스템을 구축하였다(이충욱 등 2003). 이 연구는 그 관측시스템을 이용하여 2002년 10월부터 2003년 9월까지 관측한 결과를 소개한다. 관측한 근접 식쌍성들은 Kreiner, Kim & Nha (2001)가 제시한 1,140개의 천체들 중에서 선택하였다. 관측성들에 대한 식 부근의 광도곡선과 새롭게 구한 극심시각들을 제시한다. 또한, 관측 과정에서 부수적으로 발견된 W UMa형 쌍성의 광도곡선을 제시한다.

  • PDF

소형 극자외선 태양망원경 개발

  • 이선민;장민환;이은석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03.10a
    • /
    • pp.84-84
    • /
    • 2003
  • 태양의 극자외선관측은 오존층에서 흡수되어 지상에서는 불가능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주발사체나 로켓을 이용하여 계속적인 관측이 행하여지는 이유는 지구에 영향을 미치는 태양의 활동을 알아내는데 중요한 영역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측이 그동안 어떻게 진행되어져 왔으며, 어느 정도의 데이터를 확보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정리해 보았다. 국내에서도 극자외선 영역의 관측이 가능한 기기를 만들어 자체적인 우주환경 예보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진은 극자외선 태양망원경 EM 개발을 통하여 해외의 기술을 조사하고, 본 개발에 도입하여 국내에서의 제작이 가능한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개발에 이용된 자료들과 개발 결과에 대해서 논의하겠다.

  • PDF

자외선우주관측위성 갤렉스(GALEX)의 초기 관측결과

  • 이영욱;김석환;손영종;이수창;이재현;주종명;노동구;김현숙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03.10a
    • /
    • pp.20-20
    • /
    • 2003
  • 지난 4월 28일 성공적으로 발사된 갤렉스(GALEX) 자외선우주관측위성은 초기 시험운용 및 기기점검을 성공적으로 완료하고 현재 상시관측모드에서 순조로운 관측을 계속하고 있다. 초기 영상관측결과는 발사 전 Calibration 단계에서 예측하던 것과 유사한 해상도와 S/N비를 보여주어, 연구단의 독자적인 과학임무를 포함한 대부분의 과학임무가 계획대로 수행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지금까지 관측된 결과 중, NGS(Nearby Galaxy Survey) AIS(All-sky Imaging Survey), MIS(Medium-deep Imaging Survey), DIS(Deep Imaging Survey) 및 Abell Cluster 에 대한 주요 연구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 PDF

경희대학교 인공위성 관측소 추적시스템의 구동 테스트

  • Park, Chan;Kim, Sang-Jun;Min, Sang-Woong;Seol, Kyung-Hwan;Han, Won-Yong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04.04a
    • /
    • pp.78-78
    • /
    • 2004
  • 인공위성의 추적 및 관측은 일반적인 천체관측 시스템과는 다른 특성을 요구한다. 특히 저궤도 인공위성은 추적 및 관측에 있어서 이러한 시스템의 특성이 더욱 강하게 나타난다. 경희대학교 인공위성관측소(KOSOF: KyungHee Optical Satellite Observing Facility)에서는 인공위성 관측용 시스템을 개발해오고 있으며, 자체적으로 개발한 시스템을 통해 중ㆍ고궤도 인공위성의 측광 및 분광관측을 수행하고 있다. (중략)

  • PDF

달 탐사선의 항행해 결정을 위한 심우주 예비 항법 소프트웨어의 개발

  • Kim, Jae-Hyeok;Song, Yeong-Ju;Park, Sang-Yeong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10.04a
    • /
    • pp.28.4-29
    • /
    • 2010
  • 이 연구는 심우주 추적망(Deep Space Network) 측정 시스템의 구현을 위한 한국형 심우주 항법 예비 소프트웨어(Korean Deep Space Orbit Determination Program version 1; K-DSODP ver.1)의 개발을 목표로 한다. 연구의 주 내용은 심우주 항법을 위한 기초 기술 연구로 지구로부터 달까지 진행하는 탐사선의 궤적 추정에 대한 것이며, 연구의 시작에 앞서 사용될 관측 데이터를 얻기 위해 한국형 심우주 항법 관측데이터 생성 소프트웨어(Korean Deep Space Observation Data Generation Program version 1; K-DSODGP ver.1)를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임의의 잡음이 추가된 가상의 관측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 관측 데이터를 실제 궤도로 상정하여 기하학적인 관측 모델을 수립하였고, 일정한 시간 간격동안 모은 임의의 관측 데이터를 가지고 궤도 결정을 수행하여 추정된 궤도를 전파하였다. 궤도 결정 알고리즘을 구성하기 위해 기본적인 좌표계, 탐사선에 미치는 지구의 중력에 대한 동역학 모델, 천체력과 탐사선의 동역학 모델로 구성된 관측 모델들을 유도하였으며, 탐사선의 위치와 속도를 추정하는 과정에서 가중치 최소 자승법을 적용하여 추정 궤도와 실제 궤도의 최소화를 유도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요구한 시각의 탐사선의 위치와 속도를 결정하는 궤도결정 시스템을 구현하였고, 궤도 결정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전파된 궤도와 실제 궤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300초마다 관측데이터를 받을 경우, 2일 이상의 궤도결정 시간간격을 상정했을 때 평균 오차는 각각 약 0.26km RMS(range), 6.84km/s RMS(range-rate) 이내의 결과를 얻었고, 600초마다 관측데이터를 받을 경우, 평균 오차는 각각 약 0.30km RMS (range), 6.35km/s RMS(range-rate) 이내의 안정적인 결과를 얻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추후 심화된 심우주 항법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기반이 마련될 것이다.

  • PDF

광학관측 데이터를 통한 위성의 예비궤도 결정 및 위성 추적을 위한 광학 관측소 배치 연구

  • 이우경;임형철;윤재혁;박필호;임홍서;문홍규;한원용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04.04a
    • /
    • pp.62-62
    • /
    • 2004
  • 망원경을 이용하는 위성의 광학관측으로부터 적경과 적위 또는 방위각과 고도각의 관측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세 쌍의 관측데이터를 이용해 위성의 궤도를 결정하는 방법을 예비궤도 결정법이라 하는데, Laplace, Gauss 및 double r-iteration 방법이 있다. 위성의 정밀궤도 결정을 위해서 광학, 레이더 및 레이저를 이용한 다수의 관측데이터가 필요하며, 특히 위성의 초기 궤도정보가 반드시 요구되는데, 이는 예비궤도 결정법을 통해서 얻을 수 있다. (중략)

  • PDF

Current Status of the Cosmic Infrared Background ExpeRiment 2 (CIBER2)

  • Lee, Dae-Hee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9 no.2
    • /
    • pp.101.2-101.2
    • /
    • 2014
  • 적외선 파장 대역에서 관측되는 우주배경복사의 요동은 초기 우주가 재이온화되는 시기에 존재하였던 우주 최초의 별 또는 은하에서 기원한다고 믿어진다. 적외선우주배경복사 관측을 위해서는 배경의 잡음이 되는 별, 은하, 황도광등을 제거하고 희미한 배경을 검출해야 하므로 광시야, 고감도로 광학에서 근적외선까지 다파장으로 관측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CIBER2는 이러한 적외선우주배경복사 관측을 위해 개발되고 있는 NASA 사운딩로켓 탑재용 적외선카메라 시스템이다. 2009년부터 2013년까지 4차례에 걸쳐 성공적으로 발사된 CIBER를 업그레이드한 관측기기로써 한국 KASI, 미국 Caltech, 일본 ISAS가 공동으로 개발하고 있다. CIBER2는 28.5cm의 주경에 광분배기를 사용하여 3대의 카메라가 장착되는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각 카메라에는 $2K{\times}2K$ H2RG 검출기 위에 2개의 밴드 필터를 부착하여 0.6 - 2.1 um의 파장 대역을 6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관측한다. 각 밴드의 시야각은 $1.1{\times}2.2$도이다. CIBER2는 현재 최종 설계를 마치고 각 서브시스템 별 제작 단계에 있으며, 조립 및 시험을 거쳐 2015년에 미국 화이트샌드 미사일기지에서 발사될 예정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