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와류구조

Search Result 215,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Estimation of Flutter Derivatives for a Plate Girder Bridge Using Forced and Free Oscillation Tests (자유진동 및 강제진동 기법을 이용한 플레이트 거더교의 플러터 계수 산정)

  • Kim, Jong-Dae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1.04a
    • /
    • pp.332-335
    • /
    • 2011
  • 바람에 의해 발생하는 장대교량의 진동현상은 버펫팅과 와류진동 그리고 플러터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특히 설계풍속에 해당하는 강풍에 안전한 교량을 설계하는 것이 주된 관심사항이다. 이러한 장대교량의 공기역학적인 안정성 검토에 사용되는 플러터 계수를 풍동실험을 통하여 산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플레이트 거더교의 강풍에 대한 안정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풍동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자유진동 기법과 강제진동 기법을 사용하여 추출한 플러터 계수를 비교하였다. 자유진동 기법은 교량단면에 초기변위를 주어 상하 및 회전 진동을 하는 교량단면의 변위를 측정한 후 system identification 기법으로 플러터 계수를 구하게 된다. 그리고 강제진동 기법은 상하방향의 강제진동과 회전방향의 강제진동 실험을 독립적으로 수행하여 교량단면에 작용하는 풍하중과 단면의 진동을 분석함으로써 플러터 계수를 추정하게 된다. 그리고 플러터 계수의 비교를 통하여 강제진동 기법과 자유진동 기법의 장단점을 분석하였다.

  • PDF

슬롯 각도에 따른 경계층 상호작용의 피동제어 성능 및 유동 구조 비교 연구

  • Lee, Hun-Sik;Lee, Jae-Hwan;Kim, Jong-In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6.11a
    • /
    • pp.96-100
    • /
    • 2016
  • 슬롯판을 이용한 경사충격파와 경계층 간섭유동 제어에서, 슬롯의 각도를 바꾸어 가며 제어 성능을 비교하는 수치적 연구가 수행되었다. 기준이 되는 수직 슬롯, 각도를 달리한 6개의 case를 선정하여 하여 충격파 뒤에서 전압손실 및 경계층 안정성을 기준으로 제어 성능을 평가하였다. 수치해석 결과 모든 형상에 대해 제어하지 않은 상태보다 좋은 성능을 얻었다. 공력성능이 뛰어난 그룹과 그렇지 않은 그룹을 구분하여 슬롯과 공동 유동 구조를 분석하면서 경계층 불안정성을 야기하고 전압손실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경계층과 충격파가 상호작용하는 영역에서 Vortex를 얼마나 제어할 수 있는지 여부임을 알 수 있었고, 이러한 Vortex를 얼마나 제어할 수 있는지에 따라 공력 성능이 결정됨을 파악할 수 있었다.

  • PDF

Experiment of local scour aruound spur dike (수제 주변의 국부 세굴 측정 연구)

  • Kim Ja Hyeon;Jeong Hyun Jae;Kang Seok K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516-516
    • /
    • 2023
  • 하천 만곡부 외곽 하안부의 빠른 유속은 침식을 유발하고 내측의 느린 유속은 토사 퇴적의 원인이 된다. 이는 하천 지형을 지속적으로 변화시키는 원인이 되고 나아가 하천 주변의 환경뿐만 아니라 안정성에도 문제를 일으킨다. 하천의 안정성과 수생태계 보존을 위해서는 수제와 같은 인공 구조물을 설치하여 하도의 안정을 유지할 수 있다. 수제는 후류에 느린 유속을 발생시켜 침식을 예방하고 제방과 하안을 보호한다. 그러나 수제 주변에서 발생하는 강한 와류는 국부 세굴을 유발하여 구조물의 안정성을 저해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동상 수리실험을 통해 수제 주변에서 발생하는 국부 세굴 및 후류에서의 하상 변동을 측정하였다. 수리실험은 길이 10 m, 폭 0.44 m, 높이 0.59 m인 수로에서 D50 = 2.98 mm인 모래를 사용하였고 하상변동은 하상이 평형상태에 이르렀을 때 물의 흐름을 멈추고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평형상태의 하상변동과 시간 변화에 따른 세굴심 변화를 도출하였다.

  • PDF

3-D Aeroelastic Model Test of a Cable-Stayed Bridge with a Main Span of 1,200m (주경간장 1,200m 사장교의 3차원 풍동실험)

  • Sin, Seung-Hwan;Kim, Yeong-Min;Gwak, Yeong-Hak;Lee, Hak-Eun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70-70
    • /
    • 2011
  • 사장교의 적용지간이 증가하여 초장대화하면서 구조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시도된 적이 없는 주경간 1,200m 사장교의 내풍안정성을 검토하기위하여 3차원공탄성 모형을 제작하고 풍동실험을 수행하였다.(그림1 참조) 실험대상 구조물은 내풍안정성 증대를 위해 유선형 박스거더를 채용하고 케이블이 거더와 함께 비틀림에 저항하도록 2면 케이블을 적용하였다. 구조적인 측면에서는 보강형 자중감소를 위해 전경간을 강박스로 계획하였으며 측경간에 부반력제어를 위한 Counter Weight을 적용하였다. 실험대상 구조물은 완성계, 가설계95%, 가설계50%, 가설계45%로 모형을 해체하면서 진행하였고 가설단계 별로 내풍케이블의 수량과 형상을 달리하여 내풍안정성 개선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3차원 풍동실험 결과 완성계에서 교량의 안전성에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는 와류진동, 플러터, 버페팅과 같은 유해한 진동현상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시공중 내풍안정성 확보를 위하여 대상교량에 내풍케이블을 설치하고 내풍케이블의 수량 및 배치형상에 따른 진동제어 효과를 검토하였다. 본 실험은 현재 풍동실험 요소기술을 이용하여 1,200m급 사장교 풍동실험을 수행하였고 이에 따라 교량이 초장대화 되면서 스케일다운에 따른 보강형질량, 케이블 간격 등 실험모형 제작상 문제점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경험을 토대로 향후 1,000m 이상급 초장대 사장교 내풍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Study of Critical Flutter Velocities of Bridge Girder Sections with Different Structural Stiffness (구조 강성에 따른 교량 구조물의 임계 플러터 속도 연구)

  • 박성종;권혁준;김종윤;한재흥;이인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17 no.3
    • /
    • pp.271-278
    • /
    • 2004
  • Numerical analysis of wind effects on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was performed. Aerodynamic effect often becomes a governing factor and aeroelastic stability boundary becomes a prime criterion which should be confirmed during the structural design stage of bridges because the long-span suspension bridges are prone to the aeroelastic instabilities caused by wind. If the wind velocity exceeds the critical velocity that the bridge can withstand, then the bridge fails due to the phenomenon of flutter. Navier-Stokes equations were used for the aeroelastic analysis of bridge girder section. The aeroelastic simulation is carried out to study the aeroelastic stability of bridges using both Computational Fluid Dynamic (CFD) and Computational Structural Dynamic (CSD) schemes. Critical flutter velocities were computed for bridges with different stiffness. It was confirmed that the critical flutter velocity of bridge girder section was sensitive to the change of structural stiffness.

Full Scale Measurement on Stay Cables of a Cable Stayed Bridgefor Estimation of Damping Ratios (실교량 계측에 기반한 사장 케이블의 감쇠비 추정)

  • Kim, Saang-Bum;Im, Duk-Ki;Kim, Chang-Hyun;Lee, Jong-Sup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09.04a
    • /
    • pp.421-424
    • /
    • 2009
  • 사장교 케이블의 감쇠비를 추정하기 위하여 실교량 계측을 수행하였다. 사장교 케이블은 감쇠비가 낮고, 고유 진동수가 케이블의 길이에 따라 넓은 범위에 걸쳐 분포하므로, 바람이나 지점 가진에 의하여 과도한 진동이 발생될 수 있다. 케이블 진동 현상의 원인과 발생되고 진행되는 구조는 다양하나, 진동 현상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감쇠비이며, 케이블 진동의 과도한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케이블의 감쇠비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사장교 케이블의 다양한 진동 현상에 대한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케이블 댐퍼와 같은 여러 제진 대책을 설계하고, 설치된 케이블 제진 대책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케이블의 감쇠비를 추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져 온 케이블의 감쇠비 추정 방법은 정해진 모드로 자유 진동을 발생시킨 후, 진폭의 감소 추세로부터 Logarithmic Decrement를 계산하여 감쇠비를 구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수백m에 이르는 긴 케이블에서 정해진 모드의 자유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은 쉽지 않다. 최근에는 상시 진동으로부터 감쇠비를 추정하는 여러 기법들이 개발되어져 왔으며, Frequency Domain Decomposition Method나 Stochastic Subspace Identification Method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상시진동 기반의 기법들을 사용하여, 사장교 케이블의 감쇠비를 추정하였으며, 추정된 감쇠비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측정시간을 늘리고, 가진 풍하중의 영향을 반영하여 보정하였다. 또한 추정된 감쇠비를 Buffeting 진동과 와류 진동과 같이 진동 현상과 진폭별로 분석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Structure of Neural Network for Predicting Defect Size of Steam Generator Tube in Nuclear Power Plant (원전SG 세관 결함크기 예측을 위한 신경회로망 구조에 관한 연구)

  • Jo, Nam-Ho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24 no.1
    • /
    • pp.63-70
    • /
    • 2010
  • In this paper, we study the structure of neural network for predicting defect size of steam generator tube. After extracting the features from the eddy current testing (ECT) signals, multi-layer neural networks are used to predict the defect size. In order to maximize the prediction performance for the defect size, we should carefully choose the structure of neural networks, especially the number of neurons in the hidden layer. In this paper, it is shown that, for the prediction of defect size, the number of neurons in the hidden layer can be efficiently determined by using cross-validation.

Experimental Study on Combustion Instability in a Dump Combustor (덤프 연소기에서의 연소불안정에 대한 실험적 연구)

  • An, Gyu-Bok;Yun, Yeong-Bin;Yu, Kenneth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4 no.12
    • /
    • pp.35-40
    • /
    • 2006
  • The combustion instability in a model dump combustor with an exhaust nozzle and the possibility of combustion control using a loudspeaker to these instabilities were studied. By changing inlet velocity, combustor length and equivalence ratio, dynamic pressure signals and flame structures were simultaneously taken. Because inlet velocity and combustor length affect the life time of vortex in the dump combustor, the results showed that as the combustor length increased and the inlet velocity decreased, the instability frequency decreased and the maximum power spectral density of the dynamic pressure generally decreased. Also, instability frequency and maximum power spectral density of the dynamic pressure increased with the increment of equivalence ratio. From the data of close-loop control, the optimum time-delay control using a loudspeaker was confirmed to be able to reduce the vortex shedding induced from the mixed acoustic-convective mode combustion instability.

Large Eddy Simulation of Flow around Twisted Offshore Structure with Drag Reduction and Vortex Suppression (와류감쇠 및 저항저감형 나선형 해양 구조물 주위 유동 LES 해석)

  • Jung, Jae-Hwan;Yoon, Hyun-Sik;Choi, Chang-Young;Chun, Ho-Hwan;Park, Dong-Woo
    •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49 no.5
    • /
    • pp.440-446
    • /
    • 2012
  • A twisted cylinder has been newly designed by rotating the elliptic cross section along the spanwise direction in order to reduce the drag and vorticies in wake region. The flow around the twisted cylinder at a subcritical Reynolds number (Re) of 3000 is investigated to analyze the effect of twisted spiral pattern on the drag reduction and vortex suppression using large eddy simulation (LES). The instantaneous wake structures of the twisted cylinder are compared with those of a circular and a wavy cylinder at the same Re. The shear layer of the twisted cylinder covering the recirculation region is more elongated than that of the circular and the wavy cylinder. Successively, vortex shedding of the twisted cylinder is considerably suppressed, compared with those of the circular and the wavy cylinder. Consequently, the mean drag coefficient and the fluctuating lift of the twisted cylinder are less than those of the circular and the wavy cylinder.

Effect of Rear-Vortex of a Convergent-Divergent Duct on the Flow Acceleration Installed in a Vertical Structure (수직구조물 후방의 와류현상이 구조물에 설치된 벤투리관의 유체가속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해석 연구)

  • Chung, Kwang-Seop;Kim, Chul-Ho;Cho, Hyun-Sung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 /
    • v.25 no.2
    • /
    • pp.94-100
    • /
    • 2013
  • A convergent-divergent nozzle or venturi nozzle has been used to accelerate the wind speed at its throat. The wind speed at the throat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its area according to the continuity equation. In this numerical study, an airflow phenomena in the venturi system placed at a vertical structure was investigated to understand the vortex effect occurred at the rear-side of the vertical structure on the air speed increment at the throat of the venturi system. For this study, a venturi system sized by $20(m){\times}20(m){\times}6(m)$ was modelled and the area ratio(AR) of the model venturi was 2.86. To see the vortex effect on the air flow acceleration in the venturi throat, two different boundary conditions was defined From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pressure coefficient(CP) of the venturi system with the vortex formed at the exit of the venturi was about 2.5times of the CP of the venturi system without the vortex effect. The velocity increment rate of the venturi system with the vortex was 61% but 9.5% only at the venturi system without the vortex. Conclusively, it can be said that the venturi system installed in a vertical structure has very positive effect on the flow acceleration at its throat due to the vortex formed at the rear-side of the vertical structure.