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우울요인

Search Result 1,515, Processing Time 0.02 seconds

Differences in Grip Strength by Living Conditions and Living Area among Men and Women in Middle and Later Life (독거여부와 거주지역에 따른 중년기와 노년기 남성과 여성의 악력 차이)

  • Joo, Susanna;Jun, Hey Jung;Park, Hayoung
    • 한국노년학
    • /
    • v.38 no.3
    • /
    • pp.551-567
    • /
    • 2018
  • Demographic and socio-structural information is useful to identify potential welfare recipients who are in need of disease-prevention and intervention services. Thus, the present study aims to explore the differences in grip strength among middle and old-aged adults by living conditions and by living area. The 5th wave data of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was utilized. The dependent variable was grip strength,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living alone (living alone or not) and living area (city or non-city). Covariates were age, education, log-transformed household income, spouse existence, body mass index, self-rated health conditions, depressive symptoms, cognitive function, smoking, regular exercise, frequency of meeting with friends, and the number of social participation.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for middle-aged men, middle-aged women, old-aged men, and old-aged women, respectively. ANOVA and Chi-test were additionally used to specifically discuss significant results. Cross-sectional weight was applied to all analyses. According to the results, living alone and living area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grip strength among middle-aged men, old-aged men, and old-aged women. In middle-aged women, however, living alone and living area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grip strength. To be specific, middle-aged women who lived alone in rural areas had the lowest grip strength compared to other middle-aged women. Additional analysis showed that middle-aged women who lived alone in rural areas had risk factors, such as low education level, low income, or high depressive symptoms. It implies that middle-aged women living alone in rural areas may have physical health risks, so they might be in need of disease preven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provide reliable information on the latent welfare recipients by using representative panel data and applying weight values.

Does the Gut Microbiota Regulate a Cognitive Function? (장내미생물과 인지기능은 서로 연관되어 있는가?)

  • Choi, Jeonghyun;Jin, Yunho;Kim, Joo-Heon;Hong, Yonggeun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9 no.6
    • /
    • pp.747-753
    • /
    • 2019
  • Cognitive decline is characterized by reduced long-/short-term memory and attention span, and increased depression and anxiety. Such decline is associated with various degenerative brain disorders, especially Alzheimer's disease (AD) and Parkinson's disease (PD). The increases in elderly populations suffering from cognitive decline create social problems and impose economic burdens, and also pose safety threats; all of these problems have been extensively researched over the past several decades. Possible causes of cognitive decline include metabolic and hormone imbalance, infection, medication abuse, and neuronal changes associated with aging. However, no treatment for cognitive decline is available. In neurodegenerative diseases, changes in the gut microbiota and gut metabolites can alter molecular expression and neurobehavioral symptoms. Changes in the gut microbiota affect memory loss in AD via the downregulation of NMDA receptor expression and increased glutamate levels. Furthermore, the use of probiotics resulted in neurological improvement in an AD model. PD and gut microbiota dysbiosis are linked directly. This interrelationship affected the development of constipation, a secondary symptom in PD. In a PD model, the administration of probiotics prevented neuron death by increasing butyrate levels. Dysfunction of the blood-brain barrier (BBB) has been identified in AD and PD. Increased BBB permeability is also associated with gut microbiota dysbiosis, which led to the destruction of microtubules via systemic inflammation. Notably, metabolites of the gut microbiota may trigger either the development or attenuation of neurodegenerative disease. Here, we discuss the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decline and the gut microbiota.

Clinical Characteristics in Panic Disorder Patients in Emergency Department (공황발작으로 응급실에 내원한 공황장애 환자들의 임상 특징)

  • Lee, Chang-Ju;Nam, Beom-Woo;Sohn, In-Ki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 /
    • v.29 no.1
    • /
    • pp.26-33
    • /
    • 2021
  • Objective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datas related to panic attack and treatment in emergency room of panic disorder patients who visited emergency room for panic attack. Methods : A retrospective analysis of medical records was conducted on 92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who visited Chungju Konkuk university hospital emergency department due to panic attack and had bodily symptoms from 1st January 2010 to 31th December 2019. In addition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omorbid disorders, triggering stressors and alcohol consumption were corrected as pre-panic attack datas, bodily symptoms at the time of panic attack were corrected as datas during attack, electrocardiogram trial, consultation with psychiatrist, admission and information of used psychotropic drugs were corrected as post-attack data. Depending on size of data, Chi-square test or Fisher's exact test was used.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R 4.03. Results : Cardiovascular disease was accompanied by 5.4% and depressive disorder was the most common coexisting mental disorder. Among triggering stressors, economic problem/work-related stres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en than women (𝛘2=4.322, p<0.005). The most common physical symptom during attack was circulatory (65.2%), followed by respiratory (57.6%), numbness-paralysis (33.7%), dizziness (19.6%), gastro-intestinal (14.1%) and autonomic symptom (12.0%). Electrocardiogram was taken at higher rate when patients complained circulatory symptom (𝛘2=8.46, p<0.005). The psychotropic drug most commonly used in emergency room was lorazepam, used in 92.1%. Conclusions : The most common bodily symptom during panic attack was circulatory symptom and the most common triggering stressor in men was economic problem/work-related stress. The most commonly used psychotropic for panic attack was lorazepam.

AN EXPLORATORY STUDY TO DETERMINE HOW ADOLESCENT STUDENT NURSES VIEW PEDIATRIC NURSING EXPERIENCE AS STRESSFUL SITUATION (소아과 간호학 실습시에 느끼는 성년기 간호학생들의 긴장감에 대한 실험적 연구)

  • Oh, Kasil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
    • v.4 no.3
    • /
    • pp.33-56
    • /
    • 1974
  • 간호를 장래의 전문직으로 택하려고 공부하는 간호학생들은 완전한 성인으로서의 발달 과정중 후기 성년기에 속한다. 이시기는 자아를 발견하고 인간이 무엇을 믿으며 인간의 가치가 무엇인가를 추구하는 중요한 시기이다. 다시 말해서 어른과 어린이의 과도기에 서서 자신의 이상적 가치와 기성사회의 기존 가치를 잘 융화시켜 독립된 인간으로서 성숙하려는 노력의 시기이다. 그러므로 성년기의 갈등은 인생의 어느 시기보다도 그 정도가 심하게 나타난다. 간호학생들은 이상의 일반적인 성년기 발달의 요구 외에도 간호대학이라는 특수한 배움의 여건 때문에 좀 더 심각한 문제에 대두된다. 특히 소아과 간호대학이라는 실습환경은 여러 가지 복잡한 병실 사정으로 많은 긴장감을 주는 학습경험이다. 어린이의 간호에는 그들의 발달과정에 따른 다양한 역활이 요구된다. 또한 병원이라는 낯선 환경과 어머니를 떨어져야하는 두려움으로 불안한 어린이와 그 어린이의 불안과 두려움으로 인해 우울과 죄의식에 있는 어머니의 간호는 여러 면에서 성년기 학생들에게 긴장감을 일으키게 하는 요인이 된다. 본 연구의 문헌조사는 주로 미국 문헌에 나타난 간호 대학생들의 성년기 성숙을 위한 발달의 요구와, 소아병실의 복잡한 여건으로 발생되는 긴장감을 다루고 있다. 문헌을 기초로 하여 저자는 긴장감을 주는 간호활동을 크게 다섯 부군으로 묶었다. 1. 어린이 환자의 신체적 간호, 2. 어린이 환자나 부모와의 원만한 대화와 상호관계를 위한 간호활동 3. 소아병실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간호원의 역활 4. 어린이나 부모의 간호에 대한 의뢰심 5. 간호의 가치나 이상적 간호. 연구방법으로는 49개의 폐쇄식 질문 항목을 가진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질문 항목들은 문헌연구에서 소아과 간호학 실습시 학생들이 긴장감을 느낀다고 밝혀진 내용들이 다. 학생들은 자신의 경험을 "긴장감이 없었다. ""긴장감이 있었다. ""심한 긴장감이 있었다. ""실습 중 경험이 없었다. "의 사항 중 택일을 하게 되어 있다. 연구대상으로는 모 대학교 간호대학 학생으로 산부인과 간호학 실습을 마친 후 소아과 간호학 실습 8주를 완료한 4학년 학생 42명이었다. 자료분석의 결과는 대부분의 학생들에게 소아과 간호학 실습은 긴장감을 주는 경험이 있다고 나타났다. 다음은 연구결과 주목할만한 몇 가지 사항들이다. 1. 어린이 환자의 신체적 간호는 성년기 학생들에게 긴장감을 주는 실습 경험이었다. 특별히 심하게 긴장감을 주었던 간호활동은 어린이환자의 상태가 중한 경우로, 장기간 앓는 아이, 선천성 기형이 있는 아이, 회복이 불가능하여 죽게될 아이나 사망하는 경우의 어린이 간호였다. 이 결과는 간호학의 기본과정 즉, 기초간호학이나 내 외과 간호학 실습만으로 소아과 간호학 실습을 위한 충분한 준비가 되지 못한다는 것을 뜻 할 수도 있다. 한편, 문헌연구에서 밝힌바와 같이 어리고 연약해 보이는 어린이들의 신체조건이 학생들의 간호활동을 어렵게 하는 경우도 될 수 있겠다. 2. 간호학생들의 어린이 환자와의 대화나 원만한 인간관계에서의 긴장감은 이 연구결과로 평가나 제언이 힘들다. 조사결과에서 학생들은 주로 어린이의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에 심한 긴장감을 가졌고 일반적인 간호의 경우에는 별로 긴장감이 없었다. 이것은 질병의 상태나 화제, 이야기 할 때의 상황에 따라 긴장감의 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결론이 되겠다. 3. 소아병실에서의 다양한 역활을 수행하는 것은 비교적 긴장감이 많이 생기는 간호활동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재미있는 사실은 학생들이 간호원으로서의 전문가적인 입장에서, 환자나 보호자를 가르칠때는 별로 문제가 없었으나 어린이 기르는 방법이나 어린이 이해면에서 좀 더 잘 안다고 생각되는 어머니가 지켜 볼때의 어린이 간호에는 긴장감을 가진다는 사실이다. 이것은 Jewett의 연구에서 밝힌바와는 상반되는 결과다. 그의 연구에서 학설들은 부모나 어머니들에 의해 전문가로서 인정받고 기대되는 경우가 제일 어려운 경험이 있다고 밝혔다. 4. 어린이 환자나 그들 부모의 간호에 대한 의뢰심은 학생들에게 심한 긴장감을 주는 경험이 있다. 특히 신체적 간호에 대해 의뢰하는 경우에는 더 심한 긴장감을 준다고 표현한다. 일반적으로 부모가 병실에 상주하는 경우에는 그들의 의뢰심이 심하며 이것은 학생들에게 감당하기 힘든 긴장과 어려움을 주게된다. 왜냐하면 성년기의 학생들은 그들 자신이 먼저 타인에게서 이해받기를 원하며 또 관용을 베풀어주기를 원하는데 그것을 남에게 주어야 하는 입장은 학생들을 긴장되게 하는 실습활동인 것이다. 5. 학생들은 그들이 배운 간호의 이상이나 가치가 실습지에서의 여러 경우와 맞지 않는 것을 보았을 때 극심한 긴장감을 갖는다고 밝혔다. 의사나 병원 행정의 사실이 자신의 이상과 맞지 않는다는 것보다는 간호원의 간호업무의 차이에서 더 비판적인 반응을 보였다. 대부분의 성년기 학생들은 그들의 이상적인 간호원상을 그들의 선배나 실무 간호원 중에서 찾으려는 시기에 그들의 간호활동이 이론과 다른 점이나 학생 자신의 소아과 간호의 가치와 다른 것을 보았을 때는 심한 반감과 긴장감을 갖게된다. 이 문제는 어린 사람이 윗 어른과 함께 동료의식을 갖고 일하기 어려운 한국적 사회구조 때문에 더 심하게 긴장감을 주는 경험인지도 모른다. 선배 간호원의 전문인으로서의 권위와 어린이 환자 보호자의 어른으로서의 권위 사이에서 자신의 이상과 가치의 추구는 용이하지 않으며 내적 갈등은 어쩔수 없는 일 일 것이다. 6. 대부분 높은 백분율의 긴장 반응은 죽음이나 환자의 사망에 관련된 간호활동 항목에서 나타났다. 이 연구의 대상 학생들은 2, 3학년에서 죽음에 대한 강의를 들었지만 이 연구 결과에 의하면 충분한 학습 경험이 주어진 것 같지 않다. 어떠한 경우의 죽음에라도 어린이 환자나 그 보호자들의 심리를 잘 이해하고 반응을 잘 관찰해서 적절한 간호를 해 줄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의 학습 경험이 필요하다고 보겠다. 7. 학생들의 긴장도가 어린이 간호에 더 심한가, 보호자 간호에 더 심한가를 알기 위한 비교 결과는 비교적 비슷한 정도로 나타났다. 8. 학생들의 소아과 간호학 실습시의 긴장도는 과거의 병실 실습기간의 장, 단이나 가정에서의 어린인 간호의 경험과는 별 연관성이 없었다. 연구의 대상자가 적기 때문에 단정을 하기는 힘이 들지만 소아과 간호학 실습이 다른 병실의 실습과는 분리되어서 완전히 다르게 다루어 져야만 하며 간호교육자들의 주의 깊은 관심과 노력이 필요한 실습교육이 라 하겠다. 이상의 전반적인 고찰에 의하면 한국 성년기 간호학생들의 소아과 간호학 실습은 미국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긴장감을 주는 경험이다. 문화배경의 다른 점은 무시하고라도 Davis와 Oleson이 결론한 바와 같이 "간호대 학생은 어디를 막론하고 다 같은 성격과 문제를 가지고 있다. " 앞으로 보다 효과적인 학생들의 소아과 간호학 실습을 위한 연구를 위해 다음의 몇 가지를 본 연구의 결과를 가지고 제언한다. 1. 보다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교육 방법을 가진 학교의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필요성. 2. 학생들이 실습 전 선입견이나 이미 들어서 생긴 긴장감의 개입 여부를 밝힐 수 있는 연구. 3. 학생 개인의 과거 경침이 긴장감 유발에 미치는 영향을 위한 연구 4. 이 연구의 결과를 입증할 수 있는 종단적 연구. 5. 이 연구에서 나타난 긴장감이 학습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한 관찰적 연구. 이 연구를 위해 많은 도움을 주셨던 보스턴대학의 Dr. Kennedy와 연세대학의 여러 선생님께 심심한 감사를 드립니다.

  • PDF

Implementation Strategy for the Elderly Care Solution Based on Usage Log Analysis: Focusing on the Case of Hyodol Product (사용자 로그 분석에 기반한 노인 돌봄 솔루션 구축 전략: 효돌 제품의 사례를 중심으로)

  • Lee, Junsik;Yoo, In-Jin;Park, Do-Hyung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25 no.3
    • /
    • pp.117-140
    • /
    • 2019
  • As the aging phenomenon accelerates and various social problems related to the elderly of the vulnerable are raised, the need for effective elderly care solutions to protect the health and safety of the elderly generation is growing. Recently, more and more people are using Smart Toys equipped with ICT technology for care for elderly. In particular, log data collected through smart toys is highly valuable to be used as a quantitative and objective indicator in areas such as policy-making and service planning. However, research related to smart toys is limited, such as the development of smart toys and the validation of smart toy effectiveness. In other words, there is a dearth of research to derive insights based on log data collected through smart toys and to use them for decision making. This study will analyze log data collected from smart toy and derive effective insight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elderly users. Specifically, the user profiling-based analysis and elicitation of a change in quality of life mechanism based on behavior were performed. First, in the user profiling analysis, two important dimensions of classifying the type of elderly group from five factors of elderly user's living management were derived: 'Routine Activities' and 'Work-out Activities'. Based on the dimensions derived, a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and K-Means clustering were performed to classify the entire elderly user into three groups. Through a profiling analysis,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of elderlies and the behavior of using smart toy were identified. Second, stepwise regression was performed in eliciting the mechanism of change in quality of life. The effects of interaction, content usage, and indoor activity have been identified on the improvement of depression and lifestyle for the elderly. In addition, it identified the role of user performance evaluation and satisfaction with smart toy as a parameter tha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usage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change. Specific mechanisms are as follows. First, the interaction between smart toy and elderly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f improving the depression by mediating attitudes to smart toy. The 'Satisfaction toward Smart Toy,' a variable that affects the improvement of the elderly's depression, changes how users evaluate smart toy performance. At this time, it has been identified that it is the interaction with smart toy that has a positive effect on smart toy These results can be interpreted as an elderly with a desire to meet emotional stability interact actively with smart toy, and a positive assessment of smart toy, greatly appreciating the effectiveness of smart toy. Second, the content usage has been confirmed to have a direct effect on improving lifestyle without going through other variables. Elderly who use a lot of the content provided by smart toy have improved their lifestyle. However, this effect has occurred regardless of the attitude the user has toward smart toy. Third, log data show that a high degree of indoor activity improves both the lifestyle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The more indoor activity, the better the lifestyle of the elderly, and these effects occur regardless of the user's attitude toward smart toy. In addition, elderly with a high degree of indoor activity are satisfied with smart toys, which cause improvement in the elderly's depression. However, it can be interpreted that elderly who prefer outdoor activities than indoor activities, or those who are less active due to health problems, are hard to satisfied with smart toys, and are not able to get the effects of improving depression. In summary, based on the activities of the elderly, three groups of elderly were identified and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were identified. In addition,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mechanism by which the behavior of the elderly on smart toy affects the lives of the actual elderly, and to derive user needs and insigh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