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용존화

Search Result 271,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초음파와 고전압 병행 처리에 의한 슬러지 용존화 상승효과 (Synergic effect of sludge solubilization by the combined treatment of ultrasound and high voltage)

  • 변영철;김재훈;신동남;고동준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88.1-188.1
    • /
    • 2011
  • 0.5 ton/day 용량의 장비를 이용하여 초음파와 고전압 단독 처리에 의한 슬러지 용존화율을 조사하였다. 또한 초음파와 고전압을 병행한 방법에 의한 슬러지 용존화율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초음파와 고전압을 개별적으로 적용하였을시 나타나는 슬러지 용존화율 보다 이 둘을 병행하여 함께 처리했을 시에 나타나는 슬러지 용존화율에 기대 이상의 상승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용존 유기인 종 용존 핸산의 중요성 및 대양 인 순환에서의 의미 (Significance of Dissolved Nucleic Acids in Dissolved Organic Phosphorus (DOP) Pool and Their Dynamics in oceanic Phosphorus Cycle)

  • 조병철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45-150
    • /
    • 1990
  • 용존 유기물 풀(pool)의 구성 성분과 그것들이 인 순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용존 유기인의 구성 성분과 용존 유기인에 대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용존 핵산은 대양수의 영양단계가 높아짐에 따라 그 중요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였 다. 흥미로운 것은 전체 5'뉴클레오티드와 용존 핵산의 합이 용존 유기인 풀을 우점하 는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따라서 용존 핵산의 광물화는 대양 표층수에서 용존 핵산 과 용존 유기인이 생성되는 기작으로서 미생물의 사망에 관련된 프로세스들이 중요하 며 특히 용존 핵산의 생성에 있어던 포식자에 의한 먹이의 불완전 소화가 중요한 기작 으로 사료된다.

  • PDF

하수처리장 에너지자립화사업에서 혐기성소화공정으로부터 용출되는 용존성질소($NH_3-N$)의 처리 필요성 연구 (The Study of the Need to Remove Soluble nitrogen ($NH_3-N$) Generated from Anaerobic digestor Retrofitted in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Plants)

  • 안세영
    • 유기물자원화
    • /
    • 제22권3호
    • /
    • pp.68-75
    • /
    • 2014
  • 하수슬러지를 혐기성 소화하는 과정에서 용출되는 용존성질소는 다시 수처리시설로 반송되어 질산화 효율이 떨어지는 동절기 법적 방류수 질소 수질기준에 영향을 준다. 컴퓨터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GPS-X)를 이용하여 A하수처리시설을 대상으로 소화조에서 발생하는 용존성질소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소화조가 있는 처리시설에서의 총 반송수와 1차침전지 유입수 용존성질소 농도는 소화조가 없는 시설에서의 농도보다 각각 214.1 mg/L, 6.2 mg/L 높게 산출되었다. 슬러지 처리시설에서의 반송수를 처리하는 반송수처리시설(부상분리조)을 설치하는 경우 총반송수 용존성질소 농도는 반송수처리시설이 없는 경우보다 6.0 mg/L 높게 나타났으며 1차침전지 유입수 용존성질소 농도를 0.7 mg/L 낮게 산정되었다. 시뮬레이션 결과, 하수슬러지를 혐기성소화하여 에너지자립화율을 향상시키는 사업에서 슬러지 처리시설에서 발생하는 여액과 상등액의 용존성질소($NH_3-N$)를 처리할 수 있는 시설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바이오/환경 센서 응용을 위한 응답특성이 향상된 초소형 용존산소 센서 (Ultra-High Responsive Dissolved Oxygen Sensor for Bio/Environmental Sensor Applications)

  • 이이재;김정두;박재영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9년도 제40회 하계학술대회
    • /
    • pp.1541_1542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바이오/환경센서 응용을 위해 실리콘 기판위에 나노 동공구조 백금 전극을 작동전극으로 갖는 소형화된 용존산소센서를 설계 및 제작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제작된 용존산소 센서는 15 mm $\times$ 8 mm $\times$ 0.6 mm의 소형화된 크기를 가졌으며, -0.9 V의 인가전위 시에 각각 산소 포화 상태와 무산소 상태에서 2.14 mA와 0.8 mA의 환원전류 특성을 보였다. 또한, 다양한 산소 농도상태에서 각기 다른 전류응답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통해서 다양한 산소농도에 대한 센싱특성을 검증하였다. 한편, 제작된 용존산소 센서는 전극제작에 사용된 나노 동공구조 백금 전극의 높은 촉매 특성에 기인하여 90% 전류응답시간이 7초 이내로 기발표된 다른 연구들에 비해 현저히 향상된 응답특성을 보였다.

  • PDF

케로신 내 용존질소 측정 및 제거 방법 연구 (A Study on Measurement and Elimination Methods of Dissolved Nitrogen in Kerosene)

  • 이원구;김성룡;안규복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142-148
    • /
    • 2018
  • 발사체 연료 케로신은 발사체의 성능 향상을 위해 고밀도화 과정을 거치게 된다. 고밀도화 방법 중 액체질소 주입 냉각법은 시스템이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한 효과적인 방법이다. 하지만 냉각과정 중 질소가 케로신에 용해되어 물성을 변화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냉각 후 케로신 내 용존질소의 양을 측정하고 제거하는 작업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케로신 내 용존질소 함유량을 측정할 수 있는 진공추출 원리를 소개하였다. 또한 질소 샘플링 장치를 설계/제작하여 수행한 실험 결과를 설명하였다. 실험결과로부터 질소 샘플링 장치와 용존질소 측정법/제거법의 유효성을 입증하였다.

2012년과 2014년 봄철 동해 남서부 해역 유색용존유기물의 분포 및 특성 비교 (Comparison of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CDOM in Spring 2012 and 2014 in the Southwestern East Sea of Korea)

  • 박현실;박미옥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53-568
    • /
    • 2018
  • 해양환경에서 유색용존유기물은 자외선과 가시광선을 흡수하는 주요한 역할을 하며, 표층에서 광분해 과정을 통해 이산화탄소로 산화됨으로써 해양환경의 생지화학적 탄소순환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 봄철 유색용존유기물을 포함한 해수의 혼합층에서 순수한 해수에 비해 약 40 % 이상 열에너지를 흡수한다는 점도 알려지면서, 유색용존유기물이 기여하는 해수 수온상승에 대한 역할의 중요성이 알려졌다. 본 연구는 봄철 동해 남동부해역의 해수표층에서 빛에너지 흡수의 원인이 되는 유색용존유기물에 의한 흡광도와 흡광 특성을 측정하였다. 봄철 동해 남서부해역에서 2012년과 2014년에 측정된 유색용존유기물의 분포를 비교하고 공급원을 파악하고자 S값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두 해의 표층수 중 유색용존유기물의 흡광계수는 평균값이 $0.237m^{-1}$($0.009{\sim}0.988m^{-1}$)이고, S값은 $16{\mu}m^{-1}$로서 연안수의 특성을 보였다. Chl a와 유색용존유기물 사이에 약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2=0.34$), 특히 외양에 비해 연안 쪽 정점들이 더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봄철 혼합층에서 2014년 유색용존유기물의 농도는 $0.299m^{-1}$로서 2012년의 $0.180m^{-1}$에 비해 약 40% 높게 측정되었다. 두 해의 유색용존유기물이 흡광계수의 차이는 연 변화 이외에도 측정시기의 차이에서 2012년 봄철 진행된 성층화와 일조량 증가에 의한 광분해의 결과로 보인다. 이는 간접적으로 표층 해수 표면을 통한 광산화과정에 의한 대기로의 이산화탄소 유입 가능성을 시사한다.

PWR 불시정지시 냉각재화학 변화에 따른 화학제어 방향 도출

  • 성기웅;나정원;구제휴;성기방;강덕원;정홍호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발표회논문집(1)
    • /
    • pp.357-362
    • /
    • 1997
  • PWR 원전 계획 예방정비 기간 중에는 Crud 제거를 위한 정지화학 제어가 수행되고 있으나, 불시정지시 화학제어에 대한 접근은 거의 전무하다. 이에, 정지시 냉각재화학 변화에 따른 Nickel Ferrite의 안정성에 대해 검토하고, 불시정지시 냉각재 화학제어의 방향을 도출하였다. 계획정지 화학제어가 가능한 불시정지시에는 Nickel Ferrite 용출 증대를 위한 조기 붕산화와 고농도 용존수소 (Fig. 1 참조) 유지 및 산성-산화 단계의 도입이, 적용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Nickel Ferrite 용출 억제를 위한 붕산화 연기 및 용존수소의 저농도 유지가 타당할 것이다.

  • PDF

용존산소 제거용 중공사 탈기막의 방사선장하에서의 영향평가에 대한 연구

  • 김문수;이두호;강덕원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4년도 학술논문집
    • /
    • pp.229-229
    • /
    • 2004
  • 원자력발전소에서 원자로 냉각재 중의 용존산소 제어는 원자로 냉각재 계통에서의 전면 부식과 다양한 형태의 응력부식균열(SCC)를 완화시키는데 기여한다. 원자로 냉각재 계통내에 용존 되어있는 산소는 발전소 기동 시에는 하이드라진($N_2H_4$)을 넣거나 인위적 배기를 통해 제거하고, 정상운전 중에는 체적제어탱크(VCT)에 수소를 가압하여 제거시킨다. 계통내로 유입되는 용존산소를 최대한 억제하기 위하여 대부분의 원자력발전소는 원자로 보충수 탱크 상층부에 질소를 주입하여 탱크로 유입되는 공기를 차단하고 있으나, 이 과정에서 일부 수중에 용해되어 들어가는 질소는 계통 내에서 NH$_3$를 형성하여 화학체적제어계통(CVCS)의 이온교환 수지탑에 치환됨으로서 기포화 되어있는 Li을 계통으로 빠져나오게 하여 계통 pH에 영향을 미친다.(중략)

  • PDF

용존가스 제어를 통한 정밀 초음파 디버링 머신 개발 (Development of the Ultra Sonic Deburring Machine through Dissolved Gas Control)

  • 서지윤;정성학;정도운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76-87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및 기계부품의 제조공정에서 핵심부품인 밸브바디의 주물공정 후 생성된 버(burr)를 제거하기위한 초음파 디버링 장치를 개발하고자하였다. 초음파 디버링장치는 진동부와 제어부로 구성되고 디버링효과의 극대화를 위해 디버링 수에 포함된 용존가스의 제거가 매우 중요함에 따라 용존가스 제어기법을 적용한 초음파 디버링 장치를 개발하고 평가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초음파 디버링에서의 용존가스에 따른 디버링 성능을 평가하고 실제 시스템에 적용하기위한 산업적용 가능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 PDF

방사무늬김 황백화 발생에 해양환경이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rin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n a discoloration outbreak of Pyropia yezoensis)

  • 이상용;김영희;이지은;유현일
    • 환경생물
    • /
    • 제37권4호
    • /
    • pp.535-544
    • /
    • 2019
  • 김 황백화에 대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전라북도 김양식장에 2011년부터 2014년까지 양식환경 특성과 황백화 피해 엽체의 형태 및 세포구조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금강 하구역에 위치한 개야도에서는 황백화가 확인되지 않았고 새만금방조제 주변의 도청리, 비안도, 무녀도와 선유도에서 황백화가 발생하였다. 김의 황백화 피해는 2011년 11월, 2014년 4월과 11월에 확인되었으며, 황백화 피해 엽체는 엽체 퇴색과 세포 내 액포 비대가 발생하였다. 연구기간 동안 황백화는 DIN과 DIP의 농도가 각각 5 μM와 0.4 μM 이하에서 발생하였다. 용존무기질소(DIN)와 용존무기인(DIP)의 비를 통해 결핍된 용존무기영양염을 확인한 결과 DIN 결핍은 양식 초기, 낮은 DIP 농도는 양식 말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