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외화

Search Result 171,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2013년 이후 북한 인플레이션 완화에 대한 고찰

  • Jeong, Yeon-Uk
    • KDI북한경제리뷰
    • /
    • v.21 no.10
    • /
    • pp.73-93
    • /
    • 2019
  • 본 연구는 2013년 북한 쌀가격 및 환율안정의 배경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외국 이론 및 사례 분석을 참고하였다. 짐바브웨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하이퍼인플레이션으로 격화된 달러라이제이션이 그 자체로 하이퍼인플레이션을 중단시키지는 못한다고 보았다. 하이퍼인플레이션을 겪었던 모든 국가는 결국 화폐개혁을 단행하게 되었고 때늦은 개혁조치는 대부분 실패하였지만, 성공적인 경우에서 확인되는 중요한 필요조건은 재정통제와 통화남발 중단이라는 점이 발견되었다. 북한도 달러라이제이션을 더 이상 방치할 수 없었고, '조용한' 금융개혁들을 나름 성공적으로 추진하였다고 보았다. 한편, 인플레이션 완화에 불구하고 달러라이제이션이 지속되는 현상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외부성(externality) 개념을 도입한 히스테레시스(hysteresis) 이론에 의하면 북한도 '외화통용안정적정태'로의 새로운 균형에 이른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다른 표현으로 북한의 금융이 안정적인 다중통화체제(multiple monies system)로 변했다는 말이지만, 다중통화체제의 분석은 주류경제학에서도 이렇다할 모델이 없는 것이 실정이다. 다만, 북한 정부는 적극적으로 외화흡수를 시도하고 있으며 그런 의미에서 디달러라이제이션(de-dollarization)이 일정 부분 시작되었다고 보았다.

전기동향

  • Korea Electrical Manufacturers Association
    • 전기산업
    • /
    • v.8 no.2
    • /
    • pp.79-82
    • /
    • 1997
  • PDF

옥수수대체 사료로서의 소맥의 영양학적 검토

  • 강유성;김춘수
    • KOREAN POULTRY JOURNAL
    • /
    • v.4 no.1 s.27
    • /
    • pp.106-113
    • /
    • 1972
  • 1970년도 사료용 옥수수 도입량은 25만9천톤으로서 1,899만2천불의 외화를 소비하였다. 그런데 도입 옥수수를 국산 밀(소맥)로 대체한다면 국가경제를 위해서나 자립축산의 대계를 위해서 바람직한 일일 것이다.

  • PDF

재외교포 부동산 투자 자금 유입 러시 - 국내 건설사 아파트 미분량 물량, 해외에 판다

  • 한국주택협회
    • 주택과사람들
    • /
    • s.224
    • /
    • pp.58-59
    • /
    • 2008
  • 미분양이 쌓이며 주택 가격이 계속 하락하고 있다. 환율은 최근 어느 정도 안정세를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이에 따라 환차익과 시세 차익을 동시에 고려한 재외 교포 등 해외에서의 국내 투자가 활기를 띠고 있다. 미분양을 줄이고, 외화를 유입할 것으로 기대되는 건설사, 분양 대행사의 해외 마케팅에 대해 알아보자.

  • PDF

나의 주장 - 자연을 얕보면 나라발전 못한다

  • Yun, Mu-Bu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29 no.8 s.327
    • /
    • pp.14-15
    • /
    • 1996
  • "수출만이 살길"이라고 우리는 지난 20~30년간 수출과 더불어 외화벌이에만 급급해 온 결과 국민들에게 풍요는 안겼지만 결국 쓰레기와 각종 오염물질로 전 국토가 몸살을 앓고 있다. 뒤늦게나마 우리는 자연보호운동을 벌이고 있는데 이 자연보호운동을 평가한다면 과연 몇점이나 받을 수 있을런지.

  • PDF

리비아 건설시장 동향과 전망

  • 박준천
    • 월간 기계설비
    • /
    • s.48
    • /
    • pp.62-67
    • /
    • 1994
  • 지난 70년대 우리나라는 해외건설의 열기로 인해 외화수입은 물론 경제성장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곳이 중동지역이었다. 그러나 중동지역은 우리에게 기쁨만 안겨준 곳은 아니었다. 70년대 말 중동지역에서 공사대금을 제대로 회수하지 못한 건설업체들이 속출하면서 곧바로 국내 경기에 영향을 미쳤고 한때 우리나라는 매우 힘든 고비를 넘겼다. 바야흐로 해외건설의 봄이 서서히 일기 시작하고 있는 이때 전문가로부터 중동지역 중 리바아의 건설경기전망에 대해 들어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