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요소가수분해 효소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9초

제럼본의 요소가수분해효소 활성 억제 평가 (Evaluation of Urease Inhibition Activity of Zerumbone in vitro)

  • 우현준;이민호;양지영;권혜진;연민지;김도현;문철;박민;김사현;김종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65-270
    • /
    • 2017
  • 요소가수분해효소는 요소를 암모니아와 이산화탄소로 가수분해하는 효소로 요로감염을 일으키는 세균의 주요 병원성 인자이다. 따라서 요소가수분해효소는 세균이 요로감염증을 유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요소가수분해효소를 생성하는 6가지 종류의 세균에 (K. oxytoca, K. pneumoniae, M. morganii, P. mirabilis, P. vulgaris, S. saprophyticus) 대한 제럼본의 억제효과와 요소가수분해효소 활성능을 평가하였다. 최소억제농도와 최소살균농도 실험에서 제럼본은 요소가수분해효소를 생성하는 6가지 종류의 세균에 대해 억제효과를 보였으며, 최소억제농도는 0.5-2 mM, 최소살균농도는 1-4 mM를 나타내었다. 요소가수분해 활성억제 실험에서 제럼본은 요소가수분해효소의 억제제로 사용하는 아세토히드록사민산 보다 뛰어난 요소가수분해 활성억제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제럼본은 요소가수분해효소를 이루는 소단위체의 발현양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제럼본은 요소가수분해효소를 생성하는 세균에 대한 살균력을 가질 뿐 만 아니라 훌륭한 요소가수분해 활성억제력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섬유소 가수분해반응에 관한 연구(II) - 효소흡착과 가수분해반응에 관여하는 여러인자의 영향 - (Kinetic Studies on Enzymatic Hydrolysis of Cellulose(II) - Evaluation of Several Factors for Enzyme Adsorption and Initial Hydrolysis -)

  • 이용훈;김철
    • KSBB Journal
    • /
    • 제6권2호
    • /
    • pp.167-174
    • /
    • 1991
  • 섬유소 물질을 유용한 자원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섬유소 분해요소를 상요하여 가수분해 반응을 시킬 때 섬유소의 구조적 특성, 섬유소-효소계의 상관성, 가수분해 저해효과, 섬유소 분해효소의 불활성화 등에 의하여 섬유소 가수분해 반응 속도에 상당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수분해 반응이 진행함에 따라 높은 결정성을 가진 섬유소인 Avicel PH 101의 결정화도는 서서히 증가하였으며 무정형이 많은 Solka Floc BW 40은 반응초기에 급격한 증가를 보여주었고 실험적으로 결정성 부분과 무결정성 부분이 동시에 분해됨을 알 수 있었으며, 반응 초기에 급격한 효소의 흡착이 일어나며 반응이 진행함에 따라 서서히 탈착됨을 볼 수 있었다. 반응 생성물인 글루코오스와 셀로바이오스는 초기 가수분해 반응속도에 상당한 저해효과를 주며 또한 생성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효소 흡착량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섬유소 분해요소의 불활성도는 반응시간에 따라 지수 함수적으로 변화함을 실험적으로 알 수 있었다. 셀로바이오스의 초기 가수분해 반응속도는 상대적으로 높은 ${\beta}-glucosidase$의 활성도에 의해 비교적 높은 셀로바이오스의 농도(5-10mg/ ml)에서도 기질의 저해효과가 적음을 볼 수 있었다.

  • PDF

요소분해 저해에 미치는 목초액의 영향 평가 (Effect of pyroligneous acids on urease inhibition)

  • 박현준;박진희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2호
    • /
    • pp.173-178
    • /
    • 2017
  • 본 연구는 요소비료를 처리할 때 가수분해가 일어나 암모니아로 휘산되어 손실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목초액이 요소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기존에 수많은 요소분해 합성억제제들이 개발 또는 탐색되어 왔으나, 토양 또는 환경 별로 효과가 일정치 않고 합성물질의 경우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 등 때문에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농업자재인 목초액이 토양 중 요소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요소분해효소(urease)활성 억제효과를 통해 평가하였다. 목초액은 식물 urease와 미생물 urease 활성저해 효과뿐만 아니라 다양한 urease complex가 존재하는 토양 urease에도 저해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요소분해효소의 저해는 jack bean urease 반응속도를 측정한 결과 non-competitive inhibition으로 판단된다. 또한 목초액을 요소와 함께 토양에 처리하였을 경우 토양 내 요소분해작용을 억제하였다. 이를 통해 목초액을 요소 비료와 같이 처리할 경우 식물에 공급되는 질소의 효율을 증진시킴과 동시에 토양에 공급되는 질소비료의 총량을 절감하여 친환경 농업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타크린으로 유발한 간세포 독성에 대한 효소별 굴 가수분해물의 보호 효과 (Hepatoprotective Effects of Various Enzyme Hydrolysates from Oysters on Tacrine-Induced Toxicity in Human Hepatoma Cells)

  • 박혜진;도형주;김옥주;김안드레;하종명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17-125
    • /
    • 2012
  • 본 연구는 굴 가수분해물의 간 보호 효과를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굴은 많은 기능적 요소를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특히, 효소에 의해 생산된 가수분해물은 우수한 기능적 물질을 포함한다. 타크린으로 유발한 간세포 독성에 대한 효소별 굴 가수분해물의 보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HepG2세포를 이용하여 in vitro상에서 확인하였다. 사용한 샘플은 Neutrase, Flavourzyme, Protamex을 이용하여 효소 가수분해한 것이다. 타크린으로 손상을 유발한 간세포에서는 GOT와 LDH가 증가하게 된다. 굴 효소 가수분해물을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실험군에 비하여 높은 세포 생존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GOT와 LDH 역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타크린 독성에 대한 신약, 식품의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유기용제 취급 근로자들의 Succinyl trialanine p-nitroanilide 가수분해 효소 활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uccinyl trialanine p-nitroanilide hydrolytic activity in workers exposed to organic solvents)

  • 오혜주;노재훈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6권1호
    • /
    • pp.74-85
    • /
    • 1993
  • 유기용제 취급 근로자들의 간기능 장해의 새로운 지표로서 혈청 Succinyl trialanine p-nitroanilide (STN) 가수분해 효소 활성치에 관한 연구가 신발제조업 제화부서에 근무하는 종사자 114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체 대상자의 간기능 검사치인 혈청 GOT, GPT, ${\gamma}GT$의 평균은 $22{\pm}12.32IU/l,\;20{\pm}9.65IU/l,\;28{\pm}21.35IU/l$였고, 혈청 STN 가수분해 효소 활성치는 $0.08{\pm}0.05$였다. 2. 혈청 STN 가수분해 효소 활성치는 남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P<0.05), 연령군별로는 차이가 없었다. 3. 일일근무시간별 혈청 STN 가수분해 효소 활성치는 차이는 없었으나, 3년이상 근무한 근로자와 100ppm이상의 톨루엔에 노출된 근로자에서는 혈청 STN 가수분해 효소 활성치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4. 톨루엔 노출농도와 혈청 GOT, GPT, ${\gamma}GT$ 및 혈청 STN 가수분해 효소 활성치 사이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01). 5. 혈청 STN 가수분해 효소 활성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중에서 톨루엔 노출농도가 가장 설명력이 높고,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 PDF

산소플라즈마를 이용한 Poly(butylenesuccinate)의 표면친수성 향상이 생분해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xygen Plasma Treatment on Hydrophilicity and Biodegradability of Poly(butylenesuccinate))

  • 김수민;윤창상;박정희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7-50
    • /
    • 2001
  • 고분자의 생분해는 미생물에 의하여 분비되는 효소를 촉매로 하여 산화, 가수분해 등의 반응이 일어나 진행된다. 고분자의 생분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다양하여 고분자 자체의 분자구조뿐만 아니라 분해되는 환경조건과도 관련되어있다. 특히 고분자를 분해시키는 미생물과 분해에 직접적인 촉매로 작용하는 효소는 대부분 수분이 있는 조건에서 활성이 크기 때문에, 수분의 접근성과 침투정도는 생분해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중략)

  • PDF

섬유소의 연속 효소 가수분해를 위한 순환식 기포탑 반응기의 설계 (Design of Recycle Bubble Column Reactor for Continuous Enzymatic Hydrolysis of Cellulose)

  • 김춘영;홍석표정봉우이태원
    • KSBB Journal
    • /
    • 제5권1호
    • /
    • pp.59-67
    • /
    • 1990
  • 생성물의 분리 및 효소의 회수를 위하여 수평흐름 한외여과장치를 부착한 기포탑에서 섬유소의 연속적인 효소 가수분해 반응을 연구하였다. 기포탑을 효소 가수분해 반응 공정에 이용할 경우 기체유속의 범위는 1-3cm / sec로 기포의 합체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dispersed bubble flow 영역이 적합하며 혼합도 거의 완전하게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효소 회수장치에 한계분자량이 $10^4$인 여과막을 사용하였을 경우 효소의 활성이 저하되지 않은 채 대부분이 회수되었고 glucose 및 cellobiose의 배제율은 0이었다. 따라서 수평흐름 한외 여과장치는 효소의 연속회수장치로 작합하였으며 반응생성물이 연속적인 분리로 섬유소의 당화율을 증가시켰다. 화분식 반응의 경우 반응시간이 8시간이내에서 실험치는 성능식에 잘 부합되었으나 반연속식 및 연속식 반응의 경우에는 이론값과 차이가 있었다. 이는 반응기 내에서의 효소의 변성에 기인된다. 반연속식 및 연속식 반응의 경우 희석율을 증가시킴에 따라 전환율은 증가하나 반응액중의 환원당의 농도는 낮아진다. 따라서 적정한 기질 공급속도 및 희석율은 효소의 회수비용, 생성물의 농축비용 및 기질의 공급비용등의 경제적 요소를 고려하여 판단하여야 한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수평흐름 한외여과장치를 효소 회수장치로 기포탑에 응용할 경우, 효소의 재사용이 가능할 뿐 아니라 당화율을 증가시킴으로서 연속반응기로 효과적이라고 판단되었다.

  • PDF

배추 재배 시 목초액에 의한 요소 가수분해 지연을 통한 질소비료 절감 효과 (Reduced use of nitrogen fertilizer through retarded hydrolysis of urea by pyroligneous acid for Chinese cabbage cultivation)

  • 이주경;박현준;박진희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5권1호
    • /
    • pp.1-6
    • /
    • 2022
  • 요소는 가장 보편적인 질소비료 중 하나인데 빠른 가수분해와 환경으로의 질소 손실로 인해 작물에 질소 이용효율이 낮다. 따라서 요소 비료에서 질소 방출을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토양의 요소가수분해효소를 억제하여 요소에서 과도한 질소 용출을 방지하기 위해 목초액을 처리하였다. 목초액의 유효성분은 목초액을 처리하지 않은 토양에 비해 암모늄태 질소의 추출량을 79.7% 감소시켜 토양에서 요소의 암모니아화를 억제한 것으로 나타났다. 목초액이 요소의 시비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요소와 목초액을 처리한 토양에서 배추(Brassica campestris var. Pekinensis)를 각각 포트와 포장에서 재배하였다. 목초액을 요소와 같이 처리했을 때 관행적으로 사용하는 요소량의 반을 사용하였으며 관행과 비교하여 유사한 배추 생체중을 보였다. 배추의 질소 함량은 목초액 처리구에서 낮아 배추가 질소를 효율적으로 사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요소를 목초액의 유효성분과 같이 처리하면 시비량과 시비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효소처리에 의한 마늘 착즙액의 수율 및 향미성분변화 (Effects of Enzyme Treatments on Yield and Flavor Compounds of Garlic Extracts)

  • 신동빈;허우덕;이영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76-282
    • /
    • 2007
  • 마늘의 향미성분을 가급적 그대로 유지하고 착즙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착즙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착즙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protopectinase와 복합요소(cellulase, pectinesterase 및 ${\beta}-glucanase$ 등이 혼합된 효소)를 마늘펄프로부터 1차로 착즙하고 남은 잔사에 적용하여 마늘주스의 수율증가율과 향미성분 변화를 측정하였다. 착즙 전 마늘펄프 무게에 대하여 효소를 0.04, 0.08 및 0.12%씩 가하여 30, 60, 90 및 120분간 각각 가수분해하였다. 마늘주스의 수율 증가는 최대수율에 도달할 때까지 효소의 첨가량 및 반응시간의 증가와 더불어 증가하였다. 0.12%의 protopectinase를 첨가하여 90분간 가수분해하여 착즙한 결과 수율은 13.8%가 증가하였다. 복합효소를 0.12% 첨가하여 90분간 가수분해 후 착즙한 경우에는 최대수율인 14.5%의 증가효과가 있었다. GC로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효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control)와 총 피크면적으로 계산하여 비교할 경우 감소하였다. 0.12%의 protopectinase를 가하여 60분간 분해 후 제조한 마늘 주스의 휘발성 향기성분 향량은 약 6%가 감소하였다. 마늘주스의 유리당 함량은 0.12%의 protopectinase를 가하여 60분간 분해후 제조한 마늘 주스가 대조구와 가장 유사한 함량을 나타내었다.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사용한 효소의 종류에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0.12%의 protopectinase를 마늘착즙잔사에 가하여 60분간 분해 후 착즙한 액을 마늘펄프로부터 직접 착즙한 액과 혼합하면 착즙수율을 최대로 증가시키고 향미 성분의 변화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효소처리가 대두단백질의 기능특성과 두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unctional Properties of Soy Protein Isolate and Qualities of Soybean Curd upon Proteolytic Hydrolysis)

  • 한진숙;황인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94-299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분리대두단백질에 단백질 가수분해효소를 처리하여 대두단백질에 가수분해적 변성을 야기하여 그 기능성을 변화 고찰하고 실제 식품에의 이용방법으로 효소처리된 두유로 두부를 만들어 물성실험과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장엽에서 SPI를 제조한 후 15분간 bromelain으로 처리하여 2.7% 가수분해된 MSPI를 만들어 기능특성을 측정 비교하였다. MSPI는 전 pH범위에서 용해도가 증가하였고, 특히 등전점에서 15% 정도 증가하였다. 유화형성력과 기포팽창력은 증가하였으나 이들의 안정성은 감소하였는데, 특히 기포안정성은 알칼리쪽에서 급격히 감소하였고, 등전점에서는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표준두유와 변형두유를 혼합하여 제조한 두부로 물성실험과 관능평가를 실시하였을 때 압착실험에서는 변형두부I이 연하고 탄력성 있는 두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두부의 물성모형은 spring 한개와 Maxwell 모형 세개를 가진 7요소모형으로 동일한 물성모형을 나타내었다. 관능평가에서는 표준두유와 변형두유를 3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 두부의 품질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