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요구능력

검색결과 3,153건 처리시간 0.026초

중등학교 가정과 교사의 교수 능력에 관한 교육 요구 분석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Educational Needs Analysis on Teaching Competency)

  • 장명희;윤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22
    • /
    • 2003
  • 본 연구는 가정과 교사들의 교수 능력 개선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을 조사하고 선행 연구에서 규명된 가정과 교사들의 교수 능력에 대한 인식에 기초하여 가정과 교사의 교수 능력에 관한 교육 요구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조사 자료는 전국의 중ㆍ고등학교 가정과 교사들을 모집단으로 하였으며, 지역과 학교 급별, 학교 규모 등을 고려한 유층 표집 방법으로 1,104개교를 선정하였다. 분석에는 417개교로부터 접수된 설문조사 자료 616 부가 활용되었으며. 조사 도구는 중요도와 수행 정도를 각각 7단계, 5단계 리커트 척도로 구성되었다. 가정과 교사들이 인식한 교수 능력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 정도를 기초로 교수 능력 향상에 필요한 교육 요구를 분석한 결과 7가지 영역 중 ‘지역 사회 및 다양한 인적 자원과의 연계 능력’, ‘학습 공간 및 학습 자료 구성 관리 능력’, ‘다양한 수업 전개 및 평가 능력’ 등 세 영역에서 교육 요구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과 교사들의 교수 능력 개선을 위한 일반적인 인식으로는 ‘가정과 교사 양성 프로그램 개선(4.13)’보다 ‘현직 가정과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다양화 및 전문화(4.50)’에 대한 동의 정도가 높았다. 가정과 교사들은 이들 두 가지 요구에 대하여 교직 경력과 학교 설립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 PDF

특성화고등학교 직업기초능력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분석 - 기업근로자를 중심으로 (Training needs analysis for the development of basic job skill curriculum in specialized high school)

  • 배광민;윤관식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44-71
    • /
    • 2015
  •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의 직업기초능력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분석으로 기업체 근로자들을 중심으로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현재수준과 기대수준을 파악하고, 기업분야 중 기계계열, 전기 전자 반도체계열, 건축 토목 건설계열 영역의 직업기초능력 교육우선순위를 결정, 교육과정 편성을 위한 연구이다. 구체적으로 직업기초능력 하위영역에 대한 기업근로자들의 현재수준과 기대수준 차이를 Borich 요구도,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교육요구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기업규모와 분야를 중심으로 특성화고등학교의 기계계열학과, 전기 전자 반도체계열학과, 건축 토목 건설계열학과에 적용 가능한 교육요구 우선순위를 분석하고 직업기초능력 교육과정 편성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기계계열학과의 경우 언어구사력, 문제처리능력, 자기개발능력, 경력개발능력, 시간관리능력, 협상능력, 기술이해능력이 최우선적으로 반영되어야 하며, 전기 전자 반도체계열학과는 시간관리능력, 건축 토목 건설계열학과는 문제처리능력, 자기개발능력, 경력개발능력, 시간관리능력, 갈등관리능력의 교육과정이 기업규모와 상관없이 최우선적으로 요구되는 내용으로 도출되었다.

전기·전자·통신 계열 공업교사의 교수능력과 교육요구 (The Teaching Competency and Educational Needs of Electricity·Electronic·Communication Technical Teachers)

  • 이명훈;나승일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77-202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전기 전자 통신 계열 공업교사들의 교수능력 수준과 교육요구를 구명하는데 있었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250개 전기 전자 통신 관련 학과에 근무하는 750명의 전기 전자 통신 계열 공업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에 사용된 조사 도구는 3개 영역, 총 30개 교수능력에 대한 중요성 인식 수준과 현재의 교수능력 수준을 5점 리커트 척도로 응답하도록 구성하였다. 최종분석에 443부가 사용되었으며, 각 교수능력에 대한 교육요구는 보리치(Borich)의 교육요구도 계산공식을 사용하여 산출하였다. 주요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기 전자 통신 계열 공업교사들은 30가지 교수능력에 대하여 평균적으로 모두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특히, 교수능력 가운데 학생들의 수준과 흥미를 파악하는 능력에 대하여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둘째, 전기 전자 통신 계열 공업교사들은 30가지의 교수능력에 대한 중요성 인식 수준보다 낮은 수준의 교수능력을 가지고 있다. 특히, 교수능력 중 '실습시 시범보이기'에 대한 능력수준이 가장 높으나, '모의학습법 적용'에 대한 능력수준이 가장 낮다. 셋째, 교수능력 중 전기 전자 통신 계열 공업교사들의 교육요구가 높은 항목은 '학생들의 수준과 흥미 파악', '문제해결법 적용', '학습내용 재구성', '성취할 수업목표 설정' 등이고, 반면에 교육요구가 가장 낮은 항목은 '컴퓨터 매체 활용'이다. 넷째, 전기 전자 통신 계열 공업교사들의 교수능력에 대한 교육요구 순위는 성별, 학력, 교직경력, 산업체 근무경험, 근무지, 학교 설립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다.

공대 졸업생들의 공학기초능력 수준과 교육 요구 분석 (Engineering basic competencies level and educatkonal needs analysis of engineering college graduates)

  • 함승연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96-209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공대 졸업생들의 대학 졸업 시의 공학기초능력 수준과 실제 직업에서의 중요도를 조사하고 교육 요구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공대 졸업생 807명을 대상으로 질문지에 의한 조사 연구를 수행하여, 공학기초능력의 대학 졸업 시 수준, 실제 직업에서의 중요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공대 학과별 공학기초능력의 수준 및 직업에 따른 업종별 공학기초능력의 실제 중요도를 조사하였으며 공학기초능력에 대한 교육 요구도 함께 조사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대 졸업생들의 대학 졸업 시 전체적인 공학기초능력 수준은 5점 만점에 평균 3.3점이었다. 12가지 공학기초능력 중에서 직업 윤리적 책임 의식의 수준은 비교적 높은 반면에 공학적 문제해결능력과 공학적 실무 능력 수준은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둘째, 공학기초능력의 실제 직업에서의 중요도를 조사한 결과 평균 3.7로 나타났다. 공학기초능력 중에서 의사전달능력의 중요도가 가장 높았으며, 수학 기초과학 공학 지식과 정보 기술 응용 능력이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체적으로 공학기초능력의 괴리 정도, 즉 교육 요구도는 0.48로 나타났다. 공학기초능력 중에서 교육 요구가 높은 것은 의사전달능력, 현실적 제한조건을 반영한 시스템 요소 공정 설계능력, 복합 학제적 팀워크능력, 세계문화이해와 국제적 협동능력, 그리고 자료 이해 및 분석 능력과 평생학습능력 등이었다. 위 연구 결과는 향후 공학교육 프로그램과 인증기준을 개선할 때에는 이를 적극 반영해야 할 것이다.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직업기초능력 기반의 직군별 요구역량 : 국내 대기업 A사를 중심으로 (Needs Analysis Case Using Key Competencies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 윤덕원;우혜정;강봉준;김윤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383-398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개별 기업이 인적자원의 요구역량을 조사 분석함에 있어 각 현장의 특성화된 요구를 반영하여 최우선 영역을 도출하는 사례를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최근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확산하는 정책강화 시점에 기업이 능동적으로 NCS 영역을 요구분석 도구로 활용하는데 응용 가능한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대기업 A사의 신입사원에 대한 직군별 요구 역량과 현재 수준분석에 NCS 직업기초능력 34개 영역을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8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t-검정 후 Borich의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비교하여 최우선순위 영역을 도출하였다. 전체 34개 영역 중 32개 영역에서 현재수준과 기대수준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A사 신입사원의 최우선 직업기초능력으로 문서작성능력, 도표작성능력, 사고력, 문제처리능력, 시간관리능력, 기술이해능력, 업무이해능력의 총 7개 영역이 도출되었다. 또한 직군별로 요구되는 직업기초능력의 우선순위 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A기업의 HRD/HRM 및 타 기업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서북도서에 대한 요구능력 우선순위 결정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iority Decision Method of Required Capability for North West Islands)

  • 장동모;임계환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45-56
    • /
    • 2013
  • 북한의 예측 불허의 공격에 대비하기 위하여 서북도서에 대한 전력증강은 위협기반에서 탈피하여 적 능력, 작전환경, 기술발전 등을 충분히 반영한 능력기반의 전력기획을 요구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서북도서에 대한 요구 능력 식별단계로부터 결정된 전력에 대한 투자단계까지의 능력기반 프로세스 중에서 식별된 능력들에 대한 획득 우선순위 결정단계에 대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식별된 능력들에 대하여 조직, 작전, 능력의 관계를 설정하고,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순위 결정의 모호성을 제거하고 세부적인 우선순위 결정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다른 우선순위 결정방법과 비교할 때, 서북도서에 대한 다양한 작전과 요구능력을 동시에 식별하고, 우선순위를 명확하게 구분하는 결과를 획득하였다. 능력기반 전력기획은 상대적으로 많은 전력들을 필요로 하고, 부족한 국방예산에 의하여 제한을 받기 때문에 세밀한 우선순위의 결정방법은 효율적인 전력증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21세기 정보전문직의 역할과 능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petencies and Roles of Information Professionals in the 21st Century)

  • 홍현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77-301
    • /
    • 2000
  • 각종 첨단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정보활동의 효율성이 향상되었고. 정보화 현상이 더욱 보편화되면서 정보전문가들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그들의 역할과 능력도 재평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보환경 변화에 따른 정보전문직의 역할을 규명하고, 정보전문직에게 요구되는 능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에 더하여 정보전문직의 능력에 관한 설문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정보전문직에 대한 시대적 요구와 현장이 요구를 파악하며, 궁극적으로는 21세기 사회, 문화, 정보기능을 담당할 정보전문직 양성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 PDF

NCS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4년제 공학계열 대학생, 졸업생, 인사담당자의 인식 차이 및 교육요구도 분석 (Analysis of differences in perceptions and educational needs of university students, graduates, human resource manager on NCS basic job skill)

  • 김경언;김주리;우혜정
    • 공학교육연구
    • /
    • 제20권4호
    • /
    • pp.12-20
    • /
    • 2017
  • 본 연구는 공과계열 4년제 대학생, 졸업생,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NCS 직업기초능력의 중요도, 현재 자신의 수준, 교육요구를 파악하여 대학의 NCS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생 533명, 졸업생 730명, 인사담당자 106명을 대상으로 NCS 직업기초능력의 중요도 및 자신의 수준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첫째, 인사담당자는 재학생, 졸업생에 비해 모든 역량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졸업생은 재학생에 비해 모든 역량에 있어 현재 자신의 수준이 높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학생과 졸업생은 자기개발능력, 기술능력, 문제해결능력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높았고, 수리능력, 자원관리능력, 조직이해능력, 직업윤리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낮게 나타났다. 반면 인사담당자는 자기개발능력,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높았으며, 수리능력, 자원관리능력, 정보능력, 기술능력, 조직이해능력, 직업윤리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재학생 및 졸업생, 인사담당자가 인식하는 교육요구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NCS 교육과정을 개발 적용할 필요가 있다.

선박 자동화 수준에 따른 필요 해기능력 분석에 관한 연구

  • 안영중;이윤석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50-152
    • /
    • 2018
  • 국제해사기구의 MSC 98차 회의에서 새로운 도출 의제로 MASS(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s)가 포함됨에 따라 선박 자동화와 무인화는 해상분야의 국제적인 이슈로 떠올랐다. 유럽의 선급과 연구소 및 제조사 등은 선박자동화의 수준을 다양하게 정의하고 있으나 기술요소와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선원의 역할과 교육분야에 대한 고려는 반영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동화 수준에 따라 항해사 또는 육상관리자에게 요구되는 해기능력을 식별하여 각 면허에 대한 적용안과 교육 및 양성에 필요한 기초연구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선박 자동화 수준에 대한 다양한 정의를 조사하고, 현재 항해사 및 선장 에게 요구되는 STCW 해기능력을 항목화 하였다. 선박의 자동화와 원격운항의 적용에 따라 제외되거나 추가적으로 요구되는 해기능력을 식별하고 자동화 수준별로 분류하였다. 제시된 해기능력과 면허의 구분에 대한 안을 기반으로 업계와 해기교육기관 전문가들의 검토를 통해 선박자동화와 인적요소에 대한 자동화 수준의 명확한 정의가 필요할 것이다.

  • PDF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물질 영역' 실험 활동에 포함된 실험 수행 능력 (Laboratory Abilities to Carry-out Experimentations of Matter in the Middle School Science Texts)

  • 박현주;민병욱;정대홍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8호
    • /
    • pp.870-879
    • /
    • 2008
  • 이 연구는 26종의 중학교 1, 2, 3학년 과학 교과서에서 '물질' 분야에 제시된 실험 활동에서 요구하고 있는 실험 수행 능력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물질 분야에는 전체 7 단원에 걸쳐 총 359개의 실험이 제시되었다. 실험수행능력 분석틀에 따라 실험을 분석해 본 결과, 중학교 실험을 수행하기 위해서 다양한 실험수행능력이 필요하고, 학년별로 차이를 보였지만 전체적으로는 유사한 패턴을 가지고 있음이 조사되었다. 전학년에 걸쳐 결과 정리와 자료 해석 및 일반화 능력이 가장 많이 요구되고 대체 실험과 관련된 능력들은 상대적으로 빈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3학년의 경우, 1, 2학년 실험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실험 수행을 위한 세부적인 능력이 골고루 필요로 하는 실험이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실험 상황 예측, 실험기구 설치, 측정기구사용, 오차원인 분석 능력은 2학년에게 상대적으로 많이 요구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실험기구 설치 능력은 1, 2학년에서, 안전사고 위험 숙지 능력은 1, 3학년에서 상대적으로 많이 요구되는 능력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