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우선순위도출

검색결과 905건 처리시간 0.028초

제한된 합리성 하에서 다문화 정책에 대한 상대적 우선순위 분석 (Bounded Rationality under Analysis of Relative Priorities on Multi-cultural Policy)

  • 정석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317-326
    • /
    • 2018
  • 본 연구는 제한된 합리성 하에서 다문화정책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위해 AHP모델을 작성하여 전문가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측정영역에서는 안정된 사회정착지원정책(1순위), 다문화 가족 2세들의 사회적 역량개발 정책(2순위), 사회 경제활동 지원정책(3순위), 협력적 거버넌스(4순위)의 순으로 정책 우선순위가 평가되었다. 둘째, 측정요소의 우선순위이다. 안정된 사회정착 지원정책에서는 사회정착 서비스 대상 확대정책, 다문화 가족 2세들의 사회적 역량개발 정책에서는 사회적 진출지원 정책이 가장 중요하게 평가되었다. 사회 경제활동지원 정책에서는 적극적 경제활동 지원정책, 협력적 거버넌스 정책 추진에서는 정책실천주체들의 협력시스템 구축이 가장 중요한 정책 우선순위로 평가되었다. 이런 연구결과는 다문화정책을 현실적 차원에서 설명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공간 빅데이터 핵심서비스 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lection of Core Services for Geo-Spatial Big Data)

  • 이명호;박준민;신동빈;안종욱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85-396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 빅데이터의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서비스 분야 및 분석기능의 우선순위를 도출하고, 핵심 서비스를 선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공간 빅데이터 서비스 수요조사 방법을 설정, 산·학·연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공간 빅데이터 서비스 분야 및 분석 기능에 대한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품질기능전개 기법(QFD, Quality Function Deployment)을 활용하여 1순위부터 4순위까지 (사회, 환경, 경제, 인문)총 4개 분야의 서비스와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그 중 1. 2순위 분야와 분야 별 요구되는 분석기능을 선정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핵심서비스모델(안)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분야별 핵심서비스가 개발될 것으로 기대한다.

융·복합형 스마트시티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우선순위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iority Analysis for Activating the Convergence Smart City Service)

  • 장환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152-161
    • /
    • 2017
  • 본 연구는 융 복합형 스마트시티 서비스 실현을 위해 필요한 사항이 무엇이고, 각각에 대한 중요도 및 우선순위는 무엇인지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첫째 융 복합형 스마트시티 서비스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그 개념을 정립한다. 둘째, 스마트시티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수행하여 융 복합형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를 도출한다. 셋째, 도출된 필요요소를 세분화하고 AHP기법을 활용하여 영역별 세부요소 간 우선순위 및 중요도를 도출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스마트시티 사업의 핵심으로 자리잡을 것으로 예상되는 융 복합형 스마트시티 서비스의 구현을 위해 무엇을 중점적으로 고려하여야 하는지에 대해 고민해 봄으로써 향후 융 복합형 스마트시티 서비스의 안정적 정착과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가상화폐 거래를 위한 시장안정화요인의 우선순위 도출 (Prioritization of Market Stabilization Factors for Virtual Currency Trading)

  • 강다연;황종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519-526
    • /
    • 2018
  • 최근 가상화폐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전통적인 자산을 추구하는 것이 안전하다는 견해도 있으며 가상화폐로 인해 다각화될 수 있는 금융사회에 긍정적인 변화를 기대하기도 하는 입장의 자산전문가들도 있다. 현재 가상화폐 시장은 미성숙한 상황이라 볼 수 있으며, 아직 가상화폐에 대한 안정성이 확보 되지 않은 상태이기에 가상화폐의 거래에 대한 잠재적인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화폐가 시장거래에 있어서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는 평가요인들을 도출하여 중요우선순위를 도출하고자 한다. 주요 평가요인으로는 거래환경의 관점, 기술적 관점, 이익적 관점으로 선정하였으며 이에 따른 하부요인들의 중요도는 AHP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상태평가를 이용한 댐 시설물 부재별 보수·보강 우선순위 도출 (Derivation of Repair or Reinforcement Priority of Dam Members using State Assessment)

  • 김태형;권지혜;박지연;최홍석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285-285
    • /
    • 2015
  • 댐 및 저수지 시설물은 노후화나 안전성 미확보로 인한 파손 또는 붕괴 발생 시 하류부에 막대한 인명과 재산피해 등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대형 안전사고를 예방하고자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에서는 댐 시설물을 규모별로 1, 2종 시설물로 구분하고, 이에 대해 주기적으로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하도록 제도화하는 한편 진단 결과에 따라 보수 보강 등의 안전조치를 의무화하고 있다. 구조물 결함에 따른 보수 보강은 보수재료와 공법 선정시 공법의 적용성, 구조적 안전성, 경제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손상 부위에 대한 보수 보강은 제한된 예산과 인력을 효율적으로 투자하기 위해 보수재료 및 공법의 선정 뿐만 아니라 보수 보강이 이루어져야 하는 부재에 대한 우선순위를 산정하는 것이 최우선적으로 선행되어야 한다.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세부지침에서는 보수 보강 대책 마련 시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결과를 기초로 하여 적정 재료 및 공법을 선정하고, 보수 보강의 수준 및 우선순위를 결정하도록 명시되어 있다. 하지만 우선순위 결정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부재하여 불필요한 시공과 비효율적인 예산 투입으로 인해 국가예산의 낭비되고 시설물의 안전까지 위협받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설물의 상태에 따른 적절한 보수 보강 필요성을 판단하고 보수 보강 수준 및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댐 시설물에 대한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의 종합평가는 평가대상 개별시설에 대하여 상태 평가 및 안전성 평가를 실시한 후 그 결과에 의해 산출된 상태평가지수와 안전성평가지수를 비교하여 평가단계별로 그 결과를 취합하여 종합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따라서 상태평가에 의해 산정된 종합평가 결과를 이용하여 개별 부재의 상태평가값 산정을 위해 하부 단계의 가중치 및 평가 지수 역산하고, 재산정된 가중치 및 평가지수를 이용하여 각 부재에 대한 보수 보강 우선순위를 산정하고자 하였다. 개발된 방법론은 점검 진단 책임기술자 및 시설물 관리주체 담당자가 댐 시설물의 개별부재에 대한 보수 보강 실시 여부를 판정할 수 있는 기준으로, 보수 보강에 대한 정책 결정시 경제성을 고려한 신뢰도 있는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HP를 활용한 학교도서관 운영평가 지표의 우선순위 분석 (An Analysis on Priority of School Library Evaluation Index Utilizing the AHP)

  • 임정훈;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69-189
    • /
    • 2019
  • 이 연구는 학교도서관 운영평가 지표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여 현장성이 반영된 평가지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교도서관의 대표적인 전담인력인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Analytic Hierarchy Progress(AHP)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평가지표의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상위 계층 평가영역의 우선순위는 인적자원, 도서관서비스, 정보자원, 도서관경영, 시설 환경 순으로 나타났고, 하위 계층 평가항목의 우선순위는 인력자원배치, 인력자원 전문성, 독서교육, 정보활용교육, 교육활성화 노력, 장서 구성 적설성, 장서 최신성, 예산, 시설 접근성, 장서 현황, 시설 설비 적절성, 경영계획, 이용 접근성, 홍보 및 마케팅,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 협력, 자료이용현황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론은 현장성이 가미된 학교도서관 평가지표를 적용함에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미숙아와 가족을 위한 증강현실(AR) 기반 맞춤형지지 프로그램 개발 요구분석을 위한 델파이 연구 (A Delphi study on the Needs for the Development of a Customized Support Program based on Augmented Reality for Preterm infants and their Families)

  • 신재은;김아림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5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1호
    • /
    • pp.49-51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한 미숙아와 가족 대상의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기반 맞춤형지지 케어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관련 전문가 합의를 도출한 델파이 조사 연구이다. 3D 콘텐츠를 적용한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핵심 구성요소 혹은 교육 콘텐츠를 발굴하여 개발의 방향성을 제안하기 위한 델파이 분석에, 미숙아 및 전문가 집단 14명(1차)과 113명(2차)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각 델파이 집단에서 수집된 반응들의 분석 결과, 4개의 하위영역(AR 프로그램의 필요성 및 가치(장점), AR 기반 프로그램 도입과 적용 시 고려할 점, AR 기반 전인적 e케어 프로그램 도입 시 요구와 전략적 방안, 입원 초기부터 퇴원 전 단계별 지지케어 위한 3D 콘텐츠 개발 우선순위)이 분류되었으며, 총 57문항이 도출되었다. 입원 초기부터 퇴원 전 단계별 지지케어 위한 3D 콘텐츠 개발 요구도와 우선순위에 있어서는, 부모 경우 신생아 케어의 반복적 체험 훈련 통한 부모 교육, 아기 본연의 독특하고 고유한 캐릭터나 습관 및 특성 관련 정보 공유, 발달을 돕는 양육 또는 놀이 교육, 가족 요구 기반 특수 간호 기술 훈련 등의 항목의 우선순위가 높았다. 한편, 전문가의 경우 건강한 부모역할로의 이행을 돕기 위한 심리사회적지지, 부모-아기 간 단절 최소화, 미숙아 발달 관련 정보 및 양육 또는 놀이 정보 공유, 부모-아기 상호작용 기회 제공 등으로 요구도의 우선순위가 높았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델파이 평가문항의 내적일관성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Cronbach's α .89~.94로 높았고, 타당도와 문항 구성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미숙아와 가족을 위한 AR 기반 맞춤형지지 케어 프로그램 개발의 적합성이 검증되었고, 프로그램의 임상적, 기술적, 사용적 가치에 있어서 고려할 사항과 교수매체로서 부모와 전문가 집단이 요구하는 3D 콘텐츠 우선순위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기획 및 설계의 근거를 확보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PDF

피해규모를 고려한 용수공급시스템 누수복구 우선순위 선정 (Determination of a priority for leakage restoration considering the scale of damage in for water distribution systems)

  • 김률;권희근;최영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6권10호
    • /
    • pp.679-690
    • /
    • 2023
  • 누수는 용수공급시스템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대표적인 비정상상황 중 하나이다. 누수는 관로가 매설된 이후부터 잠재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발생 직후부터 즉시 경제적 및 수리학적 피해를 입을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적시에 감지하고 탐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시스템이 지하에 매설되어 있어 이를 빠르게 인지하는 것은 쉽지 않으며 인지한다 하여도 복구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가용자산이 요구된다. 따라서 다중 누수가 발생할 시 누수규모 및 위치에 따라 복구 우선순위에 대한 우선순위를 선정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최적의 복구전략이 도출되어 이를 수행할 시 시스템의 탄력성 측면에 있어 유리함을 가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기반 모의 누수를 발생시켜 비정상상황 시나리오를 구축하였으며 이에 따라 딥러닝 기반 모델로 누수탐사를 수행하였다. 탐사 결과로 얻어지는 누수위치와 누수량은 이 후 누수복구 우선순위를 위한 요소로써 활용되며 타 요소와 함께 최적의 누수복구 시나리오를 도출하였다.

지능형 지하시설물관리를 위한 상수도 모니터링 기술개발의 우선순위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iority Order Evaluation of the Water Supply Monitoring Technology Development for the Intelligent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 김정훈;이미숙;한재일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6권2호
    • /
    • pp.263-278
    • /
    • 2008
  • 최근 지방자치단체들은 u-City 사업구상을 통해 지능형 지하시설물 관리를 계획하고 있지만, 지하시설물의 지능화를 위해서는 막대한 재원이 소요되므로 단계적 접근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표는 센싱기술 개발의 우선순위가 높은 상수도 모니터링 항목을 도출하여 기술적 실현가능성과 경제적 파급효과가 높은 킬러어플리케이션을 발굴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상수도 업무분석, 심층면담조사, 지자체 설문조사, 전문가의견조사 등을 통해 최종 모니터링 항목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유량계 유량, 상수관로 누수 균열, 상수관로 압력, 정수장 유량에 대한 모니터링 기술개발의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상수도 시설물 관리의 실제적인 수요와 우선순위를 도출하고 평가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향후 지하시설물 지능화 관련 기술개발의 방향성 제시에 기여할 것이라 기대된다.

  • PDF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채택 시 기업이 판단해야 하는 신뢰성, 보안성, 경제성 요인의 중요도 분석 (A Study on the Importance Analysis of Reliability, Security, Economic Efficiency Factors that Companies Should Determine When Adopting Cloud Computing Services)

  • 강다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9호
    • /
    • pp.75-81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에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채택하기 전에 판단 해야하는 중요한 요인들에 대한 우선 순위를 도출하고 평가한다. 연구 방법으로 전문가들에 대한 의사결정 사항을 반영하기 위해서 AHP 분석기법을 활용하였다. AHP는 복잡한 의사결정 문제를 계층적으로 표현하고 그 계층의 항목 간의 쌍대비교(Pairwise comparison)를 통하여 최선의 대안을 도출해 내는 의사결정 기법이다. 기존의 통계적 의사결정 기법들과 비교해 의사결정과정이 체계적이며 간단하여 이해하기가 쉽다. 또한 분석과정에서 의사결정자의 일관성을 판단할 수 있는 지표를 제공하여 절차 또한 합리적이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중요도 우선순위 항목으로 보안성, 신뢰성, 경제성 순으로 나타났다. 보안성의 하위 항목요인 중 제1순위는 접근권한의 통제성, 2순위는 외부위협의 안전성으로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가 추후 실무에서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는 방안으로 활용되는데 이바지할 수 있으며, 향후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채택을 한 기업의 만족도를 평가하여 비교·분석하는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