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요산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26초

알코올성 지방간과 비알코올성 지방간 성인에 있어 혈청 철 표지자, 심장 표지자, 생화학적 표지자의 차이 (Difference in Serum Iron, Cardiac, and Biochemical Indices between Alcoholic and Non-alcoholic Fatty Liver)

  • 김철유;문성민;현경예;김대식;최석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85-191
    • /
    • 2009
  • 비록 음주가 간손상을 일으키는 지방간의 원인이 되긴 하나 다른 인자들 역시 지방간의 원인이 된다. 우리는 알코올성 지방간(알코올군)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 남성(비알코올군)에 있어 철 표지자, 심장표지자, 그리고 생화학적 표지자의 변화와 차이를 연구하였다. 알코올군이 비알코올군 보다 신체지수, 수축기 및 확장기 혈압, 좌우 안압이 유의하게 더 높았다. 또한 혈색소 농도, 적혈구 용적률, 평균 적혈구 혈색소량, 평균 적혈구혈색소 농도, 단구 수 역시 알코올군이 비알코올군 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 생화학적 지수인 alanine aminotransferase, ${\gamma}$-glutamyltranspeptidase,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저밀도콜레스테롤, 혈당, 크레아티닌, 요산 등도 알코올군이 비알코올군 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철 지수인 철, 총철결합능, 페리틴 농도 역시 알코올군이 의미있게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장기적인 알코올 기인성 지방간이 비음주 지방간에 비해 혈청 철농도, 심혈관 표지자, 그리고 생화학적 표지자들을 더 상승시키며, 이는 심혈관 질환 및 대사성 증후군과 같은 성인병에 노출될 가능성이 보다 높을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고지방과 콜레스테롤 식이로 유도된 고지혈증 흰쥐에서 노루궁뎅이버섯의 항고지혈증 효과 (The Antihyperlipidemic Effect of Lion's Mane Mushroom (Hericium erinaceus) in Hyperlipidemic Rats Induced by High Fat and Cholesterol Diet)

  • 장형석;윤기남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63-270
    • /
    • 2017
  • 노루궁뎅이버섯의 자실체가 고지방과 콜레스테롤을 급여한 Sprague Dawley계 암컷 흰쥐의 지질대사와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생후 5주령의 흰쥐에 표준 식이를 급여한 정상군(NC군), 표준 식이에 15%의 돈지와 1%의 콜레스테롤을 첨가한 식이를 급여한 고지방 콜레스테롤군(HFC군), 고지방 콜레스테롤 식이에 노루궁뎅이버섯 자실체 분말을 5% 첨가한 군(HFC+HE군) 등 총 3개의 군으로 나누어 6주간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동물의 체중증가와 식이효율은 HFC군에 비해 HFC+HE군이 유의하게 감소하여 NC군과 유사한 수준을 나타냈다. 식이섭취량은 NC군과 HFC군에 비해 HFC+HE군이 유의하게 낮았다. HFC+HE군의 혈청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의 농도는 NC군과 HFC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고 동맥경화지수(AI)도 NC군과 HFC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낮았다. 그러나 혈청의 중성지방 농도는 NC군에 비해 유의성은 없었으나 HFC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HFC+HE의 혈청 알부민, 크레아티닌, 요산 및 총단백질의 농도는 NC군의 수준을 나타냈다. 혈청의 AST, ALT 및 ALP 활성은 NC군과 유사하였으나 HFC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실험 5~6주에 배출된 변을 채취하여 총지질과 총콜레스테롤의 양을 분석한 결과 NC군과 HFC군에 비해 변의 총지질과 총콜레스테롤 함량이 유의하게 높아 변으로 배출된 총지질과 총콜레스테롤의 양이 많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지방 콜레스테롤식이에 5%의 노루궁뎅이버섯 자실체 분말을 첨가한 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체중은 정상군의 수준을 유지하였고, 혈청의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의 농도도 정상군과 유사하게 낮았으며, 동맥경화지수도 낮아 노루궁뎅이버섯이 흰쥐의 지질대사를 정상으로 유지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갑상선중독유발 흰쥐에 미치는 팔미소요산가미방(八味消遙散加味方)과 계부탕(桂附湯)및 보간양제(補肝陽劑)의 영향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Etfects of 『Palmisoyo-San gamibang』, 『Gyebu-Tang』 and 『Boganyangje』 on the Thyrotoxicosis of Rats)

  • 이연성;소경순;정찬길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39-50
    • /
    • 2005
  • In order to study comparatively the effects of "Palmisoyo-San gamibang(八味消遙散加味方)"(AP), "Gyebu-Tang(桂附湯)"(GT) and "Boganyangje(補肝陽劑)" (BG) on the thyrotoxicosis rats, we have made thyrotoxicosis rat model by administration sodium levothyroxine p.o. during 4 days(Control group), and have administered solid extract of AP(236.8mg/200g/day : Sample I group), GT(80mg/200g/day : Sample II group) and BG(70.4mg/200g/day : Sample III group) p.o. to thyrotoxicosis rats during 3 days from 3rd day. We measured the body weight(BW), body temperature(BT), levels of Serum $T_3{\cdot}T_4{\cdot}free\;T_3{\cdot}free\;T_4$ and TSH after administrating solid extract of AP, GT and BG.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Sample I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 increasing rate compared with Control, Sample II and Sample III group, but it showed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BT, $T_4$ and free $T_4$ than those of Control, Sample II and Sample III. group. 2. We could know that AP suppress the alteration of $T_4$ to $T_3$. 3. Sample II and Sample III group showed opposite results to Sample I group in the BW., BT, $T_4$ and free $T_4$ Especially Sample III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Sample I and Sample II, so we could guess that BG stimulates the formation of thyroid hormones. According to the above experimental results, "Palmisoyo-San\;gamibang(八味消遙散加味方)" is assumed to have a curative effect against the thyrotoxicosis rat induced by sodium levothyroxine, and to suppress the alteration of $T_4$ to $T_3$. And we can suppose that "Boganyangje(補肝陽劑)" has a curative effect against the hypothyroidism.

밴댕이 액젓의 숙성 중 성분변화 (Changes of Components in Salt-Fermented Big Eyed Herring, Harengula zunasi Sauce during Fermentation)

  • 임영선;이근우;김건배;최영준;이인수;조영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88-492
    • /
    • 2001
  • 밴댕이 액젓을 재래식의 방법으로 18개월 동안 숙성시키면서 $2\~3$개월 간격으로 성분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밴댕이육의 가 수분해도는 숙성 5개월까지는 $51.8\%$로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에는 분해속도가 둔화되어 숙성 18개월 후에는 $71.5\%$이었다. 총질소 및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숙성기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숙성기간에 따른 총질소함량의 증가속도에 비하여 아미노태 질소함량의 증가 속도가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숙성 6개월 이후 액젓중의 ATP 관련물질은 거의 대부분 ($81.7\sim90.1\%$)이 Hx와 요산이었고, ATP 관련물질 총량은 숙성기간에 따라 일정하게 증가하였다. HxR+Hx 함량과 요산량이 교차하는 숙성 13개월 부근은 가수분해도 $66.6\%$로 높은 분해율을 보이는 지점으로서 경제적인 출하 시점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18개월간 숙성시킨 밴댕이 액젓의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8,090.5mg/100mL으로 원료육 총 아미노산 함량 (21,538mg/100g)의 약 $38\%$ 정도였으며, 주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20.0\%$), aspartic acid ($10.4\%$), alanine ($9.9\%$), lysine ($9.4\%$), threonine ($6.2\%$) 등의 순이었다.

  • PDF

동남아산 액젓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utheast Asian Salt-Fermented fish Sauces)

  • 조영제;임영선;박희열;최영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98-102
    • /
    • 2000
  • 동남아산 액젓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필리핀산 Patis 2종, 태국산 Nampla 3종 및 Nuocman 1종, 베트남산 Nuocman 7종 등 총 13종을 구입하여 각종 성분들을 분석하고, ATP관련물질 총량과 총질소함량과의 상관관계를 통하여 품질을 분류하고자 하였다. 국내산 액젓의 원료어는 주로 멸치 및 까나리만인데 반하여, 동남아산 액젓은 멸치, 고등어, 병어 및 혼합어종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맛과 저장성을 높이기 위해 보존제 및 비타민류, 아민류, 인산염 등을 첨가하였다. 동남아산 액젓은 수분함량 $60.6{\~}72.8{\%}$, 회분함량 $18.2{\~}25.8{\%}$, 조단백 질함량 $0.9{\~}13.7{\%}$, VBN함량 $14.1{\~}338.6\;mg/100ml$, $PH 4.66{\~}5.91$, 염분함량 $24.1{\~}30.6{\%}$, 총질소 및 아미노산성질소함량은 각각 $0.140{\~}2.199g/100\;mg$$115.4{\~}1,643.0mg/100ml$, AN/TN은 $72.8{\~}83.5{\%}$ 범위로, 원료어종, 액젓의 제조국가 및 종류, 제조방법, 숙성조건 둥에 따라서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동남아산 액젓 모두 $ATP{\~}IMP$는 극미량, HxR은 약간 검출되었으며, 약 $94{\%}$ 정도가 Hx과 요산이었고, ATP관련물질 총량은 $0.829{\~}9.564{\mu}mol/ml$이었다.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46.4{\~}9,056.3 mg/100 ml$이었고, 유리아미노산 조성은 glutamic acid의 조성비가 $16.0{\~}47.0{\%}$ (평균 $23.6{\%}$)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Iysine, leucine, alanine, aspartic acid, valine, isoleucine 등의 순이었으며, 이들 아미노산 함량이 전체의 약 $64{\%}$ 정도를 차지하였다.

  • PDF

가토의 요산배설에 관한 실험적연구 (Experimental Studies on the Excretion of Uric acid in Rabbit)

  • 홍윤표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67-76
    • /
    • 1971
  • The excretion of uric acid in man has been of great interest because of its importance as an end product in purine metabolism as well as of its role in causing gout.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the modes of renal handling of urate among various species of animals. Uric acid actively secreted by the renal tubules of most vertebrate including amphibians, reptiles, and birds. On the other hand, in most mammals net tubular reabsorption of urate appears to be occurred with some exception, such, as Dalmatian dog. In the rabbits, however, the mechanism of renal excretion of uric acid has long been a subject of controversial results. Within a given group it was possible to find individuals with either net secretion or net reabsorption of urate depend on the experimental conditions. Excretion of urate can be depressed or enhanced by a variety of drugs belonging mainly to the aromatic acid group. Diodrast, probenecid, cinchophen and salicylates have been reported as uricosuric agents, on the other hand, lactate, benzoate, pyrazinoic acid, acetazolamide and chlorothiazide are known to be contraindicated to use for the patient with gout since these agents depress the excretion of uric acid from the kidney. However, complex and sometimes the paradoxical effects on the urate excretion by those above mentioned drugs are not uncommon. The experiments were designed to investigate the mechanisms of renal handling of urate as well as the effects of variety of drugs on the tubular transport of uric acid in the rabbits. Male or female white rabbits, from 1.5 to 2.5 kg in weight, were used. The experimental methods used in these studies were clearance, stop-flow, and retrograde injection techniques. The effects of saline, salicylate, chlorothiazide and probenecid were investigated in each experimental conditions. Results of the experimen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the rabbits, the rate of urate clearance was always lower than the rate of inulin clearance. The filtration fraction of the urate was one third on an average, therefore, it is estimated that approximately two thirds of filtered urate was reabsorbed. 2. In the kidneys of rabbits, the urate clearance was increased significantly by administration of chlorothiazide and decreased by probenecid. The administration of salicylate had no effect on the rate of urate clearance. The filtration fraction of urate was increased by chlorothiazide and decreased by probenecid. 3. In the stop-flow studies, the U/P ratio of urate was higher than the U/P ratio of inulin in the proximal region, indicating the secretion of uric acid in the proximal tubules. The proximal peak was increased by chlorothiazide and inhibited by probenecid.4. In the retrograde injection studies, the reabsorption of urate in the proximal region was observed, and these reabsorptive transport of urate was depressed by either probenecid or by chlorothiazide. 5. No distal tubular activity was observed under any of these experimental conditions concerning urate transport. The results of these experiments show that probenecid inhibits both secretory and reabsorptive transport of uric acid in the kidney of the rabbits. The enhancement of secretory transport of urate by chlorothiazide in the clearance study was due to the secondary action of chlorothiazide which inhibits the reabsorptive transport of urate in the proximal tubules. It is evident that the urate transport in the kidneys of rabbits is bidirectional nondiffusive flux both secretory and reabsorptive directions in the proximal tubules.

  • PDF

세균성(細菌性) 요도염(尿道炎)의 감염균(感染菌)이 요중(尿中) 크레아티닌의 양(量)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arious Microorganisms Found in Urinary Tract Infections on Creatinine)

  • 이정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0권4호
    • /
    • pp.68-83
    • /
    • 1977
  • 영양실태조사 및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많은 영양적 연구에서 요중(尿中) 여러 성분(成分)들의 배설량을 측정하기 위해 만 하루의 소변을 완전히 채취하기는 매우 어려우므로 임의시간(任意時間)의 소변을 채취하여 사용한다. 이 경우엔 흔히 요성분(尿成分)의 농도는 요중(尿中) 크레아티닌을 양(量)을 기준으로 하여 표시되는데, 크레아티닌은 요중(尿中) 일일(一日) 배설량이 개인에 따라 알정하고 요양(尿量)에는 상관없이 비교적 일정한 속도로 배설 된다고 간주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비교적 높은 발생율을 갖는 세균재(細菌在) 요도염(尿道炎)에서는 감염균(感染菌)이 크레아티닌을 파괴할 가능성이 있고 따라서 이 경우의 요중(尿中) 크레아티닌의 여러 용도(用途)는 비합리적으로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가설을 규명하려고 한다. 첫 실험에서는 감염균(感染菌)이 요소(尿素)를 암모니아로 파괴함으로써 형성되는 요(尿)의 알칼리성에 대한 크레아티닌의 안정성(安定性)을 알아 보았다. 건강인(健康人)의 요중(尿中) 크레아티닌과 완충액에 용해시킨 순수 크레아티닌을 pH $4.5{\sim}9.0$으로 조정하여 $37^{\circ}C$에서 6일간 배양시켰다. 잔존한 크레아티닌을 측량한 결과, 크레아티닌은 완충용액이나 요(尿)에서서 모두 산성 pH에서 보다 알칼리 pH에서 더욱 안정(安定)함을 보여주었다. 1일간 배양 후엔 거의 변화(變化)가 없었고 6일 후에나 $4.2{\sim}8.0%$의 감소율을 나타냈을 뿐이다. 두번째 실험에서는 감염균이 크레아티닌을 성장(成長)을 위한 질소급원으로 사용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세균성(細菌性) 요도염(尿道炎)에서 자주 발견되는 13종류(種類)의 박테리아를 건강인(健康人)의 요(尿)와 크레아티닌을 질소급원으로 하는 합성배지(合成培地)에 $37^{\circ}C$로 배양하였다. 대부분의 박테리아는 크레아티닌함양(含量)을 감소시키지 않았다. 그러나 Pseudomonas aeruginosa와 Klebsiella pneumoniae는 합성배지중(合成培地中)의 크레아티닌을 상당량 파괴시켰고, 그 파괴율은 그들 성장율과 평행하였다. 배양 6일후에는 크레아티닌이 Pseudomonas aeruginosa에 의해 처음 양(量)(500mg/100m1) 의 12.8%가, Kleobsiella pneumoniae에 의해서는 11.8%가 감소되었다. 감소율은 크레아티닌의 처음 농도가 낮을수록 커져서 50mg/100ml 일 때는 각각 21.1%와 28.2%이었다. 더욱이 Klebsiella pneumoniae는 황산암모늄과 요소(尿素)같은 다른 질소급원이 크레아티닌과 공존(共存)할 때에도 크레아티닌을 어느 정도 파괴함을 보여 주었다. 결론으로, 세균성(細菌性) 요도염(尿道炎)환자의 요(尿)의 알칼리성은 요중(尿中) 크레아티닌양(量)에 중요한 영항을 주지 못한다. 그러나 본(本) 연구(硏究)에서 사용된 Klebsiella pneumoniae와 가능하게는 Pseudomonas aeruginosa 같은 몇 감염균(感染菌)은 크레아티닌을 그들 성장(成長)의 질소급원으로 사용하여 요중(尿中) 크레아티닌양(量)을 저하시킬지도 모른다. 특히 요(尿)에 요소(尿素), 요산(尿酸)같은 다른 질소급원이 크레아티닌에 비해 비교적 낮은 비율로 존재할 때에, 예(例)를 들면 저(低)단백식사(食事)인 경우, 감염균에 의한 크레아티닌의 파괴율이 더 클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베도라치액젓의 숙성 중 성분변화 (Changes of Components in Salt-Fermented Blenny, Enedrias nebulosus Sauce during Fermentation)

  • 임영선;유병진;이근우;김건배;이인수;조영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97-301
    • /
    • 2002
  • 베도라치액젓을 옥외의 자연조건 ($25\pm5^{\circ}C$)으로 18개월 동안 숙성 시키면서 2$\~$3개월 간격으로 성분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베도라치육의 가수분해도는 숙성 6개월까지는 $75.6\%$로 큰 폭의 증가를 보였으나, 그 이후에는 분해속도가 둔화되어 숙성 18개월 후에는 약 $89\%$의 질소화합물이 육으로부터 액으로 이행되었다. 액젓중의 총질소 및 아미노산성질소함량, 그리고 ATP 관련물질 총량은 숙성기간에 비례하여 일정하게 증가하였으며, 숙성 2개월부터 ATP 관련물질은 거의 대부분 (80.1$\~$$90.5\%$)이 Hx과 요산이었다. HxR+HX 함량과 요산량이 교차되는 숙성 6.8개월 부근은 $76.5\%$의 높은 분해율을 보여 경제적인 출하시점으로 판단된다. 18개월간 숙성시킨 베도라치액젓의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6,096.9mg/100mL으로 원료육 아미노산 총량 (7,555.6mg/100g)의 약 $81\%$ 정도였으며, 주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16.3\%$), alanine ($10.9\%$), Iysine ($10.8\%$), valine ($9.9\%$), leucine ($9.4\%$) 등의 순이었다.

홍삼의 사포닌이 다이옥신에 의한 급성독성 유도 웅성 기니피그의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d Ginseng Saponin Fraction on the Blood Components of Male Guinea Pigs with Acute Toxicity induced by 2,3,7,8-Tetracholorodibenzo-ρ-dioxin (TCDD))

  • 김병원;이윤복;박재승;박지원;황석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4호
    • /
    • pp.339-350
    • /
    • 2013
  • 홍삼 사포닌분획(SF)투여 시 TCDD(2,3,7,8-tetracholorodibenzo-${\rho}$-dioxin)투여(TT)에 의해 감소했던 웅성 기니피그의 체중과 간, 콩팥, 지라, 고환의 무게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SF투여 시 TCDD투여에 의해 감소했던 헤마토크릿 값, 적혈구 및 혈소판의 수, 아밀라아제 및 lactate dehydrogenase의 활성도, 요산, 총단백질 및 알부민의 양은 증가했고, 증가했던 백혈구의 수, 중성지질, 총콜레스테롤(TC), 혈당, 저밀도지단백질-콜레스테롤, 고밀도지단백질-콜레스테롤, 크레아티닌, 혈중 요소질소, 칼슘 및 인의 양과 creatinine kinase,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anine aminotransferase, alkaline phosphatase의 활성은 감소하였다. 그리고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혈당, TC, 칼슘 및 알부민을 제외한 모든 지표들은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였다(p>0.01). 이상의 결과로부터 SF는 TCDD에 의해 유도된 기니피그의 급성독성을 완화시켜 주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경기도 일개 종합병원에서 Pro-Brain Natriuretic Peptide와 통상적 혈액검사 인자간의 상관성 조사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Brain Natriuretic Peptide and Routine Blood Test Factors at a General Hospital in Gyeonggi-do)

  • 박동엽;김상수;성현호;박창은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172-18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정보시스템을 활용하여 N-말단 프로-뇌 나트륨 이뇨 펩타이드(N-terminal pro-brain natriuretic peptide, NT-proBNP)의 결과와 통상적인 혈액검사와의 상관성을 후향적으로 조사하는 것이다. NT-proBNP는 심부전의 병태 생리학에 관여한다. 본 연구결과는 연령과 NT-proBNP의 관계는 양의 상관관계(r=0.163)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 NT-proBNP 농도는 총 단백질(r=-0.250)과 알부민(r=-0.270)은 음의 상관관계, 적혈구수와 혈색소 그리고 적혈구 용적률은 음의 상관관계로 나타난 결과로 나타났다(P<0.01). NT-proBNP는 호중구와 양의 상관관계(r=0.227)와 림프구는 음의 상관관계(r=-0.236)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P<0.01). NT-proBNP와 크레아티닌은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r=0.594, P<0.01), 다중회귀분석결과 가장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관찰되었다(B=0.53, t=7.65, P<0.01). NT-proBNP와 요산의 농도는 양의 상관관계로 유의한 관계를 나타냈다(r=0.180, P<0.05). 젖산탈수소효소가 NT-proBNP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관찰되었다(B=0.20, t=3.28, P<0.01). 이러한 설명력은 43%의 영향력을 나타내어 NT-proBNP의 정확한 검사와 관련인자들은 심장표지자로서 임상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