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용언

Search Result 215, Processing Time 0.02 seconds

Lexical Status of Main and Supportive Verbs in Mental Lexicon (본용언과 보조용언의 의미 처리에 관한 연구 : 일반인과 실어증 환자를 대상으로)

  • Moon, Young-Sun;Kim, Dong-Hwui;Pyun, Sung-Bum;Hwang, Yu-Mi;Jung, Jae-Bun;Nam, Ki-Ch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9.10e
    • /
    • pp.447-454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국어의 본용언과 보조용언이 어떠한 방식으로 처리되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영어와 달리 국어는 보조용언이 조동사의 역할을 담당하여 화자의 심리적인 상태나 상(想)을 나타내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같은 어휘가 본용언으로 쓰일 때와 보조용언으로 쓰일 때 그 의미적 차이는 뚜렷하다. 특히 보조용언으로 쓰일 때는 어휘적 의미가 대부분 사라지고 추상적 의미만 남기 때문에 본용언과의 관련성을 따져보는 것도 중요한 연구과제이다. 또한 우리의 심성어휘집(mental lexicon)에서 본용언과 보조용언이 동일한 영역에서 처리되는지도 알아볼 필요가 있다. 만일 동일한 심성어휘집을 사용한다면 보조용언으로 쓰인 환경에서도 본용언의 어휘적 의미가 활성화될 것이다. 이에 대해 본 연구에서는 정상인 피험자와 실어증환자를 대상으로 실험을 하였다. 정상인 피험자를 대상으로는 SOA가 짧은 조건과 긴 조건에서 각각 보조용언을 어떻게 처리하는 지 살펴보았고, 실어증환자를 대상으로는 정상인 피험자와 비교해서 어떤 양상으로 보조용언을 처리하는 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정상인 피험자는 SOA가 짧은 조건에서는 본용언과 보조용언을 모두 동일한 방식으로 의미처리하였다. 즉 보조용언의 어휘적 의미가 본용언과 마찬가지로 SOA가 짧을 때는 활성화되었다. 그러나 SOA가 길어지면 보조용언은 문맥 정보로 인해 어휘적 의미가 억제되어 본용언과 다른 의미로 해석된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런 정상인 피험자와 비교해 보았을 때, 실어증 환자는 두 가지 양상이 나타났다. 명칭성 실어증환자의 경우, 정상인과 비슷한 결과가 나왔으나 보조용언으로 쓰일 때, 본용언보다 어휘적 의미가 다소 불안정하게 활성화됨을 보였다. 그러나 이해성 실어증환자의 경우, 보조용언으로 쓰일 때 어휘적 의미가 전혀 활성화되지 않아 정상인과는 다른 언어처리를 하고 있음이 밝혀졌다.류의 의미가 모두 활성화되는 것을 보여 주었다. 즉, "먹은"과 간은 어절 이해는 구성 형태소로의 분석과 구성 형태소 어휘 접근을 통해 어절 이해가 이루어진다는 가설을 지지하고 있다. 실험 2에서는 실험 1과 다르게 한 뜻으로만 안일 수밖에 없는 "쥐어"와 같은 어절을 사용하여 이런 경우에도(즉, 어절의 문맥이 특정 뜻으로 한정하는 경우) 구성 형태소로의 분석 과정이 일어나는지를 조사하였다. 실험 2의 결과는 실험 1의 결과와는 다르게 어간의 한가지 의미와 관련된 조건만 촉진적 점화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보여주었다. 특히, 실험 2에서 SOA가 1000msec일 경우, 두 의미의 활성화가 나타나는 것을 보여주었는데, 이 같은 결과는 어절 문맥이 특정한 의미로 한정시킬 경우는 심성어휘집에 활용형태로 들어있다는 것이다. 또한 명칭성 실어증 환자의 경우에는 즉시적 점화과제에서는 일반인과 같은 형태소 처리과정을 보였으나, 그이후의 처리과정이 일반인과 다른 형태를 보였다. 실험 1과 실험 2의 결과는 한국어 어절 분석이 구문분석 또는 활용형태를 통해 어휘 접근되는 가설을 지지하고 있다. 또 명칭성 실어증 환자의 경우에는 지연된 점화과제에서 형태소 처리가 일반인과 다르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 결과가 옳다면 한국의 심성 어휘집은 어절 문맥에 따라서 어간이나 어근 또는 활용형 그 자체로 이루어져 있을 것이다.으며, 레드 클로버 + 혼파 초지가 건물수량과 사료가치를 높이는데 효과적이었다.\ell}$ 이었으며 , yeast extract 첨가(添加)하여 배양시(培養時)는 yeast extract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단백질(蛋白質) 함량(含量)도 증가(增加)하였다. 7. CHS-13 균주(菌株)의 RNA 함량(含量)은 $4.92{\times}10^{-2 }\;mg/m{\ell}$이었으며 yeast ext

  • PDF

Treatment of Auxiliary verbs in analysis of Korean causative/passive sentence. (한국어 구문분석에서 사동/피동문 분석을 위한 보조용언의 처리)

  • Lee, Hyun-Ju;Kim, Kye-Sung;Jo, Jun-Mo;Lee, Sang-J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6.10a
    • /
    • pp.497-506
    • /
    • 1996
  • 한국어에서 보조용언은 본용언에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나타나서 많은 문법적 기능을 담당하고 화자의 양태 관계를 나타낸다. 그 중에서 사동 보조 용언과 파동 보조 용언이 본용언에 결합되었을 때는 본용언의 하위 범주화 값이 달라지며 문장에서 각 성분들의 의미역할이 바뀌게 된다. 따라서 자연어 이해와 기계번역의 질적 향상을 위해 이들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요청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구문분석에서 보조 용언 처리의 한 부분으로서 사동 보조 용언 '-게 하-'로 실현되는 사동문과 피동보조 용언 '-아/어 지-'로 실현되는 피동문의 구문분석 방법을 제안한다. 사동문에서는 오분석을 막기 위해 사동 보조 용언이 아닌 '-게 하-' 구성을 구별해 내고, 피동문에서는 '-아/어 지-'를 피동보조용언과 기동상으로 분리시킨다. 그리고 이들 보조 용언으로 실현되는 사동/피동문을 격표지 정보와 사동문 분석 규칙, 피동문 분석규칙을 이용하여 사동/피동문이 가지는 의미특성을 나타낸 구문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 PDF

English Auxiliary Verb Generation for Korean-to-English Machine Translation (한영 자동 번역을 위한 보조 용언 생성)

  • Shin, Jong-Hun;Yang, Seong-Il;Seo, Young-Ae;Kim, Chang-Hyun;Kim, Young-Kil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1.10a
    • /
    • pp.143-147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로 입력된 문장을 분석한 결과로부터 그에 해당하는 영어 대역문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어떻게 한국어의 보조용언을 영어 대역문에 반영 할 것인가를 다룬다. 특히 대화체 분야를 다루는 한영 자동번역 시스템에서는 한국어의 보조용언 생성이 대역문의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기 때문에, 한영 자동 번역에서의 자연스러운 영어 보조용언 생성을 위한 방법론을 제안한다. 첫째, 기존 패턴 기반 한영 자동 번역 엔진과 한국어 말뭉치를 형태소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고, 자연스러운 보조 용언 대역어 생성의 어려움을 살펴본다. 둘째, 자연스러운 보조용언 생성에 필요한 양상을 규칙화 한 지식을 기반으로 자연스러운 단일 보조용언 생성을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셋째, 두 개 이상의 보조용언이 연속해서 나타나는 다중 보조용언의 생성 방법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실험과 결론을 통하여 본 논문이 제안하는 방법론을 사용했을 때, 자동 번역 엔진의 성능 평가 지표 중 하나인 BLEU와 NIST점수의 변화를 나타내봄으로 그 성능을 보인다.

  • PDF

Semantic Clustering of Predicate using Word Definition in Dictionary (사전 뜻풀이를 이용한 용언 의미 군집화)

  • Bae, Young-Jun;Ock, Cheol-Yo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0.10a
    • /
    • pp.46-51
    • /
    • 2010
  • 한국어의 어휘의미 정보를 명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어휘 의미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어휘 의미 체계 구축의 단계 중 하나인 용언의 의미 군집화를 연구하였다. 주어 및 목적어의 논항 구조와 선택 제약정보, 부사의 결합정보를 이용한 이전의 연구와는 달리 의미태깅이 된 사전 뜻풀이의 용언정보를 이용하여 용언의 의미 군집화와 간단한 계층화를 시도하였다. 그리고 특정 부류의 일반 샘플을 이용했던 특정 용언의 부류가 아닌 사전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용언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

A Classification of Endings for an Efficient Morphological Analysis of Korean (고성능 한국어 형태소 분석을 위한 어미 분류)

  • 은종진;박선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0.06a
    • /
    • pp.41-47
    • /
    • 2000
  • 한국어 형태소 분석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가 바로 용언구(서술어)를 분석하는 것이다. 형태소 분석 뿐만 아니라 구문 분석, 의미 분석 단계에서도 정확한 용언구 분석은 매우 중요한 작업 중의 하나이다. 또한, 용언구에는 [체언+지정사+어미] 패턴도 포함되므로, 정보 검색기의 핵심 모듈인 명사 추출기(색인기)의 성능에도 용언구의 분석은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본 논문에서는 용언구 분석의 정확성을 높이고, 견고하면서 속도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새로운 어미 분류를 제안하고자 한다.

  • PDF

The Processing of Irregular Verbals in Korean : Shown in Aphasics (한국어 불규칙 용언의 형태 정보 : 실어증 환자를 중심으로)

  • 김윤정;김수정;김희정;남기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0.05a
    • /
    • pp.303-308
    • /
    • 2000
  • 용언은 그 어간이 여러 문법소와 결합하면서 자동적 음운 변동을 제외한 형태 변동이 있는가, 없는가에 의해 규칙 용언/불규칙 용언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불규칙 용언은 심성 어휘집에 어떤 형태로 저장되어 있으며, 규칙 용언과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나아가 실어증 환자의 경우에는 정상인에 비해 어떤 행동장애를 보이며, 장애가 있다면 어느 경로의 손상으로 인한 장애인지를 알아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이해성 실어증 환자 한 명과 음어적 실행증 현상을 동반한 경미한 정도의 실어증 환자를 피험자로 하였다. 실험 과제는 단어 채워 넣기 과제(word completion task)를 사용하였다. 즉 주어진 기본형 용언을 검사 문장의 문맥에 맞게 활용하여 채워 넣는 것이다. 실험 결과에 의하면 환자들은 규칙용언의 활용(예. 먹다/먹는)과 불규칙 용언 중 형태를 유지한 채로 활용하는 경우(예. 줍다/줍고)에는 거의 오류가 없었으나, 불규칙 용언이 형태 변화를 겪어야 할 경우(예. 줍다/주워)에는 대부분 오류를 보였다. 또 이때는 기본형(basic form)을 그대로 유지하는 오류 방향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는 그간 문법으로 구분되어 오던 규칙 용언/불규칙 용언의 정보 처리보다는 형태 유지/형태 변화 정보 처리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이해성 실어증 환자는 전체적인 오류율이 매우 높았는데, 규칙 용언의 경우에도 오류를 보였다. 이때, 용언의 어간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오류가 없고, 뒤에 따르는 내용과의 관계를 파악해야 하는 문법 기능소, 즉 연결 어미에서 오류를 보여 정보의 유지, 통합에 문제가 있다는 기존의 연구와도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냈다.환자는 시제 선어말 어미를 선택하는데도 어려움을 보임이 확인되었다. 실험 3 역시 실험 1과 실험2에서와 동일하게 처리의 어려움을 보였다. 이러한 실험 결과들은 국어의 존칭과 시제 선어말 어미가 통사부에서 구(XP)와 결합하여 새로운 구를 형성하는 통사적 접사로 해석할 수 있으며 Grodzinsky의 가설을 지지하는 결과를 보여 줌으로서 국어에서도 AgrP, TP, CP 사이의 통사적 위계가 있음을 뒷받침하는 증거가 된다.전처리한 Group 3에서는 IL-2와 IL-4의 수준이 유의성있게 억제되어 발현되었다 (p < 0.05).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T. denticola에서 추출된 면역억제 단백질이 Th1과 Th2의 cytokine 분비 기능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이 기전이 감염 근관에서 발견되는 T. denticola의 치수 및 치근단 질환에 대한 병인기전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을 보였다. 본 실험 결과, $Depulpin^{\circledR}은{\;}Tempcanal^{\circledR}와{\;}Vitapex^{\circledR}$에 비해 높은 세포 독성을 보여주공 있으나, 좀 더 많은 임상적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근관벽을 처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크기에 의존하며, 또한 이러한 영향은 $(Ti_{1-x}AI_{x})N$ 피막에 존재하는 AI의 함량이 높고, 초기에 증착된 막의 업자 크기가 작을 수록 클 것으로 여겨진다. 그리고 환경의 의미의 차이에 따라 경관의 미학적 평가가 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corner$적 의도에 의한 경관구성의 일면을 확인

  • PDF

Semantic Clustering of Predicates using Word Definition in Dictionary (사전 뜻풀이를 이용한 용언 의미 군집화)

  • Bae, Young-Jun;Choe, Ho-Seop;Song, Yoo-Hwa;Ock, Cheol-Young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22 no.3
    • /
    • pp.271-298
    • /
    • 2011
  • The lexical semantic system should be built to grasp lexical semantic information more clearly. In this paper, we studied a semantic clustering of predicates that is one of the steps in building the lexical semantic system.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used argument of subcategorization(subject and object), selectional restrictions and interaction information of adverb, we used sense tagged definition in dictionary for the semantic clustering of predicate, and also attempted hierarchical clustering of predicate u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eric concept and the specific concept. Most of the predicates in the dictionary were used for clustering. Total of 106,501 predicates(85,754 verbs, 20,747 adjectives) were used for the test. We got results of clustering which is 2,748 clusters of predicate and 130 recursive definition clusters and 261 sub-clusters. The maximum depth of cluster was 16 depth. We compared results of clustering with the Sejong semantic classes for evaluation. The results showed 70.14% of the cohesion.

  • PDF

Clustering Noun Using Syntactic Relations (용언의 구문관계를 이용한 명사 분류)

  • Kim, Hyun-Jin;Park, Se-Young;Jang, Myung-Gil;Park, Jay-Duke;Park, Dong-I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7.10a
    • /
    • pp.111-115
    • /
    • 1997
  • 자연언어를 처리하는 응용시스템에서는 의미적으로 유사한 집합으로 분류된 단어들을 이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한국어에서는 명사마다 함께 쓰이는 용언들이 제한되어 있다. 이 논문에서는 문장에서 용언과 명사의 구문 관계로 추출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명사를 분류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실제 코퍼스에서 추출된 명사들을 중심으로 의미적 집합으로 묶는 작업을 하고, 각 의미군마다 특징적인 구문 정보를 적용하여 자동 명사 추출에서 나타나는 모호성 해소에도 이용하였다. 용언의 구문관계 추출은 기존 연구된 용언 하위 분류 연구를 이용하였고, 코퍼스를 통해 얻은 명사와 용언을 이용하여 수정 및 보완하였다. 실험 코퍼스는 1만 문장 가량의 구문 구조가 부착된 코퍼스(Tree Tagged Corpus)를 이용하였다.

  • PDF

Theta role description system and its inventory in Sejong electronic dictionnary of predicatives (세종 용언전자사전의 의미역 기술체계 및 목록)

  • Kim, Hyun-Kwon;Kim, Jong-My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1.10d
    • /
    • pp.319-325
    • /
    • 2001
  • 본 논문은 세종 전자사전을 구성하고 있는 하위사전의 하나인 세종 용언전자사전에서 사용되는 의미역 기술체계 및 그 목록을 소개하는 논문이다. 본 논문은 2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에서는 의미역이란 개념을 정의하고 의미역 기술의 의의를 순수언어학적 차원과 NLP의 응용 기존의 비판에 관하여 우리의 응용 차원에서 설명한다. 아울러 1부에서는 의미역 개념에 대한 기존의 비판에 관하여 우리의 입장을 밝힌다. 제 2부는 본론으로서 세종 용언전자사전에서 사용되는 의미여 기술체계 및 목록 그리고 그것이 지니는 의의를 소개하는 부분이다. 제 2부에서는 우선 세종 용언전자 사전이 의미역 기술 및 목록 확정을 위해서 채택하고 있는 원칙을 밝힌다. 그 다음에는 현재 세종 용언전자사전에서 사용하고 있는 의미역 목록을 각 의미역의 정의와 함께 소개한다. 끝으로 세종 용언전자사전의 틀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의미역 기술이 갖는 의의와 현 의미역 기술체계가 지니고 있는 문제점을 지적한다.

  • PDF

Efficient Korean Predicates Processing for Korean-English Machine Translation System (한영 기계번역 시스템을 위한 효율적인 한국어 용언 처리)

  • Park, Hong-Won;Jung, Kyung-Jin;Negishi, Kenichiro;Lim, Yoo-J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1.10d
    • /
    • pp.288-293
    • /
    • 2001
  • 한영 기계번역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다양하게 활용하는 한국어 용언을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해야 할 필요가 있다. 한국어 용언은 그 활용이 매우 다양하여 활용에 따라 문장 내에서 다양하게 기능하게 된다. 한영 기계번역 시스템에서는 용언의 활용이 가지는 여러 정보를 효율적으로 분석하여 해당정보를 보다 효과적으로 역문에 반영시키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용언의 활용에 따른 여러 정보-시제에 관한 정보(선어말어미 관련), 문종에 관한 정보(어말어미 관련), 양상에 관한 정보(보조용언, 어말어미 관련) 등-를 통일된 코드를 이용하여 일괄적으로 처리하는 방법론과 그 과정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