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요소센서

Search Result 1,402,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Electr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3-mercaptopropionic acid self-assembled monolayer for urea sensor (요소센서를 위한 3-mercaptopropionic acid 자기조립 단일층의 전기화학적 특성 분석)

  • Yun, Dong-Hwa;Song, Min-Jung;Kim, Jong-Hoon;Kang, Moon-Sik;Min, Nam-Ki;Hong, Suk-I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4.07c
    • /
    • pp.1579-1581
    • /
    • 2004
  • 바이오센서는 효소(enzyme), 생분자(biomolecule), 항체(antibody), 세포(cell) 등의 biological agent를 인지 물질(recognition material)로 하여 측정하고자하는 분석 대상(analyte)과 높은 선택성으로 반응을 일으키게 하여 그 결과를 기존의 물리, 화학센서로 감지 해내는 방식이므로 기존의 의료용 화학센서를 대체하는 추세이다. 바이오센서가 기존의 센서와 구별되는 점은 생물질의 선택적인 반응 및 결합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바이오센서의 실용화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생체 반응 물질의 고정화 기술과 고정화막의 선택이라 할 수 있다. 일정전압법을 이용한 요소센서는 많이 연구되어 오고 있으나 낮은 농도에서의 감도저하에 따른 단점으로 상용화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은 요소센서의 이용하기 위한 고정화막으로 3-mercaptopropionic acid 자기조립 단인층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고창하였다. 자기조립 단일층은 직접적인 전자전달로 인하여 낮은 요소 농도에서 뛰어난 강도와 빠른 반응 시간을 보였으며, 특히 다공질 실라콘을 기질로 사용한 경우 평면 전극 보다 약 3배의 감도 증가 효과를 가져왔다. 자기조립 단일층의 표면 분석은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XPS)를 이용하였다.

  • PDF

The Simulator Module Design for Reduction rate Analysis of Sensing Coverage in Geography (지형에 따른 센서 탐지 영역 감소율 분석을 위한 시뮬레이터 모듈 설계)

  • Ryu, Min-Woo;Kim, Dae-Young;Cha, Si-Ho;Lee, Jong-Eon;Cho, Kuk-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8.06d
    • /
    • pp.383-386
    • /
    • 2008
  • 기존 개발되어 왔던 센서 네트워크 시뮬레이터는 외부 환경적인 영향요소를 고려하지 않고 네트워크 중심적으로 설계 및 구현되어 왔다. 하지만 센서 네트워크의 사용 목적이 다양해지면서 센서 네트워크를 실내뿐만 아니라 실외 환경에도 적용하려 하고 있다. 실내보다 실외 환경에 센서 네트워크를 구축할 경우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사항은 초소형, 저전력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센서들을 배치하는 것이기 때문에 센서가 배치되는 지리적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기존 센서 네트워크 시뮬레이터는 지리적 요소가 배제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 환경에 적용하여 센서 네트워크를 시뮬레이션하게 되면 상당히 많은 차이점을 보일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외부 환경에 센서 네트워크를 구축 시 고려되는 핵심 영향요소 중 지리적 요소를 고려하여, 시뮬레이터에 접목시킬 수 있도록 세분화 및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외부 환경에 센서 네트워크 구축 시 효율적으로 센서를 배치할 수 있도록 앞에서 분석한 지형 정보를 고려하여 센서 탐지 영역 감소율 분석을 위한 시뮬레이터 모듈을 설계한다.

  • PDF

Technical Trend of USN Sensor Node (USN 센서노드 기술 동향)

  • Kim, J.E.;Kim, S.H.;Jeong, W.C.;Kim, N.S.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2 no.3 s.105
    • /
    • pp.90-103
    • /
    • 2007
  • 인간과 사물, 컴퓨터간의 유기적인 관계 및 통신을 위하여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기술은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 및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센서노드는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가장 기본적인 구성 요소로 핵심 요소 기술에 대한 IPR확보 및 센서노드의 소형화, 지능화 기술 개발에 노력하고 있다. 이에 센서노드의 구성요소와 센서노드 전송 기술에 대한 기술 동향과 현 상용화 기술과 제품에 대한 국내외동향 및 기술 전망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광학센서 시선벡터에 대한 궤도 변화 영향 해석

  • Im, Jo-Ryeong;Kim, Yong-Bok;Choe, Hong-Taek;Yong, Gi-Ryeok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10.04a
    • /
    • pp.27.4-27.4
    • /
    • 2010
  • 이 연구는 광학센서의 시선벡터 최적배치와 이에 대한 궤도요소의 영향을 다루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광학센서의 최적 배치 결정에 있어 궤도 요소의 영향을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체계적인 결과를 제시하는 것이다. 위성에 탑재된 광학 센서들은 지구를 관측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 지구 관측 센서를 제외하고는 임무기간 동안 최대한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가능한 한 위성 몸체나 지구와 태양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고 목표 천체를 측정할 수 있도록 광축의 시선 벡터를 배치시켜야 한다. 이 연구는 광학센서의 최적 배치와 위성의 궤도요소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광학센서의 최적배치 시선벡터 방향의 결정에 미치는 궤도 요소의 변화 영향성을 해석하였다.

  • PDF

A Sensor Node Deployment Method Based on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Sensor Capabilities (센서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소들에 기반한 센서 노드 배치 방법)

  • Kim, Dae-Young;Choi, Hyuck-Jae;Lee, Jong-Eon;Cha, Si-Ho;Kang, Seok-Joong;Cho, Kuk-Hyun;Jo, Min-Ho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3 no.10B
    • /
    • pp.894-903
    • /
    • 2008
  • The position of sensors generally affects coverage, communication costs, and resource management of surveillance sensor networks. Thus we are required to place a sensor in the best loca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consider that terrain and climate factors influencing sensors when sensor nodes are deployed in the real world, such as a mountain area or a downtown area. We therefore require a sensor deployment method for detecting effectively targets of interest in terms of surveillance area coverage in such environment. Thus in this paper, we analyze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related to sensor deployment, and quantify these factors to use when we deploy sensors. By considering these quantified factors, we propose a practical and effective method for deploying sensors in terms of sensing coverage. We also demonstrate the propriety of the proposed method through implementing a sensor deploymen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method.

Intelligent Evaluation Algorithm for Identifying Hazards in Public Restrooms Using Virtual Reality and Sensor Data (가상현실과 센서데이터를 활용하는 공중화장실 위험요소 지능형 평가 알고리즘)

  • Shin-Sook Yoon;Jeong-Hwa S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9 no.2
    • /
    • pp.473-482
    • /
    • 2024
  • This study utilized virtual reality to construct a simulated public restroom environment to identify potential hazards. The objective was to discern actual risks in real-world public restrooms through this virtual setup. During the virtual restroom experience, data from the built-in 3-axis accelerometer and gyroscope sensors of testor's smart phones were collected. Analysis of this data helped in identifying spatio temporal factors impacting the users. The determination of these factors as risk elements was based on an evaluation algorithm grounded in data analysis.

Development of a portable device for the measurement of urea concentration and glucose concentration in blood (혈중요소 및 혈당농도 측정을 위한 휴대용 측정기 개발)

  • Yoo, Jae-Tack;Lee, Dong-Ha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3.05c
    • /
    • pp.28-32
    • /
    • 2003
  • 본 논문은 시료의 양을 최소화하고 혈중 요소 및 혈당 농도에 대한 정확한 측정을 위하여 최근에 개발된 전기화학형 마이크로 전극형 센서의 간략한 소개 및 전기적인 특성에 관하여 요약하는 것에서 출발하여 센서로부터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signal conditioning 회로의 설계, microprocessor를 이용한 digital 값으로의 변환 및 data 취득, 취득한 data를 측정된 혈당량 및 요소량으로의 변환 저장 display까지의 휴대용 계측기의 prototype 개발에 관하여 기술한다. 이 계측기는 미량의 혈액채취 한번으로 농도를 측정하는 측정모드와, 측정된 data를 찾아보기 위한 검색모드로 작동시킬 수 있다. Microprocessor의 기능을 최대한 사용하여 측정기의 크기를 소형화하였으며 LCD(Liquid crystal display)틀 채택하는 등 저전력 회로로 구현하였다.

  • PDF

Fabr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FET Type Semiconductor Urea and Glucose Sensor Employing Photolithography Techniques (사진식각기술을 이용한 FET형 반도체 요소 및 포도당센서의 제조와 그 특성)

  • Cho, Byung-Woog;Kim, Chang-Soo;Seo, Hwa-Il;Sohn, Byung-Ki
    • Journal of Sensor Science and Technology
    • /
    • v.1 no.2
    • /
    • pp.101-106
    • /
    • 1992
  • pH-ISFETs, the semiconductor pH sensors, were combined with immobilized enzyme membranes to prepare FET type urea and glucose sensors and its operational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Photolithography techniques were applied to immobilize enzymes on the $H^{+}$ sensing membrane of the pH-ISFET with photo-sensitive polymers, PVA-SbQ. Fabricated urea and glucose sensors could determine $0.5{\sim}50{\;}mg/dl$ urea concentrations and $10{\sim}1000{\;}mg/dl$ glucose concentrations, respectively.

  • PDF

Fabr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ISFET Urea Sensor Using Polyurethane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ISFET 요소센서의 제작 및 특성)

  • Choi, Sung-Moon;Sohn, Byung-Ki;Kim, Ui-Rak
    • Journal of Sensor Science and Technology
    • /
    • v.2 no.1
    • /
    • pp.41-48
    • /
    • 1993
  • An ISFET urea sensor was fabricated by immobilizing the urease using polyurethane on the $H^{+}$ sensing $Si_{3}N_{4}$ thin film of pH-ISFET. The sensor could determine the urea concentration $1{\sim}50$ mg/dl with fast response of $3{\sim}5$ min. and good repeatability. For its application to clin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e urea measurements in blood plasma using ISFET urea sensor were compared with these of conventional Urease-Indophenol method.

  • PDF

A Study of Improvement of Living Conditions Using Module-Type Sensor (모듈형 센서를 이용한 주거환경 개선 연구)

  • Cha, Jin-m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4.10a
    • /
    • pp.851-853
    • /
    • 2014
  • 현대 사회는 모든 분야에서 다양한 분야들의 기술들이 융합되는 사회이며, 이로 인해 각종 환경적 위험 요소 등이 존재한다. 그중 한가지는 유해 가스에 의한 피해이다. 산업이 발전하고, 편의 시설등이 늘어나면서 다양한 시설들이 설치되고 있다. 하지만 이와 함께 시설물들이 가지는 위험도 또한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센서를 이용한 위험요소 탐지와 환경측정 자료를 기반으로 일상 생활에 접할 수 있는 위험요소를 파악하고 개선하고자 하였다. 진행은 유해성분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이용한 시스템을 구성하고, 자료 분석을 통한 개선사항를 도출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