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우수저류시설

Search Result 114,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Effective Water Resources Development by the Management of Sediment Deposit in Agricultural Reservoirs (농업용 저수지의 퇴적토사 관리를 통한 효율적 수자원 개발)

  • Son, Kwang-Ik;Shim, Myung-Pil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7 no.6
    • /
    • pp.467-477
    • /
    • 2004
  • Effective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in Korea becomes very important in recent years. Especially, the management of reservoirs cannot be over emphasized. The status of sediment deposit and the dredging records of agricultural reservoirs were examined to find out at e reservoir retention capacity could be raised more than 10% of the total volume of reservoirs in Kyungbook Province. Sediment prediction methods were developed by combining the estimation mothods of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upslope contribution area in GIS, The estimated sediment depsit amount were compared with the dredging records for three agricultural reservoires. It was found that the distributed model with ‘Flow accumulation’ and ‘Multiple Flow Direction Algorithm’ gives good prediction results for mountaineous area.

Sensitivity Analysis of the MUSIC Model Parameters (MUSIC모형의 매개변수에 관한 민감도 분석)

  • Im, Jang-Hyuk;Yeoun, Ji-Woong;Park, Sung-Sik;Song, Jai-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236-240
    • /
    • 2007
  • 최근 집중호우에 의한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도시화에 따른 불투수 면적이 유출량 증가의 주요한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으며 도시의 인구집중으로 인한 지하수의 난개발로 지하수 오염 및 고갈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에 도시의 지속적이고 건전한 물 관리를 위하여 우수유출저감시설이 고려되고 있으며, 정량적인 저감효과의 분석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호주에서 물관리 및 우수유출저감을 고려한 도시유역계획을 위해 이용되고 있는 모형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MUSIC 향후 국내 우수유출저감시설에 관한 수문 해석시 MUSIC의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MUSIC의 매개변수 중 불투수율과 토양특성이 매우 중요한 매개변수로 고려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투수지역의 최대저류깊이, Soil storage(mm), 강우초기 최대저류깊이의 포화정도 Initial storage(%), 지하수위에 도달할 수 있는 Field capacity(mm), 최대 침투율에 영향을 미치는 건조토양상태의 침투율을 정의하는 계수 a와 함수비 증가에 따른 최대 침투율 감소를 정의하는 지수 b 등의 매개변수에 대해 초기값을 중심으로 일정비율로 각 매개변수를 10단계로 구분하여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매개변수의 민감도 분석 결과로부터 MUSIC의 모의를 위해서는 불투수율의 민감도 변화 범위가 가장 넓고 첨두유출량과 총유출량 변화가 함께 일어나므로, 이를 가장 우선적으로 조정하고 이와 함께 토양특성을 반영하는 Soil storage와 Initial storage를 고려한다면 MUSIC을 이용하여 개발에 의한 유출변화와 다양한 우수침투시설 설치에 따른 저감효과를 합리적으로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물 관리를 요구하게 되었다. 우리나라는 현실적으로 매년 홍수 피해가 발생하고 있지만, 다른 한편 인구밀도가 높고 1인당 가용 수자원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국지적 물 부족 문제를 경험하고 있다. 최근 국제적으로도 농업용수의 물 낭비 최소화와 절약 노력 및 타 분야 물 수요 증대에 대한 대응 능력 제고가 매우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2006년 3월 멕시코에서 개최된 제4차 세계 물 포럼에서 국제 강 네트워크는 "세계 물 위기의 주범은 농경지", "농민들은 모든 물 위기 논의에서 핵심"이라고 주장하고, 전 프랑스 총리 미셀 로카르는 "...관개시설에 큰 문제점이 있고 덜 조방적 농업을 하도록 농민들을 설득해야 한다. 이는 전체 농경법을 바꾸는 문제..."(segye.com, 2006. 3. 19)라고 주장하는 등 세계 물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농업용수의 효율적 이용 관리가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국내외 여건 및 정책 환경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물 분쟁에 따른 갈등해소 전략 수립과 효율적인 물 배분 및 이용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농업용수 수리권과 관련된 법 및 제도를 분석하였다.. 삼요소의 시용 시험결과 그 적량은 10a당 질소 10kg, 인산 5kg, 및 가리 6kg 정도였으며 질소는 8kg 이상의 경우에는 분시할수록 비효가 높았으며 특히 벼의 후기 중점시비에 의하여 1수영화수와 결실율의 증대가 크게 이루어졌다. 3. 파종기와 파종량에 관한 시험결과는 공시품종선단의 파종적기는 4월 25일부터 5월 10일경까지 인데 이 기간중 일찍 파종하는 경우에 파종적량은 10a당 약 8${\ell}$이고 늦은 경우에는 12${\ell}$ 정도였다. 여기서 늦게 파종한 경우 감수의 가장

  • PDF

A Study on Urban Inundation Prediction Using Urban Runoff Model and Flood Inundation Model (도시유출모형과 홍수범람모형을 연계한 내수침수 적용성 평가)

  • Tak, Yong Hun;Kim, Jae Dong;Kim, Young Do;Kang, Boosi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6 no.3
    • /
    • pp.395-406
    • /
    • 2016
  • Population and development are concentrated by urbanization. Consequently, the usage of underground area and the riverside area have been increased. By increasing impermeable layer, the urban basin drainage is depending on level of sewer. Flood damage is occurred by shortage of sewer capacity and poor interior drainage at river stage. Many of researches about flood stress the unavailability of connection at the river stage with the internal inundation organically. In this study, flood calculated considering rainfall and combined inland-river. Also, using urban runoff model analyze the overflow of sewer. By using results of SWMM model, using flood inundation analysis model analyzed internal drainage efficiency of drainage system. Applying SWMM model, which results to flood inundation analysis model, analyzes internal drainage efficiency of drainage system under localized heavy rain in a basin of the city. The results of SWMM model show the smoothness of internal drainage can be impossible to achieve because of the influence of the river level and sewer overflow appearing. The main manholes were selected as the manhole of a lot of overflow volume. Overflow reduction scenarios were selected for expansion of sewer conduit and instruction retention pond. Overflow volume reduces to 45% and 33~64% by retention pond instruction and sewer conduit expansion. In addition, the results of simulating of flood inundation analysis model show the flood occurrence by road runoff moving along the road slope. Flooded area reduces to 19.6%, 60.5% in sewer conduit expansion scenarios.

대수층 저장 및 회수 (Aquifer Storage & Recovery) 기법을 활용한 수자원 확보 및 공급 방안 -미국 Oregon 지역의 실제 공급 사례를 중심으로-

  • ;Jeff Barry;Larry Eat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9a
    • /
    • pp.267-271
    • /
    • 2003
  • 대수층 저장 및 회수(Aquifer Storage and Recovery, 이하 ASR) 기법은 지표수가 여유가 있는 기간동안 지하 대수층에 정수된 물을 주입하여 두었다가, 첨두 수요(peak demand)가 필요한 한시적인 기간동안 대수층 내에 저장되어 있던 물을 양수하여 공급하는 새로운 개념의 수자원 공급 체계의 일환이다. 본 발표에서는 미국 Oregon 주의 대표적인 3개 도시에서 수행된 수자원 공급 사업과 이 수자원 공급사업에서 ASR 기법이 어떻게 적용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들 도시에서 수행된 ASR 기법을 활용한 수자원 공급은, 기존 지표 저류조 저장 방식에 비해 월등히 경제적이며, 다양한 이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이들 도시에서의 ASR 기법 적용에 따른 효율성이 2001년도 및 2002년도에 분명하게 나타나 현재 이들 도시는 ASR 시설에 대한 확충 계획을 수립, 진행하고 있다. 한편, 이들 지역의 ASR 기법 활용 용수 공급 사례는, 국내의 경우에도 투수성이 우수한 화산암 지역, 제3기 지층 및 석회암 지역 등에서 활용될 경우, 충분한 효과를 발휘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alyzing the Reduction of Runoff and Flood by Arrangements of Stormwater Storage Facilities (우수저류시설의 배치방법에 따른 유출 및 침수피해 저감효과 분석)

  • Park, Changyeol;Shin, Sang Young;Son, Eun J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 /
    • v.29 no.1
    • /
    • pp.45-54
    • /
    • 2013
  • This study analyzes the reduction effects of runoff and flood damage through different arrangements of stormwater storage facilities. Three scenarios based on the spatial allocation of storage capacity are used: concentrated, decentralized and combinative. The characteristics of runoff and flood damage by scenario are compared. The XP-SWMM model is used for runoff simulation by the probable rainfall of return period. The result shows that the concentrated arrangement of storage facilities is most effective to reduce the amount of peak flow and to delay the time of peak flow. Yet, while the concentrated arrangement is most effective to reduce the inundation damage, it is not effective to reduce runoff volume. The decentralized arrangement is most effective to reduce runoff volume. The combinative arrangement is effective not only the runoff reduction but also the reduction of flood damage.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flood mitigation strategies against heavy rainfall need to consider decentralized on-site arrangement for the reduction of runoff volume along with concentrated off-site arrangement of storage facilities.

Proposal of Hydrologic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for the Improvement of Rainwater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G-SEED (녹색건축 인증제도의 빗물관리 및 이용 항목의 개선을 위한 수문학적 성능평가 방법 제안)

  • Park, Jin;Han, Moo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58-158
    • /
    • 2021
  • 도시에 불투수면적이 증가하고, 기후변화가 극심해져감에 따라 홍수 및 열섬현상과 같은 도시의 물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우리나라의 녹색건축인증제도(Green Standard for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G-SEED)에서는 물순환 관리를 평가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G-SEED의 평가방법을 살펴보면 빗물관리시설의 설치 정도로 평가하고 있고, 강우 특성 또한 고려되고 있지 않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G-SEED의 빗물관리 및 이용 항목에 대해 수문 모델을 통해 효과를 정량화함으로써 성능에 따라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빗물관리 항목에서는 유출저감률을, 빗물이용 항목에서는 빗물이용률을 평가지표로 선정하였고, 각 평가인자를 산출하기 위하여 개념모델을 적용하였다. 빗물이용시설의 경우 초기우수배제장치 용량과 필터 효율에 따른 빗물유입량의 변화와 급수인원에 따른 수요량 변화를 고려한 수문모델을 개발하였고, 수요량과 빗물저장조 용량에 따른 유출저감률과 빗물이용률을 알아보기 위해 MATLAB을 이용하여 모의해보았다. 또한, 옥상녹화의 경우에는 강우, 저류, 증발산, 유출을 고려한 수문흐름모델을 적용하였고, 토층의 두께와 배수(저장) 층의 용량에 따라 모의하여 평가기준을 선정하였다. 제안된 수문모델의 검증을 위하여 서울대학교 기숙사와 35동 옥상녹화의 실측데이터를 비교하였고, 적용성 평가를 위해 RMSE(Root Mean Square Error)와 NSE(Nash-Sutcliffe Efficiency)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방법을 통해 빗물관리시설의 수문학적 성능에 따른 평가가 가능해질 것이며 설계자와 건축가들로 하여금 실질적인 효과를 내는 시설을 설치하게끔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nalysis of runoff reduction performance of permeable pavement and rain barrel in Mokgam stream basin and determination of installation priorities (목감천 유역 내 투수성포장과 빗물저류조의 유출량 저감 성능 분석 및 설치 우선 순위 결정)

  • Chae, Seung-Tak;Chung, Eun-Sung;Park, Inhwa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6 no.12
    • /
    • pp.905-918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assess runoff reduction performance and determine installation priorities for Permeable Pavement (PP) and Rain Barrel (RB) within the Mokgam Stream basin. Optimal design parameters were determined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PP and RB in reducing runoff. Furthermore, the optimal parameters were incorporated to compare the runoff reduction performance of PP and RB. Analysis of the runoff curve at the basin outlet indicated that PP demonstrated superior performance in reducing runoff during the rising limb of the curve. At the same time, RB excelled within the falling limb. Comparisons of total runoff and peak runoff reduction by sub-catchment revealed that in larger sub-catchment areas, PP outperformed RB in runoff reduction. In contrast, RB exhibited higher performance in areas with a higher impervious ratio. Based on the evaluation of runoff reduction performance for PP and RB, installation priorities were determined within the Mokgam Stream basin. The results showed that PP and RB installations were prioritized for sub-catchments with larger areas and a higher impervious ratio. Furthermor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anking of runoff reduction performance and sub-catchment characteristics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both the impervious area ratio and sub-catchment geometrical properties in sub-watersheds exhibiting the top 25% runoff reduction performance. These results emphasize that when determining the priority for installing LID facilities in developed urban area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not only the impervious area ratio but also the geometrical properties of the sub-catchment.

A Prediction Model for Removal of Non-point Source Pollutant Considering Clogging Effect of Sand Filter Layers for Rainwater Recycling (빗물 재활용을 위한 모래 정화층의 폐색특성을 고려한 비점오염원 제거 예측 모델 연구)

  • Ahn, Jaeyoon;Lee, Dongseop;Han, Shinin;Jung, Youngwook;Choi, Hangseok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30 no.6
    • /
    • pp.23-39
    • /
    • 2014
  • An artificial rainwater reservoir installed in urban areas for recycling rainwater is an eco-friendly facility for reducing storm water effluence. However, in order to recycle the rainwater directly, the artificial rainwater reservoir requires an auxiliary system that can remove non-point source pollutants included in the initial rainfall of urban area. Therefore, the conventional soil filtration technology is adopted to capture non-point source pollutants in an economical and efficient way in the purification system of artificial rainwater reservoirs. In order to satisfy such a demand, clogging characteristics of the sand filter layers with different grain-size distributions were studied with real non-point source pollutants. For this, a series of lab-scale chamber tests were conducted to make a prediction model for removal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based on the clogging theory. The laboratory chamber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by permeating two types of artificially contaminated water through five different types of sand filter layers with different grain-size distributions. The two artificial contaminated waters were made by fine marine-clay particles and real non-point source pollutants collected from motorcar roads of Seoul, Korea. In the laboratory chamber experiments, the concentrations of the artificial contaminated water were measured in terms of TSS (Total Suspended Solids) and COD (Chemical Oxygen Demand) and compared with each oth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sand filter layers. In addition, the accumulated weight of pollutant particles clogged in the sand filter layers was estimated. This paper suggests a prediction model for removal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with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grain-size distribution and composition, and change in the hydraulic conductivity and porosity of sand filter layers. The lumped parameter ${\theta}$ related with the clogging property was estimated by comparing the accumulated weight of pollutant particles obtained from the laboratory chamber experiments and calculated from the prediction model based on the clogging theory. It is found that the lumped parameter ${\theta}$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amount of the pollutant particles clogged in the pores of sand filter layers. In conclusion, according to the clogging prediction model, a double-sand-filter layer consisting of two separate layers: the upper sand-filter layer with the effective particle size of 1.49 mm and the lower sand-filter layer with the effective particle size of 0.93 mm, is proposed as the optimum system for removing non-point source pollutants in the field-sized artificial rainwater reservoir.

An Analysis of the Outflow reduction effect of Bio-retention in Small watershed during Short-term rainfall (단기 강우 시 소규모유역에서 생태저류지의 유출 저감효과 분석)

  • Cheon, Jong-hyeon;Kim, Jae-moon;Jang, Young-su;Shin, Hyun-su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0 no.2
    • /
    • pp.434-442
    • /
    • 2019
  • Low Impact Development(LID) techniques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a countermeasure to solve frequent flood damage in urban areas. LID is a techniques for returning to the natural hydrological cycle system by infiltrating the runoff from the impervious surface into the soil. The Bio-retention, one of the LID element technology has outflow reduction effect by reserving and infiltrating storm water runoff from watersheds. Recently, a number of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as interest in the reduction of storm water runoff and non-point pollutants in Bio-retention has increased. However, quantitative analysis on the outflow reduction of Bio-retention applied to small watershed is insufficient. In this study, Bio-retention model was constructed in a small watershed using K-LIDM which is capable of hydrologic analysis. When the storage capacity was increased or dividing the Bio-retention and watershed, the outflow reduction effect was 20% according to the storage capacity increase and 5~15% in the distributed Bio-retention system.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will be used as the basic data of future Bio-retention research related to watershed characteristics, vegetation type and soil condition.

The Study on Master Plan for the Water Circulation system of Urban (도시 물순환시스템 구축 방안에 대한 연구)

  • Lee, Bae-Sung;Lee, Seung-Hee;Kim, Ji-Ho;Park, Tak-Jun;Oh, Kyu-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405-409
    • /
    • 2008
  • 우리나라의 도시는 리우선언이후 지속가능한 개발 원칙아래 친수와 생태를 모티브로 하여 급격히 변화되어 개발되어 가고 있다. 파주운정신도시는 국내최초 물순환시스템, 광교신도시는 2개의 기존 저류지를 활용한 물순환시스템, 인천청라지구는 녹지공간에 운하를 만드는 운하도시, 김포신도시는 대수로를 활용한 운하도시, 강서지구는 한강과 연결되는 친수도시로 진행중이다. 이러한 개발에는 지속가능한 수량확보와 수질보전이 선결되어야 하므로 다양한 방안들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물을 다스릴 수 있는 도시로 변화함에 따라 치수적으로 안전할 뿐 만 아니라, 각종 재난으로 부터도 안전한 U-city로 진행되고 있다. 국외의 경우 미국의 샌안토니오 등이 도시내 운하를 건설하여 관광객을 유치하고 있고, 독일의 크론스베르크가 지구 전체에 우수저류 및 침투시설을 도입하였으며, 일본 동경이 새로운 운하프로젝트를 수행중이다. 또한 홍콩이 세계최대의 습지공원을 신도시와 병행하여 건설하였고, 싱가폴에서는 아시아 최대의 담수화 공장을 건설중이며, 뉴워터(Newater) 프로젝트로 물을 재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국내 외 사례가 물순환시스템을 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물순환시스템의 전체적인 개념을 다양한 선진사례 등을 토대로 검토하고, 현재 진행중인 국내 도시들을 토대로 정리하여, 물순환시스템의 체제를 구축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연구를 통해 향후 국내 지자체들의 도시재개발과 신도시개발, 국외 도시개발시 물순환시스템을 구축하는 경우 물순환과 관련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