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우울 성향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22초

배우자 부양자의 심리적 요인이 부양부담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sychological Factors on Caregiver Burden and Depression of Spousal Caregivers)

  • 홍주연;김민희;방희정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8권3호
    • /
    • pp.367-387
    • /
    • 2012
  •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서 점점 증가하고 있는 배우자 부양자의 부양부담과 우울에 미치는 부양자의 심리적 요인의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서울과 인천에 거주하고 있고 50세 이상의 배우자 부양자 142명(여자 89명, 남자 52명)을 대상으로 피부양자의 객관적인 요인, 부양자의 인구학적인 요인, 그리고 심리적 요인으로 부양자의 외향성, 신경증적 성향, 부양 전 부부관계 만족, 사회적 지지가 부양부담과 부양자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설문을 실시하였다. 부양부담과 우울에 대한 변인들의 영향력 검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양부담에는 피부양자의 일상생활활동수준과 신경증적 성향이, 우울에는 부양자의 신경증적 성향과 부양 전 부부관계 만족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피부양자의 객관적 요인이나 부양자의 인구학적 요인에 비해 부양자의 심리적 요인이 부양부담과 우울을 더 잘 예측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부양자의 심리적 요인이 부양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했으며, 마지막으로 배우자 부양부담 완화를 위한 제언, 연구의 제한점, 그리고 미래 연구 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흡연 여부에 따른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우울의 연관성 분석: Ego gram의 조절효과 (The Association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Depression in University Students: Moderated Effect of Ego gram)

  • 김한결;변지은;김규민;이현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2호
    • /
    • pp.291-30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흡연여부에 따라 대학생이 인지하는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 있어 개인의 자아상태의 조절효과를 확인했다. 연구결과, 대학생이 인지하는 스트레스와 우울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상태의 조절효과는 흡연군과 비흡연군에서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비흡연군에서는 자신에 대한 엄격한 통제를 추구하는 CP 성향이 우울을 낮추는 조절효과를 보였고, 흡연군에서는 뛰어난 적응성과 창조력, 자율성이 풍부한 A 성향이 우울을 낮추는 효과를 보였다. 반면, 흡연군에서는 AC 성향도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였는데, AC 성향이 높은 경우 자신이 처한 상황에 대해 무력감을 느끼고 현실에 순응하는 부정적인 감정을 유발할 수 있다고 보고된다. 자아상태의 조절효과는 스트레스, 우울과 같은 정서적 상태에의 접근에 있어 개인이 지닌 성향을 함께 고려하여 접근해야 함을 시사한다.

성격유형이 스트레스 저항에 미치는 영향 -노인 대상- (The Effects of Character Pattern on Stress Resistance -of Elderly People-)

  • 윤일심;이선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4819-4825
    • /
    • 2011
  • 이 연구는 노인들의 성격유형이 스트레스 저항에 미치는 영향이 있는지를 개인이 지닌 뇌신경 생리학적 지표인 뇌파 측정을 이용하여 비교하여 보았다. 대상자는 한국정신과학연구소에 2007년 9월에서 2010년 12월까지 뇌파측정을 실시한 노인(만 65세 이상)들을 기준으로 선정한 자료이며, 총 1108명이다. 행동성향의 분포도는 긍정 적극성향이 552명, 부정 소극성향이 556명이었으며, 정서성향의 분포도는 명랑(외향)성향이 735명, 우울(내향)성향이 373명이었다. 분석 결과 노인들의 행동성향과 스트레스 저항과는 무관하였으며, 정서성향과 스트레스 저항과는 (p=.000)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명랑(외향)성향이 우울(내향)성향에 비하여 항 스트레스지수에서 평균이 높게 차이가 났으며, 이는 스트레스를 이겨낼 수 있는 능력이 높다고 할 수 있겠다. 이 연구 결과 정서성향과 스트레스 저항능력이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미치는 영향이나 작용기전을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초ㆍ중학교 아동의 우울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 (A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Depression and Parenting Stress of their mothers)

  • 최정미;우희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73-84
    • /
    • 2004
  • 본 연구는 초ㆍ중학교 아동을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우울을 중심으로, 아동의 성과 학년에 따라 아동의 우울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아동의 성과 학년에 따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따라 아동의 우울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아동의 우울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두 변인간에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성과 학년에 따른 아동의 우울은 아동의 성별과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성이 여자인 경우가 남자인 경우보다 우울이 더 높고, 학년에 따라서는 중학교 1, 2학년이 초등학교 5, 6 학년보다 우울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성과 학년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아동의 성에 따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학습기대와 관련된 양육스트레스만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아동의 학년에 따라서는 자녀와의 관계로 인한 양육스트레스와 학습기대와 관련된 양육스트레스가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따른 아동의 우울은 자녀의 기질과 관련된 스트레스, 자녀와의 관계로 인한 스트레스, 학습기대와 관련된 스트레스요인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우올과의 상관관계는 자녀의 기질과 관련된 스트레스, 자녀와의 관계로 인한 스트레스, 학습기대와 관련된 스트레스 순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구성되었다. 연구 결과 상호작용에 있어서의 변화를 살펴보면, 첫째, 수업이 진행될수록 아동간의 대화의 양과 질이 증가하였다. 둘째 아동간의 의존성과 신뢰성이 증가하였다. 리더 역할을 하는 아동이 자발적으로 나타났으며 조원들간의 의견을 수렴하고 조언을 해주었다. 셋째, 아동간의 친밀감과 협동심이 증가하여 서로 도움을 주고받았다. 넷째, 교사와 아동간의 친밀감이 증가하여 지속적인 우호적 관계가 형성되었다. 또한 수업 태도의 변화를 살펴보면, 첫째, 아동들은 점차 학습에 대한 자신감과 만족감을 갖게 되었다. 둘째, 아동들은 헝겊 인형에 대한 흥미와 관심이 증가하여 적극적이고 집중력이 높은 수업 태도를 보였다 셋째, 아동들은 자신이 만든 인형에 애착을 가지게 됨으로서 긍정적인 수업태도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내성적인 성향, 독단적인 성향, 과잉행동 성향, 산만하거나 주의력 결핍 아동들이 보다 큰 변화를 보였다 따라서 ‘헝겊 인형 만들기’ 바느질 수업의 전개과정이 아동간의 상호작용 및 수업에 대한 태도를 더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켰다고 볼 수 있다.었다. 조기 수술이 권장되며 조기수술이 안 되어 병변의 진행이 심해지면 대동맥판막성형술의 완벽한 결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경우가 적지 않으므로 병변이 심한 경우 대동맥판막대치술도 수술방법의 선택목록에 포함시켜야 한다.하지 않은 그룹 0 수혜견에 이식한 심장의 생존시간은 5분이었으나 PCPP에 의해 자연항체를 제거 후 이식된 심장의 생존시간은 90분으로 현저한 증가를 보였다. 또한 조직 병리학적으로도 이식 거부에 대한 특징이 그룹

  • PDF

청소년의 자살사고와 관련된 우울-불안 성향 (ANXIOUS-DEPRESSIVE ATTRIBUTES TO SUICIDAL IDEA OF ADOLESCENTS)

  • 진용탁;하은혜;송정은;박은영;최태규;송동호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4권1호
    • /
    • pp.95-102
    • /
    • 2003
  • 목 적: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살성향과 관련된 정서적 특성을 지역사회연구를 통하여 조사함과 아울러 우울불안 집단을 설정하여 그들의 충동성과 자살사고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경기도 고양시의 1909명의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y for Depression(CES-D), Revised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RCMAS), Youth Self Report(YSR)의 Anxious/Depressed subscale을 사용하여 우울불안집단을 선정하였고, 대조집단과 비교하여 PS-1 of Offer's Self Image Questionnaire(PS-1 of OSIQ), Suicide Ideation Questionnaire(SIQ) 척도점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자살사고와 관련된 정서적 요인들과의 상관성 및 자살사고 예측력을 분석하였다. 결 과:우울불안집단을 연구대상의 6.58%를 차지하였으며 남녀비는 약 1:1.5이었다. 또한 우울불안집단에서 대조집단에 비하여 충동성조절 점수는 유의하게 높았고 자살사고 척도 점수도 유의하게 높았다. 자살사고와 관련하여 우울척도, 불안척도, 우울-불안척도 및 자살사고 척도는 모두 유의한 상관성을 보인 요인들이었으며, 다중회귀분석 결과 우울과 불안이 자살사고를 예측하는 유의한 요인이었다. 결 론:지역사회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자살사고의 정서적 요인들 조사한 결과 우울 및 불안성향을 지닌 집단이 자살의 고위험군임을 시사하였으며, 이를 위한 예방적 개입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간호대학생의 외모만족도, 대인관계 성향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ody Image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 Depression Among Nursing Students in Korea)

  • 김윤경;차남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489-500
    • /
    • 2016
  • 본 논문은 한국 간호대학생의 외모 만족도와 대인관계 성향 및 우울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자의 연령은 17세-27세 범위이며 총 247명이 편의 추출에 의해 선정되었다. 연구는 2012년 11월 1일부터 2013년 3월 30일까지 시행하였다. 우울에 유의한 변수는 형제서열순위, 종교, 학교성적, 경제적 상태, 거주상태, 스트레스 해소방법이었다. 우울과 외모만족도, 대인관계 경향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외형, 경제적 수준이었고, 다음으로 동정-수용적, 반항-불신적, 체형과 거주상태 순으로 모형의 수정된 결정계수(R2)는 .268 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한국 간호대학생의 우울을 이해하고 개인간 상호관계와 우울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유용한 연구가 될 것이다.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 명확성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Clarity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Covert Narcissism and Depression)

  • 유현아;송원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161-168
    • /
    • 2018
  • 본 연구는 내현적 자기애가 정서인식 명확성과 정서표현 양가성을 매개로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중부권에 거주하고 있는 대학생 343명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 척도(CNS), 우울척도(BDI), 특질-상위 기분 척도(TMMS), 정서표현 양가성 척도(AEQ-K)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내현적 자기애는 정서인식 명확성과 부적 상관을, 정서표현 양가성, 우울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정서인식 명확성과 정서표현 양가성이 이를 완전매개 하였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인식 명확성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간접효과는 유의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내현적 자기애 성향을 가지고 있는 대학생이 우울해 하는데 있어 정서인식 명확성과 정서표현 양가성이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내현적 자기애성향의 대학생을 위한 효율적인 상담 개입방법과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폐경기 여성에서 호르몬 상태와 우울 및 불안 성향간의 상관관계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of Hormonal Status with Depression - Anxiety Traits in Menopausal Women)

  • 서정석;기백석;이상훈;이재광
    • 생물정신의학
    • /
    • 제3권1호
    • /
    • pp.96-101
    • /
    • 1996
  • 저자들은 1994년 3월부터 1995년 10월까지 중앙대학교 부속병원 폐경기 클리닉에 내원했었던 환자중 폐경군 83명과 대조군 73명을 BDI, STAI로써 우울과 불안정도를 측정하였고, 혈중 E2, LH, FSH 수치를 측정하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폐경 여성의 평균 연령은 45.3세였으며 BDI와 STAI 점수 비교에서 폐경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p<0.01)하게 높아 폐경군이 더 높은 우울 및 불안 성향을 보였으나 폐경 여성이 불안 및 우울감을 더 유발한다는 가설을 뒷받침 하지는 못하였다. 혈중 호르몬의 비교에서 대조군과 폐경군간에 E2치와 FSH치에서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p<0.01)가 있었다. 그리고 대조군에서 STAI, BDI 접수와 호르몬간의 상관관계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으며 폐경군에서도 STAI, BDI 접수와 호르몬간의 상관관계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 즉 폐경기 호르몬의 상태와 우울 및 불안과의 상관관계는 없었다. 폐경기의 심리적 장애의 원인을 생물학적, 사회문화적, 또는 심리적 요인 중 단일 요인으로 성명하기보다 상호 복합적으로 규명해야 하겠다.

  • PDF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청소년의 우울성향 및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Depressive Dispositions, and Depression on the Self Esteem of Adolescents)

  • 이은경;박성연
    • 아동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87-106
    • /
    • 2010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a structural model, of which the effect of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depressive dispositions, and depression upon the self-esteem of adolescents. The participants were 458 adolescents recruited from high schools and universities (M age = 17.4 yrs; SD = 1.75) in Seoul and its vicinit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for adolescents. Firstly, we estimated the hypothesized meditation model which includes paths from parents' psychological to self-esteem through adolescents' depressive experiences and depress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using AMOS revealed that the hypothesized mediation model yielded an acceptable model fit and all hypothesized path coefficient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Specifically, it indicated that the more parents try to exert psychological control over their children, the more depressive experiences adolescents have and in turn, they had a greater tendency towards becoming depressed and having lower self esteem. It was also found that neither gender difference nor age difference existed in the structural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