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외현적/관계적 공격성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8초

아동의 성과 공격성 유형에 따른 사회정보처리과정 : 해석단계와 반응결정단계를 중심으로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according to Sex and Types of Aggression of Children)

  • 김지현;박경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05-113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differences in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according to children's sex and types of aggression in response to instrumental and relational provocation factors. Two hundred and fifty-one 4, 5, and 6 graders were selected from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To evaluate their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the Intent Attributions and Feelings of Distress(Crick, 1995; Fitzgerald & Asher, 1987) and Response Decision Instrument(Crick & Werner, 1998) were revised and analyzed. A peer-nomination measure(Crick, 1995; Crick & Grotpeter, 1995) was used to select aggressive groups. Data were subjected to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multivariate [2(sex: M, F)${\times}$3(type of aggression: overt, relational, overt and relational aggression)] analysis of variance. Findings revealed that children's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pattern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sex and type of aggression. Also aggressive children responded differently in their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according to instrumental and relational provocation factors.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the role of gender, aggression type, and provocation type are discussed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ing of children's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과 유아의 귀인오류가 유아의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성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Mothers' Emotion Expressiveness and Children's Attributional Biases on Children's Aggressive Behavior : Gender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 박서연;송하나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7-42
    • /
    • 2014
  • 본 연구는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과 유아의 귀인오류가 유아의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러한 관계가 유아의 성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지역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6세 남아 46명과 여아 40명(총 86명)의 유아와 그들의 어머니였다.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은 자기 보고식 설문으로 측정되었으며, 유아의 귀인오류는 이야기를 사용한 인터뷰로 측정 되었다. 또한 유아의 공격행동은 Crick등이 개발한 유아 공격행동 체크리스트를 교사가 보고하여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유아의 관계적 귀인오류가 유아의 외현적 공격행동과 관계적 공격행동을 정적으로 유의하게 설명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과 유아의 공격행동은 아무런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성에 따라 분석한 결과, 어머니의 부적 정서 표현성이 여아의 관계적 공격행동을 부적으로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성에 따른 어머니 및 유아 변인이 유아의 공격 행동의 차이를 설명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동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적·외적 요인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Children's Aggression :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Children's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Daily Hassles, and Emotional Regulation)

  • 김지현;박경자
    • 아동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49-168
    • /
    • 2006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children's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daily hassles, and emotional regulation on school-age children's aggressive behavior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alysis. Subjects were 589 children in 4, 5, 6th grade and their mothers from three elementary schools in Seoul, Korea.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SEM analysis by SPSS 12.0 and AMOS 4.0. The SEM shows differences between overtly aggressive and relationally aggressive children.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affected their children's overt aggression through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dditionally,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affected children's overt aggression through children's daily hassles and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influenced children's relational aggression through children's daily hassles and children's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 PDF

또래 괴롭힘과 외현과 관계적 공격성에 관한 횡단 및 종단연구: 성별을 중심으로 (A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Study on Bullying/Victimization and Overt/Relational Aggression: Focused on gender)

  • 심희옥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1107-1118
    • /
    • 2007
  • This study explored the consistency of bullying, victimization and aggressive victimization, the relationships between bullying, victimization and aggressive victimization and overt/relational aggression,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bullying groups and overt/relational aggression with gender. The subjects were 4th grade children and 2 years later they were contacted again. Instruments were the Bully-Behavior Scale, the Peer-Victimization Scale and the Peer Nomination Instrument. Bullying, victimization and aggressive victimization were decreased while there were consistencies in overt and relational aggression from 4th to 6th grade. In the correlation analysis, male victims at Time 1 were negatively related to overt and relational aggression at both Time 1 and Time 2. Female bullies were positively related to relational aggression at both Time 1 and Time 2. In the cross-sectional relations of overt aggression with bullying groups, there was a gender difference. In the relational aggression with bullying groups, only bullying group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ongitudinal relations of overt aggression with bullying groups, only gender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Males appeared to be more overtly aggressive than females. In the relational aggression, bullying groups, gender, and the interaction between bullying groups and gender had significant differences. Female bullies were more likely to be relationally aggressive than other groups.

체육시간과 청소년의 외현화·내재화 문제와의 관계에서 성별의 조절효과: 다층성장모형의 적용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Education and Adolescent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Using Multi-level Growth Modeling)

  • 이택호;이석영;한윤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1권2호
    • /
    • pp.131-158
    • /
    • 2015
  • 본 연구는 체육시간이 청소년의 외현화(공격성) 및 내재화(사회적 위축, 우울) 문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그 영향이 시간의 흐름과 성별에 따라 다른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NYPI)에서 실시하는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KCYPS)의 중학교 1학년 패널의 2차년도(2011) 데이터(N = 2,133), 3차년도(2012) 데이터(N = 2,151), 4차년도(2013)데이터(N = 1,979)를 활용하였다. 종속변수를 공격성, 사회적 위축, 우울로 설정하고, 독립변수를 성별, 체육시간으로, 통제변수를 학대, 학교적응, 가구연간소득, 보호자 최종학력으로 설정한 뒤 다층성장모형을 적용하여 변인간의 관계를 종단적으로 살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격성 및 사회적 위축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 둘째, 공격성 및 우울에서 성별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체육시간은 우울 및 사회적 위축에만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넷째, 외현화 및 내재화 문제 모두 시간에 대한 성별의 영향이 변하지 않았다. 다섯째, 시간에 대한 체육시간의 상호작용은 사회적 위축에서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여섯째, 우울에서 체육시간에 대한 성별의 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체육시간이 중요하다는 정책적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학교 체육시간의 증가를 도모할 수 있는 연구적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해 본다.

  • PDF

아동학대유형과 심리사회적 부적응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f the Relationship of Child-Abuse to Psycho-social Maladjustment:)

  • 윤혜미
    • 사회복지연구
    • /
    • 제48권1호
    • /
    • pp.173-206
    • /
    • 2017
  • 본 연구는 아동학대와 심리사회적 부적응의 관련성에 주목하여 메타분석을 통해 심리사회적 부적응에 대한 아동학대 각 유형의 영향력을 정리하고자 하였다. 아동학대는 신체 정서 성학대와 방임을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나 연구물 부족으로 성학대를 제외하였고, 심리사회적 부적응은 내재화 문제행동과 외현화 문제행동으로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연구물로는 1990년부터 2016년까지 보고된 총 104편의 논문과 학위논문을 선정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재화 문제행동 전체에 대한 정서 학대, 학대, 신체 학대, 방임의 효과크기는 중간효과크기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외현화 문제행동 전체에 대해서도 정서학대, 신체학대, 방임, 학대는 중간크기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아동학대 유형별로 살펴보면 정서학대는 내재화 문제행동의 불안, 우울, 불안/우울에서 다른 학대유형보다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고, 외현화 문제행동에서는 공격성에서만 영향력이 컸다. 방임은 내재화 문제행동보다 외현화 문제행동에 상대적으로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학대와 내재화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출판물 유형만이 조절효과를 보였으며, 아동학대와 외현화 문제행동의 관계에서는 출판년도, 표본의 수, 출판유형이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아동학대와 심리사회적 부적응의 관련성을 보고한 기존연구들을 종합하여 시사점을 제시하고 아동학대를 주제로 한 향후 연구방향을 제언하였다.

PAI-A 증보판의 내재화 및 외현화 요인구조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Factor Structure of PAI-A Revised)

  • 박은영;박은영;홍상황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6권3호
    • /
    • pp.315-337
    • /
    • 2019
  • 이 연구는 PAI-A 증보판 척도가 청소년기 문제행동에 대한 내재화, 외현화 분류를 반영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PAI-A 증보판 하위척도 31개 및 자살관념(Suicidal Ideation, SUI) 척도 점수를 가지고 탐색적,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선행연구와 공통적으로 불안(Anxiety, ANX)과 우울(Depression, DEP)의 하위척도 및 자살관념(SUI) 척도는 내재화에, 반사회적 특징(Antisocial Features, ANT)과 공격성(Aggressive, AGG)의 하위척도는 외현화에 분류되었다. 주목할 만한 특징으로 경계선적 특징(Borderline Features, BOR)의 하위척도에서 정서적 불안정성(Affective Instability, BOR-A), 정체감 문제(Identity Problems, BOR-I), 부정적 관계(Negative Relationships, BOR-N)는 내재화에, 자기손상(Self-Harm, BOR-S)은 외현화에 분리되어 부하되었다. 이후 도출된 내재화 및 외현화 요인구조가 새로운 표본에도 적용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에 사용된 표본을 제외한 350명의 표본을 무선추출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내재화 및 외현화 분류의 적합도가 양호한 수준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PAI-A의 척도들이 문제행동에 대한 내재화 및 외현화 분류와 이론적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겠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근거해서 향후 학교 장면에서 청소년들의 문제행동 평가에 PAI-A 증보판의 활용을 기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유아의 관계적 및 외현적 공격성에 대한 부정적 정서성, 정서조절, 어머니양육행동의 영향 (Children's Relational and Overt Aggression in relation to their Negative Emotionality, Emotional Regulation,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 권연희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927-940
    • /
    • 2011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emotional regulation,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on their relational and overt aggression. The participants were 355 children(174 boys, 181 girls; aged 4-5 years old) and their mothers. The teachers completed rating scales to measure the children's aggression and emotion regulation. The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were assessed by a mother reported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s. Results showed that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ir relational and overt aggression.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had a negative relation to their relational and overt aggression. Mother's limit-setting and rejection-neglect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children's relational aggression, whereas mother's warmth-encouragement and rejection-neglect was negatively related to children's overt aggressio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interaction of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and mother's overprotection-permission predicted children's overt aggression.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whose mothers demonstrated middle and high level of overprotection-permission, was associated significantly with overt aggression. In addition, the association between mother's parenting behaviors and children's aggressions were mediated by their emotion regulation. The findings point to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relational and overt aggression in relation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emotional regulation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문제행동에 대한 청소년 자신과 부모 평가간의 관계:K-CBCL과 YSR의 하위요인 구조 비교 (PARENT-ADOLESCENT AGREEMENT IN THE ASSESSMENT OF BEHAVIOR PROBLEMS OF ADOLESCENTS:COMPARISON OF FACTOR STRUCTURES OF K-CBCL AND YSR)

  • 하은혜;이수정;오경자;홍강의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9권1호
    • /
    • pp.3-12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자신의 문제행동에 대한 평가와 부모의 평가가 서로 어떻게 다른지와 각자의 평가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을 비교하였다. 일반청소년 3271명을 대상으로 청소년 자신이 평가한 YSR과 부모가 평가하는 K-CBCL을 동시에 실시 한 후 두 평가척도에 공통되는 문항들만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K-CBCL에서는 제1요인으로 공격성/비행요인이 전체변량의 14.08%를 설명하였고 이와 함께 신체적 증상, 사회적 위축, 소란/방해, 우울/불안 등 5개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YSR에서는 제1요인으로 우울/불안/위축요인이 전체변량의 14.23%를 설명하였고 이와 함께 공격성, 신체적 증상, 소란/방해, 인정욕구 등 5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K-CBCL과 YSR의 총 문제행동 점수 평가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을 살펴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모의 평가와 청소년 평가에서 공통적으로 부모, 친구 등 사회적 관계가 나쁠수록, 학업수행이 나쁠수록 총 문제행동 점수가 높았다. 반면에 청소년 자신의 평가에서는 성, 연령이 중요한 기준이 되며 특히 보고하는 문제유형이 성별에 따라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부모가 자녀의 문제행동을 평가하는 경우 공격성이나 비행 등과 같이 외현적으로 드러난 행동문제가 중요한 기준이 되는 반면, 청소년 자신이 평가하는 경우 우울/불안/위축 등 내재화된 문제 정도를 최우선적으로 자각하게 된다는 점을 시사하며 이에 따른 청소년 평가 및 진단에서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PDF

어머니의 완벽주의 성향과 유아의 문제행동과의 관계 연구 (Relationship research among maternal propensity for perfection and child misbehavior)

  • 변상해;유영순;정정순;윤연정
    • 벤처창업연구
    • /
    • 제4권2호
    • /
    • pp.73-88
    • /
    • 2009
  • 본 연구는 유아의 주 양육자인 어머니의 완벽주의 성향과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관계를 분석하여 유아의 문제행동을 경감시킬 수 있는 예방책을 찾고 부모교육 프로그램이나 상담현장에서 실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경주시에 거주하는 만 3-5세사이의 유아와 어머니 400쌍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는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사용된 통계기법은 T-TEST, 회귀분석, ANOVA, 상관관계분석, 신뢰도검사, 빈도분석 등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완벽주의 성향에 차이가 있었고, 유아의 사회 인구학적 변인과 가정환경 변인에 따른 문제행동에 일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완벽주의와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은 유의미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어머니의 완벽주의 하위유형에 따라 유아의 내재화, 외현화 문제행동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대상 유아의 문제행동 중에서 우울과 불안, 공격성, 외현화 문제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