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요추전만

검색결과 113건 처리시간 0.023초

후복막강 내시경을 이용한 요추 교감신경절 절제술 - 2례 보고 - (Retroperitoneal endoscopic lumbar sympathectomy - 2 cases report -)

  • 이송암;김광택;백만종;이인성;김형묵;김학제;이건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2호
    • /
    • pp.203-207
    • /
    • 1998
  • 고대 안암병원 흉부외과에서는 각각 1개월과 20개월전에 수족장부 다한증으로 흉강경하 흉추 교감신경절 절제술을 시행받았으나 족장부 다한증이 지속되는 환자 2명에 대해 후복막강 내시경을 이용한 요추 교감신경절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첫 번째 환자의 경우 우측에서 트로카 삽입중 기복이 발생하여 개복적 방법으로 전환해야 했으며, 우측 요추 교감신경절의 불완전한 절제로 발한이 지속되어 재수술을 시행하였다. 술후 각각 70일과 30일이 경과한 시점에서 추적관찰하였으며 만족도 결과를 매우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으로 평가하였다. 첫 번째 환자는 '매우만족', 두 번째 환자는 항문주위 대상성 다한증이 있었으나 대체로 '만족'을 나타내었다. 족장부 다한증에 대한 후복막강 내시경하 요추 교감신경절 절제술은 통증이 적고 반흔이 작으며, 회복기간과 입원기간을 줄일 수 있어 족장부 다한증의 유용한 치료방법의 하나이다.

  • PDF

지속성 복막 투석 환자의 골밀도와 이와 관련된 영양소 섭취, 식행동, 우울정도에 관한 연구

  • 손숙미;박진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17-417
    • /
    • 2004
  • 지속성복막투석환자의 경우 투석에 의해 단백질 대사물질의 배설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나 오랫동안의 만성신부전으로 인한 인의 배설 저하에 따라 골밀도가 대부분 저하되어 있으며 신성골이영양증을 수반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종합병원 신장내과 클리닉에 정기적 checkup을 받고 있는 지속성복막투석환자를 대상으로 골밀도를 측정하였으며 요추(L2-L4)와 대퇴부(femoral neck, trochanter)의 평균 골밀도의 T값이 모두 -1 미만인 군을 골감소증군으로 하였고(N=86) 1군데라도 T값이 -1 이상인 군은 정상군으로(N=32) 분류하여 영양소섭취량, 식행동, 우울정도에 따른 차이를 보고자 하였다.(중략)

  • PDF

지속성 복막 투석 환자의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신체계측 및 생화학적 표지자, 생활습관에 관한 연구

  • 손숙미;박진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18.1-418
    • /
    • 2004
  • 지속성 복막투석환자의 경우 오랫동안의 만성신부전으로 인해 영양소 섭취가 저하되어 근육의 손모, 체중감소 등으로 인해 골밀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요추(L2-L4)와 대퇴부(femoral neck, trochanter)의 평균 골밀도의 T값이 모두 -1 미만인 군 86명과(골감소증군), 두 부위중 1군데 이상의 T값이 -1 이상인 군 32명 (정상군)을 대상으로 하여 신체계측치 및 생화학적 표지자, 생활습관의 차이를 조사하였다.(중략)

  • PDF

요통재해예방을 위한 작업공정 개선

  • 양성환;이동하;나승훈
    • 대한인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인간공학회 1996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19-124
    • /
    • 1996
  • 최근 산업재해가 기업의 경영에 직.간접적으로 많은 손실을 끼치고 있는 가운데 협착 등의 재래형 산업재해는 감소하는 한편 용통 등의 근골격계통 직업성 재해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전공정에서 운반작업은 이루어 지고 있으며, 운반대상물, 기계설비, 작업방법 등이 작업자의 신체조건 을 고려하지 않은 부적절한 설계에 의한 무리한 동작의 유발이 그 원인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장의 데이터를 미국 및 일본의 인력작업기준 으로 한 기계설비의 인간공학적인 설계와 생체역학적인 인체의 요추부하의 분석을 통하여 중량물 취급 기준을 마련하여 작업공정 개선전과 개선후비를 비교 검토하고자 한다.

  • PDF

요통환자의 비만도 및 요추전만도 상관성 연구 (The Study of Relationship Among Lumbar lordosis and Obesity in Low Back Pain Patient)

  • 김범석;장건;이종수;임형호
    •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25-135
    • /
    • 200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lumbar lordotic and obesity in Low Back Pain Patient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patients with low back pain who visited Jung-Dong Oriental Hospital. X-ray were taken in lateral decubitus. The measurements of the Ferguson angles(FA) and the lumbar lordotic angles(LLA) were performed. We measured BMI and WHR has been accessed bio-impedance analyzer(inbody 3.0). This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12.0. Results 1. In female group. FA and LLA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male group. 2. LLA was shown to decrease to rise with increasing WHR and BMI 3. FA had no realtion with WHR and BMI Conclusions: This data shows that obesity related to mechanical structures such as lumbar curvature. Obesity can be a one of the stressor of lumbar spine, and one of the causing factor of low back pain.

  • PDF

척추 측만증에 대한 필라테스 효과 (The Pilates Effects about Scoliosis)

  • 서준환;홍성균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8권7호
    • /
    • pp.397-400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필라테스 운동이 척추 측만증 환자의 요추 Cobb's angle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의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 운동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필라테스 자세교정운동(PCE), 척추스트레칭운동(SSE), 근육강화운동(MSE)등을 시행하였다. 자세교정운동은 불균형한 근육에너지를 바로잡아주며 척추스트레칭 운동은 척추주변의 과 긴장된 근육을 이완시키고 근육강화운동은 주동근과 길항근의 균형을 잡아주어 척추 주변 근육의 탄력성과 유연성을 회복시켜주게 된다. 연구방법은 필라테스 적용 전과 적용 후의 X-ray 촬영에 의한 요추의 Cobb's angle을 측정하여 검증하였다. X-ray 촬영을 통한 Cobb's angle 실험 전 후의 결과는 필라테스 실시 후 약 5도 정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5). 따라서 필라테스 운동이 척추 측만증에 완화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을 이용한 단일 흉추 청소년기 특발성 척추 측만증의 치료: 스테인리스강과 티타늄 합금 기기의 비교 (Correction of Single Thoracic Adolescent Idiopathic Scoliosis Using Pedicle Screw Instrumentation: Comparison of Stainless Steel to Titanium Alloy Instruments)

  • 김성수;임동주;김정훈;최병완;김휘영;이준석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41-149
    • /
    • 2019
  • 목적: 단일 흉추 청소년기 특발성 척추 측만증의 수술적 치료로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이 시행된 경우에 서로 다른 재질인 스테인레스강과 티타늄 합금 기기의 결과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과 선택적 흉추 유합술을 이용하여 수술을 시행하고 최소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단일 흉추 청소년기 특발성 척추 측만증 환자 141명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주 흉추 만곡이 40°-75°인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기기의 재질에 따라 스테인레스강 기기가 사용된 경우는 S군(90명)으로, 티타늄 합금 기기가 사용된 경우는 T군(51명)으로 나누었다. S군의 강봉 직경은 7.0 mm였고 T군의 강봉 직경은 6.35 mm나 6.0 mm였다. 수술 전, 수술 직후와 술 후 2년에 촬영한 기립성 전 척추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방사선적 측정을 시행하였다. 술 전 관상면과 시상면상 만곡의 측정값에서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과: S군에서 술 전 51.3°±8.4°의 주 흉추 만곡은 술 후 2년에 19.0°±7.6° (63.1% 교정)로 감소되었고, 술 전 32.3°±8.4°의 요추 만곡은 술 후 2년에 12.7°±8.2° (62.9% 교정)로 감소되었다. T군에서는 술 전 49.5°±8.4°의 주 흉추 만곡과 30.3°±8.9°의 요추 만곡은 술 후 2년에 각각 18.8°±7.4° (62.2% 교정)와 11.3°±5.4° (63.3% 교정)로 감소되었다. 관상면상 만곡의 교정은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흉추 후만은 S군에서 술 전 16.8°±8.5°에서 술 후 2년에 24.3°±6.1°로, T군에서는 19.6°±11.2°에서 26.6°±8.5°로 증가되었다. 유합 분절수, 사용된 척추경 나사못의 개수 및 술 후 2년의 흉추 후만, 요추 전만, 관상면과 시상면 균형에도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결론: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을 이용한 단일 흉추 청소년기 특발성 척추 측만증 수술에서 스테인레스강과 티타늄 합금 기기와 강봉은 관상면과 시상면에서 의미 있는 차이 없이 비슷한 교정을 보였다.

개에서 요추부 척수를 압박하는 척추 골육종 발생례 (Vertebral Osteosarcoma Causing Compression of the Lumbar Spinal Cord in a Dog)

  • 강병재;류학현;박성수;;성규진;김용선;박준원;김완희;윤정희;김대용;권오경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88-592
    • /
    • 2010
  • 15년 령의 중성화 수컷 요크셔 테리어가 양측 후지의 보행 장애로 내원하였다. 5개월 전부터 후구 부전마비가 시작되어 점점 진행되었고, 4일 전부터는 증상이 빠르게 악화되었다. 후구 부전마비를 일으킬 수 있는 신경 질환을 감별하기 위해 컴퓨터 단층 촬영과 자기 공명 영상이 실시되었다. 컴퓨터 단층 촬영을 통해 4번 요추의 골 결손과 인접 부위의 연부 조직 종괴를 확인하였다. 자기 공명 영상을 통해서는 4번 요추의 왼쪽에서 T1강조 영상에서의 등신호종괴와 T2강조 영상에서의 고신호 종괴가 척수를 압박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T1강조 영상에서 조영제 주입 후 종괴의 신호가 균일하게 증가하였다. 종괴의 절제 후 통증은 완화되었다. 조직병리학적 검사를 통해 병변이 척추 골육종임을 확인하였다. 컴퓨터 단층 촬영과 자기 공명 영상은 개에서 척추 골육종을 진단하고 수술적 제거를 위한 계획을 세우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신증후군 환아에서 스테로이드 유발 대사성 골질환에 대한 Alendronate의 치료 효과 (Therapeutic Efficacy of Alendronate for Glucocorticoid Induced Metabolic Bone Disease in Children with Nephrotic Syndrome)

  • 이지은;이현옥;백경훈;이숙향;진동규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8권1호
    • /
    • pp.33-42
    • /
    • 2004
  • 목 적 : 소아 신증후군에서 스테로이드 장기투여에 따른 대사성 골질환은 흔한 합병증 중의 하나이다. 저자들은 성인에서의 스테로이드 유발성 골다공증 치료에 유효한 bisphosphonate(alendronate)를 투여하여 소아 신증후군에서 스테로이드 유발 대사성 골질환에 대한 치료효과에 대해 전향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신증후군 이환 기간이 2년된 5-8세의 환자 58명에게 DEXA로 골밀도를 측정하여 요추 골밀도가 Z-score -1 이하인 환아 30명(51.7%)을 대상으로 선정한 후 이들을 alendronate 주 1회 투여군, calcitriol 투여군, 약제 비투여군등의 세 군으로 분류하여 1년간 연구하였다. 치료 6개월, 1년에 요추 L1-L4 골밀도를 측정하였고 치료 전과 치료 1년 후 생화학적 검사를 측정하였다. 각 군간 평균 연령, 기저 요추 골밀도, 스테로이드 축적량, 골밀도% 변화율, 요추 골밀도 Z-score를 측정 분석하였다. 결 과 : 총 30명 환자에서 기본 요추 골밀도 측정시 환아의 나이는 $7.4{\pm}1.7$세였고 신증후군 이환기간은 $2.2{\pm}1.2$년이었다. Z-score로 진단된 골밀도 감소증은 23명(76.7%), 골다공증은 7명(23.3%)이었다. 각 생화학적 변수들은 치료 전후로 차이가 없었으며, 군 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빈번 재발형 신증후군과 스테로이드 의존형 신증후군은 22명(73.3%)으로 드문 재발형 신증후군 8명(26.6%)에 비해 대사성 골질환의 빈도가 높았다. 골밀도 변화율은 alendronate 군에서 치료 1년에 8.56%였고, calcitriol군은 5.79% 증가를 보였으며, 비투여군은 1.9%증가를 보였다. Z-socre 변화는 alendronate 군과 calcitriol 군에서만 호전되었고, 비투여군에서는 감소하였다. 골밀도 증가율은 각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P=0.0002), alendronate 군과 비투여군, calcitriol 군과 비투여군 간에 있었고(P<0.05), alendronate 군과 calcitriol 군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Alendronate 투여시 약복용을 중단할 만큼의 심각한 부작용은 발현되지 않았다. 결 론 : 소아 신증후군 환자에서 고용량의 스테로이드를 투여해야 하는 경우 대사성 골질환의 발생 위험이 높기 때문에 정기적인 골밀도 측정이 필요하며, 그 평가 도구로는 요추 골밀도 Z-score가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신증후군 환아의 스테로이드 유발 대사성 골질환에서 alendronate 주 1회 경구투여는 요추 골밀도를 증가시키는 효과적인 치료법이었다.

  • PDF

요추궁절제술 후에 발생한 총장골동맥의 동정맥루에 대한 수술 (Surgical Treatment for Common Iliac Arteriovenous Fistula after Lumbar Laminectomy)

  • 류경민;유재욱;박성식;김석곤;서필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6호
    • /
    • pp.455-458
    • /
    • 2007
  • 4개월 전 요추 4, 5번 추궁절제술을 시행받은 40세 남자환자가 호흡곤란과 하지부종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우측하복부에서 박동성 종괴가 촉진되었고 기계잡음이 청진되었다. 흉부단순촬영에서 심비대소견이 관찰되었고,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에서 제5요추 위치의 총장골동맥과 정맥간에 가성동맥류를 동반한 동정맥루가 존재하였다. 복부정중절개를 하여 동맥류를 통한 동정맥 누공의 일차봉합을 시도하여 상,하부 대동맥과 대정맥 감자결찰 후 동맥류를 절개하였으나 대량출혈이 발생하여 누공봉합에 실패한 후 동맥류를 봉합하였다. 동맥치환술로 수술계획을 변경한 후 동맥류에 연해있는 대동맥과 양측 총장골동맥을 절단봉합한 후, 인공도관을 이용하여 동맥을 재건하였고, 동맥류는 총장골정맥에 붙어있는 상태에서 축소성형술을 시행하였다. 환자는 수술 후 별다른 합병증 없이 8일째 퇴원하였고, 이후 별다른 문제없이 24개월간 추적관찰 중이다. 일반적으로 요추궁절제술 후 발생한 동정맥루에서는 누공봉합술을 시행하나 본 증례에서는 동맥치환술과 동맥류 축소성형술을 시행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