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용수 수요

Search Result 2,199,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A Study on Risk Assessment of extreme Cold Waves in Energy Storage Facilities According to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따른 에너지 저장시설 극한 한파 위험성 평가에 관한 연구)

  • Han-Duk Kim;Eun-Gu Ham;Se-Young Ko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20 no.3
    • /
    • pp.584-592
    • /
    • 2024
  • Purpose: The biggest concern in cold wave situations is that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initially supplied through dry pipes with empty pipes consumes enthalpy and freezes as it rapidly approaches the surface temperature of steel pipes that have been exposed to sub-zero outdoor air for a long time. It has no choice but to be. Method: Therefore, the study found that ice crystals were generated during transport, making it difficult to transport fire extinguishing water, and as a result of the review, when the heat load passed through the piping material, the heat loss per unit length from the piping to the surroundings was 0.946. Results: When calculating the volume of the main pipe, it was calculated that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supplied at a temperature of 15 degrees from the underground pipe would have a volume of 3.33m3 to reach the first branch point. If we calculate the heat required until this volume reaches below zero, we get 316.350 kcal. When the results were reviewed using the related formula, the time required for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to completely freeze up to the first branch of the steel pipe was found to be 3,412 seconds. Conclusion: Fire-fighting water, which must reach from the main pipe to the branch pipe and nozzle in good condition, must minimize heat loss through the pipe surface along the transfer path. To achieve this,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insulation of the main pipe and branch pipes. In this study, the use of inorganic perlite material or flame-retardant rubber foam insulation was proposed through analysis of insulation properties.

Optimal Operation of Single Multi-Purpose Reservoir (단일다목적 저수지의 최적운영)

  • 이순택;이수식
    • Water for future
    • /
    • v.18 no.4
    • /
    • pp.347-359
    • /
    • 1985
  • This study aims at the development of DP-Model for the establishment of monthly optimal operation policy of single multi-puppose reservoir by which the water demand of downstream can be satisfied under the various physical constraints. Series, A. B. C. of inflow are selected out of future monthly inflow data which are simulated form the past monthly average inflow of Andong dam site. the neight possible alternatives in each inflow series are established in order that Andong dam can supply the water demand of Nagdong main stream of 30% to 100%. Nextly, the reservoir rule curves is derived for each alternative by the detailed seguential analysis of stroage, future inflow and water demand based on the reservoir continuite equation. Then, and alternative which can satisfy the objective function of system based on the rule curves in the exteream is determined as an optimal operation policy from the application of developed DP=Model.

  • PDF

Pump Scheduling Technique for Optimal Operation of Water Distribution System Using Multi-Objective Genetic Algorithms (다목적 유전자알고리즘을 이용한 상수도 관망운영 펌프스케쥴링에 관한 연구)

  • Woo, Hyoung-Min;Kim, Tae-Soon;Heo, Jun-Haeng;Cho, Wo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405-1409
    • /
    • 2006
  • 본 연구는 다목적 유전자알고리즘을 이용해서 상수도관망의 펌프 스케쥴링을 최적화하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이다. 상수도관망의 시스템을 모의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EPANET을 이용해서 각각의 결정변수에 관한 펌프운영비용을 산정하였으며, 이렇게 계산된 편익함수의 값을 다목적 유전자알고리즘의 목적함수로 이용해서, 펌프스케쥴링에 관한 여러 가지 대안을 제시하였다. 상수도관망의 운영을 위해서는 안정적인 용수공급이 가능하면서도 최소한의 에너지비용을 필요로 하는 펌프운영방식을 필요로 하게 되는데, 이때 용수수요량의 변화 등 운영여건이 바뀌게 되더라도, 수리적 안정성이 확보되는 범위내에서의 최적 운영방안이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은 펌프운영방안의 최적화는 상당히 많은 수의 결정변수를 요구하게 되고, 결정변수의 탐색범위 또한 상당히 넓은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국부최적해에 수렴하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고, 넓은 범위의 결정변수 영역을 빠르게 탐색할 수 있으며, 여러 가지 대안을 효율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다목적 유전자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상수도 관망 펌프 스케쥴링 기법을 이용하면, 운영여건의 변화에 따른 펌프운영비용의 최소화 여부를 검토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각 단계별 수도시설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경제적 운영방안의 검토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Hydraulic characteristics and particle behavior in rainwater retention facilities (빗물저류시설에서 수리학적 흐름특성과 입자의 거동)

  • Yoo, Hyoung-Keun;Mun, Jung-Soo;Han, Moo-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41-146
    • /
    • 2008
  • 빗물 유출량 제어를 위한 빗물 저류 시설에서 지금까지는 저류되는 용량이 주된 관심사였다. 많은 물을 순간적으로 저류하여 지체시킴으로서 유출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목적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빗물저류시설은 저류기능 뿐만 아니라 침전에 의한 수질개선효과도 가지고 있다. 이렇게 저류된 물을 갈수기에는 화장실 용수나 잡용수로 사용할 수도 있고, 수질 개선을 통하여 하수 오염 부하량의 경감효과까지 노릴 수 있다. 이러한 수질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빗물 저류시설의 수리학적 흐름특성과 입자의 거동파악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CFD(Computational Fluid Dynamic)를 이용하여 빗물저류시설 중 하나인 빗물저장조의 수리학적 흐름특성 및 입자의 거동을 살펴보았다. 빗물저장조는 유출입패턴이 불규칙하다. 이를 크게 네 가지 경우로 나누어 살펴보면, 유입만 있고 유출이 없는 경우(Case 1), 유입과 유출이 동시에 있는 경우(Case 2), 유출입이 모두 없는 경우(Case 3), 유출만 있고 유입이 없는 경우(Case 4)로 살펴 볼 수 있다. 기존의 수량 측면에만 한정되었던 빗물 저류 시설에 대한 연구를 수자원 절약과 수질 개선을 통한 하수도 오염 부하량 감소의 측면을 덧붙여 빗물 저류 시설의 목적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 PDF

Effect on Dams' Joint Operation in Geum River Basin using Water Management System (금강유역 물관리시스템의 연계운영 효과)

  • Ko, Ick-Hwan;Kim, Sheung-Kown;Kim, Jae-Hee;Kang, Shin-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383-1387
    • /
    • 2008
  • 우리나라는 계절적으로 편중된 강우특성 때문에 이수관리와 치수관리가 분리될 수 없고, 하천유역 상 하류의 수량과 수질은 유기적으로 연관되어 있으므로 수자원관리는 하천유역단위로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한정된 수자원으로 하천의 수량과 수질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기 위해서는 물의 수요와 공급을 실시간 정보로 획득하면서 기상과 유출 분석기술을 활용하여 운영기간 동안의 용수수요와 공급을 예측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천과 저수지의 수량과 수질을 고려한 유역 저수지군 시스템의 최적 물공급계획을 수립 시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통합 물관리 Toolkit과 운영 기술이 필요하다. '유역통합 물관리시스템(IRWMS)'은 유역의 유출량 산정과 예측을 담당하는 유역유출 예측시스템(RRFS)과 연동하여 장 단기 저수지군 시스템의 최적운영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월단위 최적운영모형(SSDP), 일단위 최적운영모형(CoMOM), 그리고 유역물배분 모의운영모형(KModSim)이 포함되어 있다. RRFS로부터 예측된 수계내 소유역별 유입량 및 수요량(농업, 공업, 생활용수) 정보를 토대로, SSDP 또는 SSDP-CoMOM 연계모형으로부터 구한 월 또는 일 단위 최적저류량 및 방류량을 산정, 이를 KModSim 모형에 입력하여 장 단기 모의를 통하여 유역 물관리 의사결정의 최종단계에 해당하는 저수지군 최적방류량 결정에 필요한 정보 및 시나리오를 제공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저수지운영 요소모형들을 이용하여 금강수계 저수지군의 연계운영에 적용하였다.

  • PDF

Assessment and Prediction of Agricultural Drought Utilizing Real Time Reservoir Storage Level (실시간 저수위를 활용한 농업가뭄평가 및 전망)

  • Nam, Won-Ho;Choi, Jin-Yong;Yoo, Seung-Hwan;Jang, Min-Won;Ko, Kwang-D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883-1886
    • /
    • 2010
  • 농업가뭄은 강수의 부족으로 인하여 농업용 저수지의 저수량 저하로 농작물 생육 및 수확량의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농업가뭄평가는 강수량뿐만 아니라 작물의 생육시기별 필요수량과 용수공급능력을 모두 고려할 수 있어야 한다. 농업가뭄관리의 주요 대상인 논벼는 기본적으로 수원공과 관개지역 사이의 물수지를 판단함으로써 농업가뭄의 위험을 정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뭄관리가 필요한 농업용 저수지 관개지구의 농업가뭄 평가를 위해 논 물수지 분석 모형과 저수지 물수지 분석 모형을 구성하고, 용수수급해석의 결과로부터 가뭄의 크기를 객관화하고 가뭄의 단계를 평가할 수 있도록 빈도개념을 적용한 저수지가뭄지수 (Reservoir Drought Index, RDI)를 이용하여 농업가뭄을 분석 평가하였다. 또한 농업용 저수지의 저수량 모의치와 실시간 저수위를 이용하여 경험적으로 농업용 저수지의 유입량을 자동으로 보정하여 장기적으로 최적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과거 유효강수량을 시기별로 나누어 빈도분석을 통해 농업가뭄대응을 위한 가뭄 기상시나리오를 사용하여 향후 가뭄의 여러 가지 패턴에 따른 농업가뭄을 전망하였다. 이러한 다양한 시나리오를 통해 실제 물 관리 및 가뭄대책 업무에 반영하고 농업가뭄대응책 수립 및 농업수자원관리의 의사결정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xamining dried reach of stream and maintaining mininum low flow upstream of Hongjechun (홍제천 상류 건천화 하천 조사 및 유지유량확보방안 연구)

  • Ho Jong-Kwang;Oh Kyung-Seok;Hwang Byung-Gi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4.11a
    • /
    • pp.302-305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홍제천 유역의 하천 건천화 현황을 조사하였고, 하천의 유지유량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총 4차례에 걸쳐 홍제천 본류 11개 지점, 구기천 및 신영천에 대하여 각각 3지점의 유량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홍제천 본류에서 구기천 합류전 약 200m 지점에서 갈수기 및 저수기에 일시적으로 건천화가 나타났다. 구기천은 유량조사 기간 중 건천화 된 곳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신영천 역시 조사 기간중 건천화 된 곳은 없었으나, 갈수기시 상류의 유량이 상당히 적게 흐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유지용수 확보방안으로는 국내에 널리 알려져 있는 지하수 개발, 지하철 역사 배출수, 한강도수, 우수저류시설설치, 우수침투시설설치 등은 본 연구대상지역의 특성상 효율적인 유지용수확보대안이 될 수 없다고 판단되었기에 대상지역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한 구기천 소규모댐 저류 및 간헐도수, 구기천 직접 도수, 신영천 상류 소규모 하수처리장 방류수 이용, 신영천 하천수 홍제천 본류 유입과 같은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Capacity determination of rainwater detention tanks using particle swarm optimization (입자 군집 최적화 기법을 이용한 빗물 저류지 용량 결정)

  • Jeong, Taekmun;Jin, Youngkyu;Kang, Taeuk;Lee, S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53-353
    • /
    • 2020
  • 기후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많은 나라들이 수자원 관리 전략을 마련하고 있으며, 대체 수자원 활성화 방안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체 수자원 활성화 방안 중 빗물 저류지의 용량 결정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빗물 저류지의 용량을 결정하기 위해 메타 휴리스틱 방법 중 하나인 입자 군집 최적화(particle swarm optimization; PSO)를 선정하였다. 이는 기존 실제 설계에 사용되고 있는 시행착오법보다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최적화 모형은 python의 pyswarm package를 이용해 구성하였다. 모형의 입력자료는 저류지 유입량과 목표 공급량, 목표 보장률이고, 목적함수는 빗물 저류지 용량의 최소화이다. 제약조건은 모의된 보장률이 목표 보장률 이상을 달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보장률은 전체 모의 기간 중 목표 공급량을 공급한 기간의 비율이다. 제시한 방법론의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실제 저류지가 설계된 인천의 청라지구 1공구를 선정하여 적용하였다. 최적화 모형의 입력 유입량은 SWMM으로 산정된 1995년부터 2004년까지의 유출량이며, 목표 공급량은 실제 설계에 활용된 용수 목적별 요구 수량이다. 여기서 용수 목적별 요구 수량은 대상지역의 노면 청소수, 화장실 세정수, 호수 유지수 등이다. 산정 결과 계산 시간은 약 30초 소요되며, 목표 보장률을 만족하는 저류지 용량이 결정되었다. 본 연구에 제시한 방법은 제약조건이 추가되어도 기존 시행착오법에 비해 간편함을 확인하였다.

  • PDF

Establishment of monitoring system and droughts response plan between uppermost stream and intake station (상류부 하천-취수원 연계 모니터링 및 가뭄 대응방안 구축)

  • Shin, Jieun;Kim, Ji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44-344
    • /
    • 2021
  •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현상으로 인해 극심한 이상 가뭄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물 공급 소외지역의 경우 가뭄으로 인해 주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으며, 특히 마을상수도 및 소규모수도시설에 의존하는 최상류부 유역의 취수원은 상대적으로 가뭄에 취약하다. 본 연구의 대상 지역은 강원도 춘천시 물로천의 제1지류 유역으로 주민들이 하천 계곡수를 생활용수의 주 공급원으로 사용하고 있다. 해당지역은 갈수기에 생활용수 부족 문제를 겪고 있는 지역으로 가뭄 대응을 위한 구조적 대책으로 다단식 Sand댐을 설치할 예정이다. 현장조사 결과 물로천의 물은 취수조로 일부 유입되며, 자갈 등을 이용하여 부유물 등이 필터링되어 물탱크로 흘러내리며 중력에 의해 각 가정으로 자연 유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지역의 하천, 취수조, 물탱크 3개 지점에 압력식 자동 수위 관측기를 설치하였으며, 2시간 간격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설정하여 매달 유속 측정을 통해 수위-유량 관계 곡선식을 바탕으로 유량을 산정하였다. 도출된 일별 유량 자료와 SWAT 모형의 매개변수 검·보정한 후 이를 장기간으로 확장 적용하여 약 10년간의 장기 유출량을 산정하였다. 일별 장기 유출량 자료를 통해 평균 유량 감수곡선과 감수곡선식을 도출하였고, 무강우에 따른 최대 공급가능일수를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취수원 연계 모니터링 및 하천 유량에 따른 공급가능일수 등을 제시하여 가뭄 취약지역의 주민 불편을 최소화하고 가뭄에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최종적으로 추후 Sand댐 건설 전후 비교 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소규모수도시설의 가뭄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체계 및 대응 방안을 구축하였다.

  • PDF

The Investigation of Rainwater Quality Variation and Rainfall Characteristic for the Effective Usage (우수이용 효율화를 위한 수질변화와 강우특성 검토)

  • Lee, Chang S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8 no.3B
    • /
    • pp.355-361
    • /
    • 2008
  • A water quality analysis of rainwater collected from catchment equipment ($2m{\times}1m$) was conducted to determine its suitability for domestic purposes, in this study. As the results of analysis, the pH of rainwater was $6.3{\pm}0.3$, and the turbidity of rainwater was over the 5 times than drinking water guidelines. For the usage of rainwater as the domestic and drinking water, the rainwater is need to treat. The analysis values of heavy metal as the Pb, Cd, Fe, Mn, ${Cr_6}^+$ and Cu was satisfied with drinking guidelines. Rainwater quality was improved in the rainfall duration. Overall results of analysis support the possibility of rainwater as the domestic and drinking wa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