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외과적 탈구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33초

견봉쇄골 관절 탈구의 수술적 치료

  • 이광원;송대화;최원식
    • 대한견주관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견주관절학회 1998년도 학술대회
    • /
    • pp.33-33
    • /
    • 1998
  • 저자들은 1990년 1월부터 1997년 1월까지 을지의과대학병원 정형외과에서 제3형 급성 견봉쇄골 관절 탈구로 진단받고 Phemister 방법, Bosworth 방법, Weaver and Dunn 방법등으로 수술 받은 70례의 환자에 대하여 이중 1년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60례를 대상으로 하여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분석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수상후 평균 오구쇄골간격은 건측과 비교시 평균 7.1mm의 차이를 보였는데 수술 방법에 상관없이 추시시에는 평균 2mm의 차이를 보였다. 임상적 평가에서는 우수 23례$(38\%)$, 양호 31례$(52\%)$, 보통이 6례$(10\%)$를 보여 대부분 좋은 결과를 얻어 오구쇄골 간격 증가가 임상적 결과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 결과를 가져왔다

  • PDF

개에서 정형외과 수술에 따른 전신 산화스트레스 상태의 평가 (Evaluation of the Systemic Oxidative Stress Status during Major Orthopedic Surgery in Dogs: A Clinical Study)

  • 이재연;원흥석;황학균;정성목;김명철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4
    • /
    • 2013
  • 본 연구는 개에서 주요 정형외과 수술에 따른 전신 산화 스트레스 상태를 평가하였다. 16 마리의 골절이나 사지의 탈구 질환을 포함하는 환축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고 모든 환축은 골절이나 탈구의 치료를 위해 다양한 정형외과 수술을 받았다. 수술 후 혈장 총 산화상태(total oxidant status, TOS) 및 산화스트레스 지수(oxidative stress index, OSI)에서 유의적인 증가가 확인되었다. 수술 후 혈장 총 항산화상태(total antioxidant status, TAS)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정형외과 수술외상에 따른 혈장 내 총 산화 및 항산화 상태가 산화스트레스와 관련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TightRope®를 이용한 내시경하 급성견봉쇄골관절 탈구의 고정술 메리놀병원 정형외과 (Arthroscopic Stabilization of Acromioclavicular Joint Dislocation using TightRope®)

  • 최선진;박종훈;이형석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1권2호
    • /
    • pp.172-176
    • /
    • 2008
  • 목적: 견봉쇄골관절의 탈구에 대한 수술적 방법으로 많은 방법들이 소개되었지만, 적합한 방법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이전의 문제점들을 보완한 새로운 방법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지만, 충분한 고정력을 가지고 조기 관절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공통적인 관심사일 것이다. 저자들은 급성 견봉 쇄골 관절 탈구로 진단된 10예의 환자에서 관절경과 TightRope$^{(R)}$(Arthrex, Inc, Naples, FL, 34108, USA)를 이용하여 고정술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4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TightRope$^{(R)}$를 이용하여 수술을 시행하고 10개월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급성 견봉쇄골관절탈구 환자 1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전후의 방사선적 평가는 견봉쇄골관절의 견갑 부하 촬영 사진을 이용하여 건측과 비교하였으며, 임상적인 평가는 Imatani의 평가법에 따라 통증, 기능, 관절의 운동범위에 대해 평가하였고, 술후 10개월에 평가를 시행하였다. 결과: Imatani의 평가법을 이용한 임상적 평가에서 우수가 6예, 양호가 3예, 불량이 1예였고, 방사선적 평가는 우수가 9예, 불량이 1예로 나타났으며, 1예에서 재탈구가 발생하였다. 결론: 비교적 단기간의 추시에서 TightRope$^{(R)}$를 이용하여 수술한 10명의 환자 중 재탈구가 일어난 1명을 제외한 9명의 환자에서 Imatini 및 방사선 평가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개에서 발생한 외상성 견관절 내측 탈구와 견갑골 골절의 외과적 교정 1 례 (Surgical Stabilization of Traumatic Medial Luxation of Scapulohumeral Joint and Scapular Fracture in a Dog)

  • 장하영;이보라;남궁효선;윤헌영;한현정;김준영;정순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76-278
    • /
    • 2009
  • 1년 4개월령의 수컷 푸들견이 외상으로 인한 우측 전지의 통증과 들림 파행증으로 내원하였다. 정형 검사와 방사선 검사상에서 내측 견관절 탈구와 견갑골 골절이 확인되었다. 이두근의 힘줄을 작은 결절로 전위시켜 상완골에 고정시켰다. 이 교정은 잠재적인 관절의 퇴행성 변화의 원인이 될 수 있으나 본 환축에서는 3 년 이상의 관찰기간 동안 좋은 결과를 보였다.

이두 근 및 관절순 손상의 치료 (Management of Biceps and Labral Disorders)

  • 최창혁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10-116
    • /
    • 2006
  • 견관절의 외전 및 외회전 운동시 이두 근 장 두의 내측으로 가해지는 응력은 이두 근 활차 및 견갑하건의 손상과 함께 이 두 근장 두의 내측 탈구를 유발할 수 있으며 회 전근 개 파열과 동반될 경우 증상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진단 및 치료에 주의를 요한다. 관절와 상완관절 상부의 병적 변화로 유발되는 상부 관절순 전후방 병변 (SLAP)은 관절경적 검사 및 치료가 보편화 됨에 따라 견관절 기능 부전의 원인으로 그 중요도가 더욱 커지고 있는 질환중의 하나이다. SLAP병변의 치료는 임상증상 및 병형의 양상에 따라 결정되며, 정상적인 변형에 대해 과 치료를 하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 PDF

65세 이상 고령의 회전근 개 대파열 및 광범위 파열에 동반된 견관절 탈구의 치료 및 술 전 자기공명영상의 상완골두 탈중심화 (Humeral Head Decentralization of Preoperative Magnetic Resonance Images and the Treatment of Shoulder Dislocations in Large to Massive Rotator Cuff Tears in Elderly over 65 Years Old)

  • 이봉주;송인수;차기훈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5호
    • /
    • pp.418-426
    • /
    • 2019
  • 목적: 고령의 탈구가 동반된 회전근 개 대파열 및 광범위 파열에서 상완골두 탈중심화의 특징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견관절 불안 정성 및 치료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5월부터 2017년 2월까지 65세 이상의 견관절 탈구가 동반된 회전근개 대파열 및 광범위 파열의 45명, 45견 관절 A군과 탈구를 동반하지 않은 회전근 개 대파열 및 광범위 파열의 45명, 45견관절 B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각각 73.2세, 72.1세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각각 30.7개월, 31.3개월이었다. A군의 21예(46.7%)에서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만을 시행 받았고 8예(17.8%)에서 회전근 개 봉합술과 함께 전방 관절와순 복원술을 시행 받았다. 16예(35.6%)에서 회전근 개 파열 관절병증으로 역행성 인공관절 전치환술을 시행 받았다. B군의 45예(100%)에서 관절경하 회전근 개 봉합술을 시행 받았다. 저자들은 두 군의 술 전 자기공명영상에서 상완골두 중심부이탈과 상완골두 상승을 측정하였다. 두 군의 시각통증등급 점수,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점수 및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UCLA) 점수가 각각 분석되었다. 결과: A군과 B군의 상완골두 중심부이탈은 평균 후방 7.41 mm와 평균 후방 2.02 mm (p=0.03)였고, 상완골두 상승은 평균 상방 6.66 mm와 평균 상방 2.44 mm (p=0.02)였다. A군과 B군의 ASES 점수는 술 전 평균 32.8점과 평균 33.4점에서 술 후 평균 77.1점(p=0.02)과 78.1점(p=0.02)이었고, 두 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18). UCLA 점수는 술 전 평균 13.1점과 12.8점에서 술 후 평균 28.9점(p=0.02)과 29.5점(p=0.01)으로 향상되었으며. 두 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15). 결론: 65세 이상 고령의 회전근 개 대파열 및 광범위 파열에서 견관절 탈구가 있는 환자들은 없는 환자들보다 술 전 자기공명영상에서 상완골두 중심부이탈과 상완골두 상승이 더 크게 측정되었다. 이러한 측정 방법은 견관절 불안정성을 예상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되도록 조기에 회전근 개 봉합술을 시행하며, 전방 관절와순 복원술, 역행성 인공관절 전치환술 등의 다른 치료도 동시에 적극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교정적 견인과 감압술에 의한 매복된 하악 제1대구치의 치험례 (Orthodontic Traction and Decompression Method in Treating Impacted Permanent Mandibular First Molars : Case Reports)

  • 지명관;이상호;이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57-263
    • /
    • 2015
  • 매복치는 유치열기보다 영구치열기에서 더 높은 빈도로 발생한다. 가장 흔하게 이환되는 치아는 상하악 제3대구치들이며, 하악 제1대구치의 매복은 비교적 드문 편이다. 매복치의 치료방법은 자발적 맹출을 위한 지속적인 검사, 외과적 노출술, 외과적 노출 후 아탈구, 교정적 견인, 그리고 외과적 재위치술 등이 있으며 이 모든 치료가 실패한다면 치아를 발거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첫 번째 증례는 8세 남아로서 매복된 하악 제1대구치에 폐쇄장치를 이용한 감압술을 시행하였으며,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치아의 맹출이 관찰되었다. 두 번째 증례는 12세 남아로서 매복된 하악 제1대구치의 외과적 노출술을 시행 후 치아의 맹출이 관찰되지 않아 가철성 장치를 이용한 교정적 정출술을 시행하였으며 이 후 정상적인 치아의 맹출이 관찰되었다.

상지의 압박성 신경병증의 초음파 검사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of Compression Neuropathy in the Upper Extremity)

  • 정양국;김배균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64-72
    • /
    • 2008
  • 주관절, 완관절 주변의 압박성 신경병증은 일상생활의 불편을 초래하는 상지에서의 흔한 신경병증의 하나로 이에 대한 초음파 검사 소견을 바르게 해석하는 데는 정상적인 신경의 구조와 압박성 신경병증의 병리적 변화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압박성 신경병증에서는 특징적인 초음파 소견을 보이는데 압박부위의 신경은 눌려서 편평한 모양으로 나타나고 근위부에서는 고신호강도의 부종성 변화와 신경속 양상의 소실을 보인다. 기본적인 횡주사 및 종주사 영상 외에 관절이나 근육을 동적으로 움직이면서 시행한 초음파 검사는 척골신경이 주관절 굴곡시 삼두박건 내측두와 함께 내상과위로 아탈구 되는 탄발성 삼두박근 증후군이나 능동적 회내근의 수축시 신경압박이 일어나는 원형 회내근 증후군 등에서 신경의 아탈구나 압박소견을 보여준다. 수근관 증후군이나 주관 증후군 등에서는 신경 단면적의 정량적인 계측이나 압박비의 평가가 진단에 도움이 된다. 임상적 검사 및 전기생리적 검사와 병행하여 사용할 경우 초음파 영상은 상지에서의 압박성 신경병증을 진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검사방법의 하나이다.

  • PDF

개재골 이식술을 이용한 만성재발성 악관절 탈구의 외과적 처치 (SURGICAL TREATMENT OF CHRONIC RECURRENT TMJ DISLOCATION WITH EMINOPLASTY THROUGH INTERPOSITIONAL BONE GRAFT)

  • 김성곤;최유성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1권2호
    • /
    • pp.209-214
    • /
    • 1999
  • Chronic recurrent TMJ dislocation results in difficulty of mastication, speaking, and swallowing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mandibular movement. Etiologic factors are considered as the looseness of the capsule and ligaments, the decrease of the articular eminence, condylar morphologic change, muscular disharmony near by TMJ, and the decrease of the vertical length of the mandibular ramus. Treatment approach has been suggested that surgical methods are selected for the correction of the etiologic factors when conservative treatments are not effective. Many surgical methods have been reported such as eminectomy, eminence augmentation, condylotomy, and zygomatic arch down fracture technique. We performed the eminence augmentation through interpositional bone graft in chronic recurrent TMJ dislocation. This method leads to favorable postoperative result without recurrence and complication, so we report the case with related references.

  • PDF

양측 족관절에 발생한 만성 재발성 비골건 탈구의 수술적 치료: 증례 보고 (Operative Treatment for Bilateral Chronic Recurrent Dislocation of the Peroneal Tendon: A Case Report)

  • 나화엽;송우석;이주영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61-164
    • /
    • 2020
  • A peroneal dislocation is a rare disease that is often misdiagnosed as a simple sprain and can be treated inadequately in the acute phase. For this reason, it is important to have an appropriate diagnosis in the early stages because it can progress to chronic and recurrent conditions. Surgical treatment is considered mainly when progressing to chronic recurrent dislocation. Recently, patients with an acute peroneal dislocation tend to prefer surgical treatment, so accurate initial diagnosis and management are very important. This paper reports a case of chronic recurrent peroneal tendon dislocation in both ankle joints, which was treated by a superior peroneal retinaculum reconstruction and a groove deepening proced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