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우식경험영구치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7초

울산광역시 장애인 구강진료사업의 성과 분석 : 초중고 학생을 중심으로 (Evaluation of oral health service program for disabled persons in Ulsan, Korea)

  • 김민지;전은주;한동헌;정승화;김진범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97-303
    • /
    • 2013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oral health status of the disabled people in Ulsan. Methods : Two dentists taken a calibration training for national oral health survey examined the Oral health status on 110 disabled people in Ulsan, in 2009. The surveyed disabled people, 6 to 19 years old, have been supplied with the oral health care services by dentists, oral hygienists and volunteers at dental clinics of schools and a dental clinic supported from Ulsan Metropolitan City Nam-Gu Health Center since 1997. The obtained data from these surveys were analyzed with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Results : Among subjects aged 12-14 years, DMF rate was 38.2%; Active D rate, 17.6%; DMFT index, 1.15; DT rate, 33.33%; MT rate, 0.00%; FT rate, 66.67%. Oral heath status of disabled people in Ulsan were evaluated to be a similar level to the Ulsan non-disabled citizens from 2010 Korean National Survey. Conclusions : The oral health care programs for disabled people using voluntary dentists, oral hygienists and other workers in Ulsan are evaluated to be effective for the disabled people.

청소년의 식이 심리사회적 요인과 식습관 및 우식경험영구치지수간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of Psychosocial Factors, Dietary Habits and DMFT Index in Adolescents)

  • 장종화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3-33
    • /
    • 2009
  •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examined the level of psychosocial factors, dietary habits and DMFT index and to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in 12-year-old adolescents. Methods: Participants were 1,831 total students from 14 middle school who lived Seosan with mean age of 12.46 years. Data was collected using a self administrated questionnaire from April 13 to May 24, 2009. Psychosocial factors and dietary habits were measured using the 5-items and 10-items. A trained investigator made an oral examination of them in natural light using a mirror and explorer to determine their DMFT index.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one-way ANOVA, and Tukey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the SPSS WIN 15.0 program. Results: Regarding dietary self-efficacy, perceived benefit and perceived barrier degree, the subjects achieved a mean of $3.89{\pm}0.69$, $3.48{\pm}0.63$ and $3.82{\pm}0.63$ out of a maximum 5 points. And the dietary habit degree of subjects achieved a mean of $10.69{\pm}4.02$ out of a maximum 20 points and the DMFT index were $1.91{\pm}2.26$. Dietary habit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sychosocial factors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DMFT index. And then perceived barrier score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DMFT index.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dental caries experience is associated with perceived barrier and dietary habi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mplementation of health promotion should be considered for various psychosocial factors and dietary habits in adolescents.

간 이식 예정 환자의 구강건강상태 및 치과치료 요구도에 관한 연구 (Oral Health Status and Dental Treatment Need of Liver Transplant Candidates)

  • 박태준;고홍섭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4권1호
    • /
    • pp.1-9
    • /
    • 2009
  • 간 이식은 진행성 간병변의 말기에 있는 환자나 간 대사 질환, 간암 등을 겪고 있는 환자들에게 최종적으로 행해지는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이다. 간 이식 전후에는 타 장기의 이식수술 시와 마찬가지로 거부반응을 최소화하고 생존율을 높이기 위하여 면역억제요법을 시행하게 되며 이로 인해 면역력이 감소되어 전신 감염에 이환되기 쉬운 상태에 처하게 된다. 간 이식수술 전 치과적 처치의 일차적 목표는 간을 이식한 후 전신적인 감염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구강 감염요소를 원천적으로 제거하는 것이다. 술전 치과적 처치는 이식 후 감염 가능성을 줄여줌으로써 이식수술의 성공률을 향상시키므로 환자의 건강을 유지하는 데 있어서 구강검진을 비롯한 계속적인 치과적 관리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간이식 수술을 예정으로 수술 전 구강검진을 위해 서울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한 90명의 환자들의 의무기록에 근거하여 우식경험영구치지수와 구강위생의 정도, 전신질환 병력과 치과치료 요구도, 치과치료 요구도의 충족 정도, 치과병원 내원일과 간이식 수술 예정일과의 시간 간격 등에 대한 조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환자군의 우식경험영구치지수를 분석한 결과 간이식 환자들의 DT는 2.68개, MT는 4.02개, FT는 3.42개, 그리고 DMFT index는 10.12개로 나타났다. 2. 환자군의 구강위생 상태를 조사한 결과 중등도 이상의 식편 압입이 20.0%로 나타났고, 중등도 이상의 치석을 가진 환자는 42.2%였으며 부종을 동반한 치은염증은 37.8%의 환자들에서 관찰되었다. 3. 환자군에게 필요한 치과치료요구도를 조사한 결과 치주치료를 가장 많이 필요로 하였고 그 다음으로 보존치료, 구강악안면외과적 치료의 순서였다. 4. 90명의 환자 중 간이식 예정일이 확정된 상태로 치과병원에 내원한 환자는 39명이었고 간이식 예정일과 치과병원에서의 구강검진일자와의 시간간격을 조사한 결과 간이식 예정일과 구강검진일자와의 시간간격이 2주 이하가 32.2%, 1주 이하가 20.0%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간 이식수술 전 구강검진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들은 이식수술 후 잠재적 감염원의 제거를 위해 해결이 필요한 뚜렷한 치과치료 요구도를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간 이식수술 전 치과치료를 위한 충분한 시간이 주어지지 못하는 현실적 제약으로 인해 많은 환자들이 포괄적인 치과관리를 받지 못한 채 이식수술을 받고 있다. 따라서 간 이식수술 가능성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조기 구강건진과 포괄적인 구강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과 협진 체계가 마련된다면 잠재적인 구강 감염원의 충분한 제거로 간 이식수술의 예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노인의 객관적 구강건강상태와 주관적 구강건강수준간의 관련성 (Association between o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 impact profile(OHIP-14) among the community elderlies)

  • 안권숙;신미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923-938
    • /
    • 2011
  • Objectives : This study was attempted in order to grasp oral health level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elders in some communities, and to evaluate oral health status and its association.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performed with 235 people, who were over 65 years and resided in Daejeon Province, from June 20 to July 10, 2011. An individual interview was held, and they got a dental checkup. As for data analysis, chi-square tes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were utilized.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performed with 235 people, who were over 65 years and resided in Daejeon Province, from June 20 to July 10, 2011. An individual interview was held, and they got a dental checkup. As for data analysis, chi-square tes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were utilized. Results : The older age in the whole research subjects and the lower educational level led to the less remaining teeth and the larger missing teeth index. The decayed missing filled teeth index and the decayed missing filled teeth rate were higher in more women and older age and in the lower educational level. Tooth mortality rate was higher in the older age, the lower educational level, and the group of living together with spouse. The maxillary-mandibular fixed-bridge status in the mouth was indicated to be the highest in the full-denture mounting ratio as for elders in over 80 years old. Oral Health Impact Profile(OHIP-14) average score was $56.05{\pm}11.64$ in the whole research subjects The decayed missing filled teeth index and the decayed missing filled teeth rate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decayed missing filled teeth rate, tooth mortality rate and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OHIP-14. Tooth mortality rate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OHIP-14 Oral Health Impact Profile(OHIP-14)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its factors. Conclusions : Accordingly, the policy effort is considered to be necessary that implements in elders in order to spend active senescence, and that elders' health and oral-health behavior can be implemented continuously and preventively through classification according to elders' physical function.

장애인과 보호자와의 관계 유형에 따른 장애인의 구강건강상태 관련성 (Oral Health Relevance to Disabled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Types between them and their Guardian)

  • 박정연;장경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303-311
    • /
    • 2018
  • 장애인과 보호자와의 관계 유형에 따른 장애인의 구강건강상태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장애인 보호자에게 장애인과 보호자의 응집력과 의사소통과정을 자기기입식으로 설문 조사하였고, 장애인의 구강건강상태는 DMFT index, 제1대구치 건강도, Pocket depth로 평가표를 작성하여 총 78부를 분석하였다. 통계프로그램은 SPSS win. 24.0을 이용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5에서 검증하였다. 장애인과 보호자와의 관계 유형에 따른 장애인과 보호자의 응집력(p<.01), 의사소통과정(p<.01)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장애인의 구강건강상태에서는 DMFT index(p<.01), 제1대구치 건강도(p<.01), Pocket depth(p<.01)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장애인에게 어머니는 응집력, 의사소통과정, 구강건강상태 등 대부분의 항목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장애인과의 응집력, 의사소통과정 등에서 낮은 영향을 미친 활동보조인력과 장애인의 구강건강상태에 낮은 영향을 미친 배우자에게는 장애인과 보호자의 관계 중요성을 제시함으로써 장애인 구강건강관리법 및 관심도를 높일 수 있는 정책적 지원 및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체육 중·고등학생의 구강보건 지식·태도·행동 및 구강악안면 외상에 관한 융합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oral health knowledge, attitude, behavior and oromaxillofacial trauma among physical education middle-high school students)

  • 최민지;김지화;오나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35-42
    • /
    • 2016
  • 이 연구는 체육 중 고등학생의 구강보건에 관한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3년 4월부터 6월까지 경산의 체육 중 고등학생 가운데 당일 출석한 250명의 구강건강상태와 구강보건 지식 태도 행동 및 구강악안면 외상을 구강검사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구강보건 지식 태도 행동의 일반적 특성은 t-test를 실시하였고, 각 항목별 응답은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우식경험영구치율에서 여학생 평균 22.30%, 남학생 평균 15.41%로 여학생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치주건강상태 점수는 중학생 평균 1.19점, 고등학생 평균 0.68점으로 중학생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구강보건 지식 점수는 여학생 평균 3.69점, 남학생 평균 2.81점, 구강보건 행동 점수는 여학생 평균 38.26점, 남학생 평균 36.92점으로 여학생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므로 체육 중 고등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구강보건교육 및 맞춤형 구강보건사업의 실시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시각장애인의 구강보건행태가 DMFT지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ral health behavior of the visually impaired on DMFT index)

  • 이종화;이승희;윤현경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31-342
    • /
    • 2017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at helping oral health prevention of the blind and related management plan, which is defined as the influence factors between missing and filled permanent teeth index and general feature and oral health behavior of the blind in Korea (estimates 229,678 persons) using data of the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rom 2014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Methods: The blind over the age of 30 were selected as study subjects who have conducted health survey and dental inspections in KNHANES VI-2. Estimates of the subjects were 229,67 persons. For analyzing data, general linear models: GLM and covariance analysi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general feature and oral health behavior and missing and filled permanent teeth index. SPSS 21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which is possible to conduct complex sampling design, and the significance level was 0.05. Results: The missing and filled permanent teeth index was 8.58 points. Regard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squared of the missing and filled permanent teeth index depending on general features of the blind was 0.839 points, which shows gender, age, residence, education level, individual income, disability rating, kinds of health insurance, marital status and recipient of basic living had an effect on the missing and filled permanent teeth index. R2 of the missing and filled permanent teeth index depending on oral health form of the blind was 0.728 points, which shows oral examination, dental treatment, smoking and toothbrushing after lunch had an effect on the missing and filled permanent teeth index. Conclusions: With the result of this study, we found the oral health actual condition of the blind in Korea.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government needs to introduce the personalized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to maintain oral health of the blind and to develop a program that uses braille and voice device which enables to access and utilize to improve oral health behavior that the government could use it as a reference to establish the policy plan.

화성시 중학생의 구강건강 실태, 인식 및 치과치료에 관한 개별반응 조사 (A Survey of Oral Health State, Oral Health Awareness and Dental Treatment perception for Middle Schoolers in Hwaseong)

  • 신명숙;한지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81-87
    • /
    • 2008
  • 본 연구는 중학생의 구강건강실태를 파악하고 인식 및 행위를 알아봄으로써 지역사회의 구강건강 문제를 확인하고, 구강보건사업을 효율적으로 진행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화성시 14개 중학교 1학년 총662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그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학생의 치아상태 검사결과 건전치율이 83.22%로 아직까지 건전한 구강환경을 갖고 있었으며, 치아우식증관련 지표 산출결과에서는 우식경험영구치지수가 평균 2.0이었으며, 여자가 2.2로 남자 1.7보다 높았다. 2. 자가구강건강상태를 알아본 결과 남학생은 22%, 여학생은 10.9%가 건강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p = .000). 3. 치아청결 습관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잇솔질 닦는 횟수가 많았으며, 점심식사 후 잇솔질을 하지 않는 이유로는 남학생, 여학생 모두 잇솔, 치약 등 가지고 다니기 귀찮아서가 가장 높았다(p = .000). 치실 사용은 비슷한 비율을 보이고 있으나 인지여부는 여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4. 간식섭취 습관은 남학생의 경우 1회(42.1%)와 2~3회(31.3%) 순이었으며, 여학생의 경우 '먹지 않았다'(34.5%)와 2~3회(25.1%) 순을 보였다. 주된 간식으로 과자, 케익 사탕류가 두 집단에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야채, 과일이라도 답하였다. 5. 치과치료에 대한 느낌으로 '내일 치과에 간다면 기분은?'이란 질문에 남, 여학생 모두'별다른 느낌이 없다', '약간 불안하다' 순으로 나타났다. '치료받기 위해 기다릴 때 기분은?'이라는 질문에 두 집단 모두 '많이 긴장된다', '약간 불안하다' 순으로 답하였으며, '치과진료의자에 누워 있을 때 기분은?'이라는 질문에 '긴장된다'는 답이 가장 많았다. '스케일링을 받기위해 치과 진료의자에 누워있을 때 기분은?'이라는 질문에 대부분 긴장되고 약간 불안하게 느끼고 있었다.

  • PDF

흡연이 구강 건강에 미치는 영향 : 구강 위생이 양호한 집단의 장기적 연구를 위한 예비 평가 (Effects of Smoking on Oral Health : Preliminary Evaluation for a Long-Term Study of a Group with Good Oral Hygiene)

  • 이현석;김미은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6권4호
    • /
    • pp.225-234
    • /
    • 2011
  • 흡연은 전신건강 뿐 아니라 구강건강에도 유해하여 구강암과 치주염의 발생, 창상치유 지연, 치아상실 등과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미 흡연과 구강건강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많이 있지만, 구강건강에 대한 인식도나 위생관리 등 흡연 외의 다양한 요소가 구강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타액 분비나 구취처럼 흡연과의 관련성이 확실히 밝혀지지 않은 부분도 존재한다. 그러므로 구강위생에 대한 인식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고 추적조사가 용이한 치과대학생이라는 집단에서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구강건강을 상태를 장기적, 포괄적으로 비교한다면 흡연이 구강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장기적 연구에 앞서 치과대학생 중 흡연자들의 흡연 특성을 파악하고, 흡연자들과 비흡연자들의 전반적인 구강건강상태를 비교하여 보고하고자 하였다. 2010년 4월 21일부터 2011년 4월 20일까지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치의학과에 재학 중인 1학년부터 4학년까지의 남학생 224명 중 지원자 192명(85.7%)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지 조사와 임상검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지조사에는 흡연 양태, 음주, 니코틴의존도, 구강위생관리, 간이심리검사가 포함되었고 임상검사에는 치아 및 치주 상태, 니코틴 착색, 타액분비량, 전기 미각역치, 구취에 대한 평가가 시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흡연자군은 금연자군, 비흡연자군에 비해 연령이 약간 높고, 음주를 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알코올섭취량도 많았다(p<0.05). 세 군은 타액분비율, 구취, 전기미각역치 등의 임상조사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양치질 횟수나 치과방문 횟수에 차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우식경험영구치율(DMFT rate), 치주가료필요 정도 및 니코틴 착색 정도에 있어서 흡연자군과 비흡연자군 사이에는 차이가 관찰되었다(p<0.05). 본 연구의 피검자들이 평균 25세로서 흡연자군이라 해도 흡연기간이 길지 않고 흡연량이나 니코틴의존도가 낮은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치주조직에는 이미 유해한 효과를 주고 있다고 판단된다. 기초 자료 분석이지만 흡연은 치주조직에 신속히 영향을 미치므로 금연 치료를 조기에 시행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